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북 청주시 오송지구 유적 발굴지의 화분분석: 색생과 퇴적환경 고찰

        이상헌,김주용,Yi, Sang-Heon,Kim, Ju-Yong 한국제4기학회 2010 제사기학회지 Vol.24 No.1

        충북 청주시 오송지구 원평 II-3 보조단면 (B11칸 서벽)의 홀로세로 판단되는 퇴적물로부터 이 지역의 식생과 기후변화를 추정하였다. 트렌치 단면의 퇴적물들은 주로 조립질의 퇴적물로 구성되어 유기물의 함유량이 대체적으로 낮았다. 비록 화분의 산출량은 높지 않았지만 우점 종과 일부 중요 종으로부터 중부 내륙 산간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이 변화가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분군집상의 변화를 선행화 분분석 자료들과 대비하여 간접적으로 연대를 추정할 수 있었다. 초기 홀로세의 식생은 최종 빙기 이후 온난화로 전이되는 한랭기동안 번성하였던 주요 수목들이 사라져 단순한 산림형태화가 되었던 것으로 간주된다. 중기 홀로세에는 온난, 습윤의 최적화된 생육조건으로 낙엽활엽수림과 상록수형 활엽수 및 난온대성 소나무 등이 번성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기 홀로세의 기후는 다시 한랭화가 진행되어 본 연구지역은 침엽수-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천이되었다. 최상부 구간에는 농경활동 지표 종들의 산출로 이 지역에 본격적인 농경활동이 행해졌던 것으로 생각되며, 산림형태는 자연환경변화보다는 인간간섭에 의해 더 영향을 받은 특징을 보여주며 기후조건은 오늘날과 비슷하였다. Holocene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s were assumed on the basis of pollen records from Wonpyeong Trench II-3 of the Osong archaeological site, Cheongju, Chungbuk Province, Korea. An organic matter beared in coarse sediments appeared to be low throughout the succession. Although an occurrence of pollen grains is not high, some dominant and principal taxa may indicate vegetation changes response to climate changes in central inland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ge determination can be estimated with indirect way by comparing with previous age-controlled pollen studies. It is assumed that the former last glacial conifer forests had been changed into open mixed conifer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during the early Holocene period. Warmer and more humid climate conditions, during the mid-Holocene, might have allowed the hardwoods including deciduous- and evergreen-broadleaved trees, and warm-preferring pine tree to flourish. Subsequently, the former forests were replaced by mixed of conifer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owing to deterioration of climate conditions during the late Holocene. Human activity is also detected by agricultural indicators, such as buckwheat and large pollen grains comparable to corn, in upper most pollen profile. During this time, the forests in studied area were primarily affected by human disturbance rather than natural environment.

      • 청주시 사천동 유적발굴지 일대의 홀로세 식생 및 고환경변화 연구

        이상헌(Sangheon Yi),김주용(Ju-Young Kim) 한국고생물학회 2009 고생물학회지 Vol.25 No.1

        충북 청주시 사천동 유적발굴지의 트렌치(Trench 12L) 퇴적물로부터 화분분석에 의한 홀로세 동안 중부내륙지역의 식생과 기후변화를 추적하였다. 연구지역은 약 8,000 yr BP를 전후하여 퇴적되었다. 화분대에 따라 식생과 기후조건이 다르게 나타났다. 암갈색 모래층으로 이루어진 최하부구간은 무화석대로 나타났다. 제1아화분대(SC-Ia, ~7,980 yr BP)는 초기 홀로세의 온난화로 전환되면서 냉온대(cool temperate)하에 침엽수-낙엽활엽수 혼합림이었다. 그러나 오늘날과 비교하였을 때 산림의 밀도는 높지 않았다. 제2아화분대(SC-Ib, ca 7,800~6,000 yr BP)는 중기 홀로세의 최적 온난기와 대비되는 시기로서 습윤한 난온대(warmer temperate)하에서 낙엽상록-활엽수림이 번성하였다. 제2화분대(SC-Ⅱ, ca. ?2,000 yr BP~)에 접어들면서 온대(temperate) 기후조건에 의해 다시 침엽수-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교체되었다. 이처럼 퇴적지 주변 산록지역에는 홀로세동안 3번의 식생이 변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과 담수조류의 군집특성에 따르면 본 연구지역은 인근에 위치한 수계(무심천)로부터 범람이 발생하는 범람원 퇴적환경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l화분대의 후반으로 가면서 강우량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화분과 퇴적물의 상향조립화 특성으로부터 잘 반영된다. 반면에 제2화분대에서는 주요 수계의 범람은 간헐적으로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분군집특성 변화를 통하여 제l화분대와 제2화분대의 경계에 무퇴적 혹은 지표침식에 따른 삭박존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것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대자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Holocene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s of the Korean central region were reconstructed by pollen records recovered from Trench 12L of the Sacheon-dong archaeological site, Cheongju City, Chungbuk Province. Radiocarbon date indicates that sedimentation of the study area has spanned before/after about 8,000 yr BP. Pollen zones were erected based on changes in pollen assemblages. Pollen subzone, SC-Ia (~7,980 yr BP) is characterized by mixed conifer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under cool temperate climatic conditions. With comparison of modern mixed forest, the forest of SC-Ia seems to have been poor. Pollen subzone of SC-Ib (ca. 7,800~6,000 yr BP), possibly comparable to hypsithermal, warm and wet climatic conditions were favored to deciduous evergreen and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flourished on Mountain-slope. During Pollen Zone, SC-Ⅱ (72,000 yr BP~), the former forest were replaced again by mixed conifer and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due to changed temperate conditions. Pollen assemblages reflect that three times in vegetation types have been changed. Both pollen and freshwater algal assemblages infer that the Sacbeong-dong archaeological site has experienced by flood originated from the Musim Stream. Specially, flooding became stronger toward the end of Pollen Zone, SC-Ⅰ (ca. 6000 yr BP), as evidenced by pollen and upward coarsening of sediment. But floodings of main stream have been occasionally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Pollen Zone, SC-Ⅱ (?2000 yr BP~). Pollen assemblages tentatively suggest that a hiatus or a denudation has existed at boundary between Pollen Zone SC-Ⅰ and Pollen Zone SC-Ⅱ. Finally a plenty of radiocarbon dates are strongly required to verify the suggestion herein future.

      • 군산시 내흥동 유적지에서 산출된 후기 플라이스토세의 유기질 미화석과 고환경

        이상헌(Sangheon Yi),김주용(Ju-Yong Kim),김진관(Jin-Kwan Kim) 한국고생물학회 2007 고생물학회지 Vol.23 No.2

        군산시 내흥동 유적발굴단면에서 산출된 화분군집상의 변화에 의해 3개의 지역화분대가 설정되었다. 이들 화분대는 산소동위원소기 3에 해당되는 중기 뷔름빙기(약 36,000~28,000년 전)동안 이 지역의 식생천이, 기후변화 및 퇴적환경변화를 반영하였다. 전체 화분대에서 초본화분과 침엽수 및 냉온대성 참나무의 산출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한랭온대기후가 우세하였음을 나타난다. 제1화분대(약 36,000~35,800년 전)의 시기는 소나무속이 주요수종인 침엽-낙엽활엽수 혼합림이 산악-구릉지에서 한랭온대기후하에서 서식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제2화분대(약 35,800~33,500년 전)시기는 낙엽활엽수-침엽수 혼합림이지만 냉온성 참나무가 주요 수종으로 대체되었으며 소나무와 상록 참나무속(가시나무)도 같이 식생하였던 것으로 기후는 약간 온난화가 진행되는 전이 시기의 온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제3화분대(약 33,500~28,000년 전)에 들어오면서 식생군락은 낙엽활엽수림으로 변하면서 냉온대성 참나무가 번성하였던 것으로 기후는 온대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사초과 및 물이끼속등의 수생 초본류와 염생 초본류인 명아주과의 꾸준한 산출 그리고 담수 및 해양성 조류의 간헐적 산출로 보아 이 퇴적층은 해안가의 배수가 불량한 배후습지로서 간접적으로 해수의 영향이 미치는 환경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여 진다. Age-controlled pollen profile with 3 local pollen zones in Naeheung-dong archaeological site, Gunsan, Jeonbuk Province, reflects vegetation dynamics response to climatic and environmental changes during the middle Wurmian glacial period corresponding to Oxygen Isotope Stage 3. These cool to cold climatic conditions were indicated by well-representing of nonarboreal pollen together with pine and cold-tolerant oak trees in this area. Pollen Zone Ⅰ (ca. 36000~35,800 yr BP) is predominated by pine tree of the mixed conifer-deciduous broadleaved forest on mountain-slope under cold temperate climate conditions. Pollen Zone Ⅱ (ca. 35,800~35,400 yr BP) is represented by mixed deciduous broadleaved-conifer forest with dominant cool-loving oak on mountain-slope reflecting temperat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At the Pollen Zone Ⅲ (ca. 35,400~28,000 yr BP), the mixed forest was replaced by deciduous broadleaved one which cool-loving oak tree predominates on mountainous area indicting temperate climate conditions. In overall palynological assemblages, halophilous herbaceous plant, such as Chenopodiaceae, Gramineae, Cyperaceae and Artemisia, combined with freshwater-and marine-algae of dinoflagellates and acritarchs are present throughout the whole section. This suggests that the deposits were formed at back swamp intermittently influenced by sea water.

      • 화분, 비화분 유기질 미화석 및 식물규소체의 유적발굴지에서의 적용사례 : 경주시 충효동 유적발굴지

        이상헌(Sangheon Yi),강봉원(Bong-Won Kang) 한국고생물학회 2009 고생물학회지 Vol.25 No.1

        경주시 충효동 유적발굴지의 문화층으로부터 산출되는 화분, 비화분(담수조류와 균류포자) 및 식물규소체의 종합분석 자료에 대한 적용사례를 소개하고자한다. 발굴지의 문화층이 조립질 퇴적물로 구성되었고, 산화 및 불에 의한 열변질 작용으로 인하여 화분의 산출이 미약하였다. 반면에 식물규소체는 매우 풍부하게 산출되었다. 이들 종합분석 자료는 발굴지가 인위적인 간섭을 받기 전에는 아마도 하도가 발달한 계곡간 하성충적지였음을 나타낸다. 이후 선사인 들의 이곳에 정착하면서 충적지를 점차적으로 수전과 같은 자연농경지와 주거지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주변의 구릉지에는 침엽수-낙엽활엽수의 혼합림이 번성하였을 것으로 간주된다. 결론적으로 이들의 분석 자료는 각각의 취약한 점을 상호 보충할 수 있으며 해석의 정확성도 보다 높일 수 있었다. Pollen, non-pollen palynomorphs (NPP) and phytolith analyses that have been applied to archaeological aspect are introduced herein. As cultural soil layers are mainly composed of oxidized and burnt coarse sediments, a few of pollen were recovered from all samples of the Chunghyo-dong archaeological site, Gyeongju. But a plenty of phytolith grains occurred in all samples. Three proxies indicate that depositional environments were fluvial between mountain slopes prior to human activity. Subsequently human migrated and used fluvial for cultivation and settlement. Finally these proxies can support each other in its weakness and produce high precise interpretatio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