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태도와 감정을 표현하는 "손" 관용어 비교 연구 -한국어, 러시아어, 독일어를 중심으로-

        홍대화 ( Dae Hwa Hong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각 나라의 관용어는 인류 보편의 인식을 드러낼 뿐 아니라, 각 나라 고유의 전통과 풍습, 문화를 담아내고 있다. 한국어와 러시아어, 독일어의 ``손`` 관용어들의 비교는, 독일어와 러시아어 관용어들이 형태론적 혹은 구문론적으로 유사한 반면, 한국어와 러시아어 관용어들이 정서적으로 혹은 신체적 표현의 방식에 있어서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의미상 유사한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손`` 관용어 의미군은 열 개인데 비해, 한국어와 독일어 간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의미군은 네 개이고, 러시아어와 독일어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의미군은 여섯 개이다. 러시아는 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있는 국가로 과거 중세 시대에 200년간 몽고의 지배를 받은 경험이 있다. 러시아인들은 역사적으로나 지정학적으로 독일과 같은 유럽인들에 비해 동양 민족과 보다 폭넓게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어 관용어가 독일어보다는 한국어 관용어에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했던 것이다. Idioms bear not only the universal cognition of mankind, but also the tradition, customs, and cultures of each country. Comparison between Korean, Russian and German idioms including the word ‘hand’ (from here on we will call these idioms as hand idioms), reveals that German and Russian idioms have a morphological and syntactic similarity, but Korean and Russian idioms are close to each other in a manner of emotional and physical expressions. The groups of semantically similar hand idioms in Korean and Russian are 10, and the same groups in Korean and German are 4. The hand idiom groups, which reveals semantic similarity in Russian and German, are 6. Russia, which geographically covers Europe and Asia, has a historical experience of Tatar domination over a period of 2 hundred years. As a result, they have had more chances to contact with Asian culture and therefore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Russian idioms are more similar to Korean idioms as opposed to German idioms.

      • KCI등재
      • KCI등재

        고골의 「외투」에 나타난 기호의 세계: 어긋난 기호들의 결합, 부유하는 기표들

        홍대화 ( Dae Hwa H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5 슬라브연구 Vol.31 No.2

        고골의 「외투」는 기호를 두고 벌어지는 한바탕의 유희를 보여주는 단편소설이다. 이 작품은 떨어질 수 없는 기표와 기의와의 관계를 끊어놓고, 그 기표에 어긋나는 기의들을 부가하거나, 결합되기 힘든 기호들을 결합시킴으로써 실체가 의심스러운 기표만 부유하는 세계로 가득 찬 부조리한 세계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발음이 우스꽝스러운 주인공의 이름에 아무 의미가 없다고 강조함으로써 ``성자성``의 기의를 차단하는가 하면 그와 동시에 그 기의를 다시 차용하고, ``중요성``의 기호에 엉뚱한 기의인 ``거리감``과 ``엄격함``, 그리고 ``관등``의 기의를 덧붙이고, ``사랑``의 기호를 ``정서``, ``외투``, ``노파``와 결합시키고, 인간의 기호에 ``인간성부재``의 기의를 결합시킴으로써 ``인간``이라는 기표만 남게 하고, ``유령``의 기호에 그와 반대되는 ``육체성``과 ``존재감``를 부여하는 식으로 기표와 기의 간의 불일치를 의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유희를 벌인다. 이런 유희 안에서 유일하게 작동하는 원리는 모든 것이 어긋나 있고, "모든 것이 보이는 것(기표)과는 다르고(기의) 모든 것이 거짓"인 세상을 역설과 아이러니로 조명하는 내포 작가의 조롱기 가득한 기민한 시선이 된다. 내포작가는 각 기호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기의를, 또 본인이 결합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대상기호들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내포작가가 메우지 않은 의미의 공백을 메우어야하는 사람은 내포 독자가 된다. 내포 독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과 문화적 배경하에 그 기호 결합의 낯섦을 다각적으로 해석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끊임없이 아직까지도 다양한 해석의 대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다. Gogol’s “The Overcoat” is a short story in which the author plays around with the features of signs. This story reveals an absurd world, where insubstantial signifiants are floating around,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na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ifiant and the signifie, the addition of unsuitable meanings to the signifiant and the syntagmatic combination of uncombinable signs. For example, by emphasizing that the main character``s funny-to-pronounce name has no meaning, the author blocks the signifie which he would have as a saint character while at the same time borrowing the signified of saint throughout the novel. The author also plays with words by purposely making a contrast between the signifiant and the signifie by connecting the signifie of ‘distance,’ ‘strictness,’ and ‘civil rank’ to the sign of ‘importance,’ combining the sign of love to ‘copying,’ ‘overcoat,’ and ‘crone,’ combining the sign of ‘human’ to the signified of lack of humanity, and giving the signified of ‘body’ and ‘existence’ to the sign of ‘ghost.’ In this text the only principle that everything adheres to is the author``s ironic and critical point of view which illuminates the world as a paradoxical place, where “everything is not as it is shown, and everything is a deceit.” The writer does not directly express his thoughts on which signifies are suitable for the signifiant and which combinations of signs are appropriate. Therefore the person, who has to fill in the void in the meaning of the signifiant, is the reader. The reader should interpret why the syntagmatic and paradigmatic combination of signs in this text is awkward and fill in the blank meanings through his cultural background and his world view. Accordingly this short story has been the object of various interpretations.

      • KCI등재

        도스토예프스키의『분신』의 서사구조

        홍대화(Hong, Dae Hwa) 한국노어노문학회 2015 노어노문학 Vol.27 No.1

        본 논문은 『분신』의 서사구조를 우스펜스키와 채트먼의 이론에 근거해 분석하고 있다. 분석에 따르면 『분신』의 서사는 처음부터 일관되게 골랴드낀의 내적 시점을 이용한 3인칭 시점에서 진행되는 것이 아니다. 초반에 서술자는 객관적 외부 시점에서 인물들의 행동을 묘사하되 그 행동의 원인 설명을 하지 않음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소설 속 세계에 대해 낯섦을 느끼게 해준다. 골랴드낀이 올수피 이바노비치의 집에서 쫓겨난 후부터 서술자는 골랴드낀의 내면 시점을 취하여 심리, 시간 공간, 언어의 국면에서 그의 생각을 대변하는 방식으로 서술을 진행한다. 골랴드낀의 망상이 심해지면서 현실과 환상은 그 경계가 무너지지만, 서술자는 그 어디에도 해설이나 설명을 보태지 않음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골랴드낀의 망상 안으로 들어가게 만든다. 그러나 거울, 사라지는 편지들, 꿈의 모티브들은 독자로 하여금 작은 골랴드낀의 환영성에 대해 깨닫게 만드는 표지가 되어준다. 그렇다고 해서 독자가 골랴드낀의 망상 밖의 현실을 재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아니다. 독자가 환영성을 깨닫는 것과는 정반대로 골랴드낀은 더 깊은 환영의 미궁 속으로 빠져든다. 골랴드낀의 광기가 심화됨에 따라 시공간의 이동도 비약과 혼란에 빠진다. 11장에 등장하는 저녁상을 물린 선술집의 식탁은 4장부터 11장의 모든 일이 환영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대단원 12장과 13장에서 소설 초반부 뿐 아니라 중반부의 인물, 플롯, 모티브들이 뒤집어져서 반복되는 것이 관찰된다. 이러한 반복을 통해 소설은 원형구조로 폐쇄되고, 골랴드낀은 영원히 자신의 환영 안에 갇히게 된다.

      • KCI등재

        고골의 「비이」에 나타난 폐쇄적 원형구도와 육체에 대한 심판

        홍대화(Hong, Dae Hwa) 한국노어노문학회 2015 노어노문학 Vol.27 No.3

        본 논문은「비이」가 원형적 공간구도의 폐쇄성 안에서 식욕, 술, 담배, 공포, 악마성의 모티브들이 강화되어가는 방식을 분석하고 있다. 이는「비이」가 비잔틴과 고대 루시의 성자전 문학의 플롯을 뒤집고 러시아 민속 문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성자전은 식욕과 성욕을 파고들어 유혹하는 악마의 궤계를 성자가 주변 성자들, 교회, 하나님의 은총과 은혜로 말미암아 훼파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성 아타나시우스는 『성 안토니우스의 생애』에서 악마를 이기는 방법은 악마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비이」에서 호마는 식욕과 성욕, 공포에 매몰되어 파멸하고, 신학교 교장을 비롯한 주변의 그 누구도 심지어는 하나님의 은총과 가호도 받지 못한다. 술, 담배, 마녀의 모티브는 러시아 민속 문학의 전통을 그대로 계승한다. 이 작품의 공간구도는 다섯 개의 공간, 호마의 원, 교회, 백부장의 집, 초원, 키예프 내 브랏스키 수도원 산하 신학교가 식욕, 술, 담배, 카자크들의 놀이의 모티브들로 연결되고, 현실과 환상이 접목됨으로써 뫼비우스의 띠를 이룬다. 인물들의 행동을 주도하는 가장 지배적인 욕구는 ‘식욕’이다. 성욕은 남성들이 식욕을 채우는 과정 중에 악마적인 여성들이 충족시켜주기를 요구하는 욕망으로 (노파와 시장의 여인) 쉽게 남성들을 무너뜨린다. 그런 점에서 여성은 마녀로 표상된다. 식욕과 성욕은 악의 개입의 계기가 되는 인간의 본능적 욕망으로 경계와 조롱의 대상이 된다. 호마의 죄에 대한 대가는 지나칠 정도로 엄중하다. 이러한 요소들은 작품 저자의 강박적 금욕주의와 육체에 대한 강박적 부정을 드러낸다. 그런 면에서 작품은 건강하지 않은 기독교적 관점을 보인다. 민간전설을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옮겨놓았다고 하는 저자 주는 자신의 심리를 누구에게도 들키고 싶지 않다는 그의 강박관념을 보여준다(팽거). This article analyzes the closed structure of 5 circles in Gogol’s 〈Vij〉 and reveals the process of reinforcement of the motives of appetite, attachment to liquor and tobacco, fear and demonic power. The result of this analysis makes it clear that the motives and plot of 〈Vij〉 inverse those of hagiographic literature and succeeds the tradition of Russian folklore. In hagiographic literature the saint destroys the devil’s seduction with his ascetic practice and the help of other saints and the church and through the grace and goodness of God. In 《The Life of Saint Anthony》 the saint Atanasius insists that the way to triumph over demonic power is not to be afraid of them. But in 〈Vij〉 Homa Brut is destroyed by appetite, sexual desire and fear, and does not receive any Grace from God or help from the rector of Bratsky seminary or Cossacks. The motives of liquor, tobacco and witches mirror those of the Russian folklore tradition. The Spacial structure consists of 5 spaces, Homa’s small circle, the church. sotnik’s manor, a steppe, and the seminary in Kiev. These 5 space-circles are combined and closed by the above mentioned motives of the reinforcement process.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the plot the spaces circulate three times from Kiev through the manor, church and Homa’s cycle to Kiev. In these circulations the fantastic world penetrates the real world and if the circles are unfolded they make up a Mobius strip. The prominent desire, which motivates the actions of the every character, is appetite. The demonic women(the old woman and the young widow at bazar) want get sexual satisfaction from Homa in return for satisfying his appetite, and as a result they destroy him. From this point of view, women are witches. In this story, natural human instincts of appetite and sexual desire become objects of wariness and ridicule. This serves as the momentum of the penetration of demonic power into the real world. Homa’s wages of sin is excessively severe(Fanger’s terminology ‘guiltless guilty’). These elements reveal the author’s obsession about asceticism and the denial of flesh. In this sense, this story depicts unhealthy Christian perspectives. The footnote, where the author said, “this whole tale is a popular legend. I did not want to change it in any way, and I relate it with the same simplicity that I heard it.” - discloses the author’s obsession about concealing his psyche from others(Fan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