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동적도 태평양 KODOS 97-2 해역 심해저 퇴적물 내의 ATP 분포양상

        현정호,김경홍,지상범,문재운,Hyun, Jung-Ho,Kim, Kyeong-Hong,Chi, Sang-Bum,Moon, Jai-Woon 한국해양학회 1998 바다 Vol.3 No.3

        심해저 망간단괴 채광에 따른 저층생태환경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환경연구의 일환으로 북동적도 태평양 심해저 퇴적물 내의 총 ATP(T-ATP), 용존 ATP(D-ATP) 그리고 입자성 ATP(P-ATP)의 농도 및 수직분포양상을 연구하였다. T-ATP는 퇴적물 6 cm 깊이 내에서 4.4~40.6, D-ATP는 0.6~16.1, 그리고 P-ATP는 3.0~29.2 ng/g dry sediment의 범위로 변했다. T-ATP의 약 84%, D-ATP의 약 81% 그리고 P-ATP의 약 74%가 표층 퇴적물 2 cm 이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포양상이 퇴적물 내의 함수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심해저 퇴적물 내의 미생물(P-ATP) 분포가 수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유기탄소에 의해 결정됨을 의미한다. 다중주상 시료채집기를 사용해 획득한 퇴적물에서 P-ATP 최대층이 0~0.5 cm 깊이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표층이 교란되는 상자형 퇴적물 채집기보다는 다중주상 시료채집기가 심해저 퇴적물내 ATP의 미세수직구조의 연구를 위해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론적으로 ATP 농도가 퇴적물 깊이 6cm 이내에서 뚜렷한 수직분포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ATP 분포양상이 향후 심해저 광업에 따른 미생물 생체량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한 환경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vironmental baseline inform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assess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 of future manganese-nodule mining on the deep-seabed ecosystem. Total ATP (T-ATP), dissolved ATP (D-ATP) and particulate ATP (P-ATP) were measured to estimate total microbial biomass and to elucidate their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s in the seabed of KODOS (Korea Deep Ocean Study) area,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Ocean. Within the upper 6 cm depth of sediment, the concentrations of T-ATP, D-ATP and P-ATP ranged from 4.4 to 40.6, from 0.6 to 16.1, and from 3.0 to 29.2 ng/g dry sediment, respectively. Approximately 84% of T-ATP, 81% of D-ATP, and 74% of P-ATP were present within the topmost 2 cm depth of sediment, and the distributions of ATP were well correlated with water content in the sedi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tribution of total microbial biomass was largely determined by the supply of organic matter from surface water column. Fine-scale vertical variations of ATP were detected within 1-cm thick veneer of the sediment samples collected by multiple corer, while no apparent vert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box-cored samples. It is evident that the box-core samples were disturbed extensively during sampling, which suggests that the multiple corer is a more appropriate sampling gear for measuring fine-scale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 of ATP within thin sediment veneer.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concentrations of ATP, given their clear changes in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 within 6 cm depth of sediment, are a suitable environmental baseline parameter in evaluating the variations of benthic microbial biomass that are likely to be caused by deep-seabed mining operation.

      • KCI등재후보

        혐기성 해양환경에서 철 환원세균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생물정화

        현정호,Hyun Junc-Ho 한국해양학회 2005 바다 Vol.10 No.3

        산소가 고갈된 혐기성 환경의 유기물 분해 및 물질순환에서 철 환원반응의 생태/환경적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양한 해양환경에서 유기물 분해 시 철 환원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미약한 수준에서 거의 $100\%$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극단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철 환원은 Fe(III)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황산염 환원보다 중요한 유기물 분해 경로로 나타나, 유기물 분해에서 철 환원의 중요성은 철 환원세균이 이용 가능한 Fe(III)의 공급정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산소공급이 미약한 연안혐기성 퇴적토 내에서 Fe(III)의 공급은: (1)조석에 의한 퇴적물 내 공극수의 교환(tidal flushing): (2)저서동물에 의한 생물교란: (3)식생의 유무에 따른 퇴적물의 산화/환원 상태의 변화 등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 환원세균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다양한 금속원소의 전환기능을 이용한 특정 유기오염원과 금속오염원의 생물정화는 우리나라와 같이 부영양화된 연안생태환경의 개선 및 독성 유t무기 오염원의 생물정화 등 연안역의 환경친화적 관리가 절실히 요구되는 환경에서 생태/환경공학 분야의 유용한 해결수단으로 간주된다. I reviewed a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microbial carbon respiration coupled to dis-similatory reduction of fe(III) to Fe(II) which is one of the major processes controlling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and behavior of metals and nutrients in various anaerobic environments. Relative significance of Fe(III) reduction in the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in diverse marine environments appeared to be extremely variable, ranging from negligible up to $100\%$. Cenerally, Fe(III) reduction dominated anaerobic car-bon mineralization when concentrations of reactive Fe(III) were higher, indicating that availability of reactive Fe(III) was a major factor determining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Fe(III) reduction in anaerobic carbon mineralization. In anaerobic coastal sediments where $O_2$ supply is limited, tidal flushing, bioturbation and vegetation were most likely responsible for regulating the availability of Fe(III) for Fe(III) reducing bacteria (FeRB). Capabilities of FeRB in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and conversion of metals implied that FeRB may function as a useful eco-technological tool for the bioremediation of anoxic coastal environments contaminated by toxic organic and metal pollutants.

      • KCI등재

        북동태평양 심해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 저서 생물군집의 위도별 특징

        현정호,최진우,이경용,김동성,Hyun, Jung-Ho,Choi, Jin-Woo,Lee, Kyeong-Yong,Kim, Dong-Sung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pattern of meiobenthos in the deep sea bottoms of northeastern Pacific during July 1998. The faunal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the multiple corer at ten stations; eight stations along the transects from 5$^{\circ}$N to 12$^{\circ}$N, and two stations in the Preservation Zone and Impact Zone of the KODOS (Korea Deep Ocean Study) area. The organic carbon content in sediments ranged from 0.79 to 1.76 mg cm$^{-3}$, and higher concentration appeared at stations in lower latitudes than 8$^{\circ}$N. The most abundant meiobenthos was nematodes and followed by foraminiferans; these two taxa comprised more than 70% of the total abundance at all stations. The most abundant meiobenthos occurred with mesh size of 0.063 nm. The maximum density of meiobenthos was 442 ind./10 cm$^2$ at station N5, and the density gradually decreased toward station N8 where the minimum density of 92 md./10 cm$^2$ was found. More than 60% of meiobenthos were distributed at surface sediment layer within 1.0 cm, and the peak abundance was found at 0-0.25 cm layer. The latitudinal distribution pattern of meiobenthos in the study area seemed to be related with the primary productivity of the surface water that is also connected to the water circulation pattern of the Pacific Ocean near the Equator, diverging at latitude of 8$^{\circ}$N and conversing at 5$^{\circ}$N. 본 연구는 심해 중형저서생물의 군집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1998년 7월에 북동 태평양의 북위 5도에서 l2도까지 8개 정점과 KODOS(Korea Deep Ocean Study)해역의 P-zone 및 I-zon게서 각각 1개씩의 정점을 포함한 총 10개의 정점에서 MC(Multiple corer)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퇴적물의 유기탄소함량은 표층 퇴적물 1 cm 깊이에서는 0.79${\sim}$1.76 mg cm$^{-3}$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지역적으로는 북위 8도에 위치한 정점 N8을 기준으로 남쪽에 위치한 정점들(N5${\sim}$N7)에서 북쪽의 정점들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중형저서생물의 각 분류군별 조성비율을 보면 정점 N9와 정점 Nl2를 제외하고는 선충류(nematodes)가 우점하여 전 정점에서 35${\sim}$53%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는 유공충류(foraminiferans)로 이들 두 분류군이 전체 출현 개체수의 70${\sim}$82%를 차지하였다. 개체의 크기에 있어서는 0.125 mm를 통과하고 0.063 mm크기의 체에 남는 생물이 전 정점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위도별 분포양상을 보면 북위 5도의 정점 N5에서 442개체/10 cm$^2$로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고, 북쪽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정점 N8에서 가장 낮은 밀도인 92개체/10 cm$^2$이었다. 북쪽의 정점들에서는 정점 N8보다 다소 높은 161개체/10 cm$^2$${\sim}$175개체/10 cm$^2$의 서식밀도를 보였다. 퇴적물 깊이에 따른 수직분포 양상은 대부분의 정점에서 표층 0${\sim}$0.25 cm에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표층 0${\sim}$1 cm에 약 60%전후의 개체수가 밀집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중형저서생물의 위도에 따른 분포양상은 북위 5도에서의 표층수 수렴과 북위 8도에서의 표층수 발산으로 인한 수층의 일차생산력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강기수역에서의 암모늄 제거율 변화 및 질산화의 잠재적 역할

        현정호,정경호,박용철,최중기,Hyun, Jung-Ho,Chung, Kyung-Ho,Park, Yong-Chul,Choi, Joong-Ki 한국해양학회 1999 바다 Vol.4 No.1

        부영양화된 한강기수역에서의 용존산소 및 $NH_4{^+}$ 제거에 있어 조석의 영향 및 질산화의 중요성을 이해하고자 1995년 7월에 강화도 남단에서 만조, 중조 및 소조 시에 해수시료를 채취하였다. 수온과 DO를 제외한 하계 한강기수역의 생물, 화학적 환경을 결정짓는 요인들이 담수의 유입과 수역 내의 심한 조석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석상태에 따른 용존산소 및 $NH_4{^+}$ 의 제거율은 만조 시 각각 2.76 ${\mu}M\;O_2\;d^{-1}$ 및 1.76 ${\mu}M\;N\;d^{-1}$이며, 간조 시 각각 5.66 ${\mu}M\;O_2\;d^{-1}$ 및 3.36 ${\mu}M\;N\;d^{-1}$로 최대로 나타나 간조 시 담수와 함께 유입되는 다량의 각종 유기물 및 무기영양염에 대한 미생물의 분해 및 흡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NH_4{^+}$-질산화는 간조 시 총 DO 소모량의 약 24%를 차지하며 $NH_4{^+}$-질산화에 의한 $NH_4{^+}$의 회전율도 0.18 $d^{-1}$로 만조 때에 비해 각각 3.7배 및 3배 높게 나타나, 담수성 $NH_4{^+}$-질산화 박테리아가 간조 시 한강기수역으로 유입되면서 DO 및 $NH_4{^+}$의 소모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만조 시 $NH_4{^+}$ 감소율 및 $NH_4{^+}$-질산화가 낮은 것은 염분증가에 따른 담수성 $NH_4{^+}$-질산화 박테리아의 활성이 위축되어 나타난 결과로 보이며, 이상의 결과들은 한강기수역에서 $NH_4{^+}$의 효율적인 생물학적 제거를 위해서는 $NH_4{^+}$를 포함하는 각종 오 폐수가 기수역으로 유입되기 이전에 처리됨이 바람직함을 의미한다. 향후 한강기수역과 같은 대규모 담수의 유입이 일어나는 부영양화된 기수역에서 질소계 원소의 순환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NH_4{^+}$ 및 $N0_2{^-}$를 유일한 화학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자가영양 질산화 박테리아에 대한 생태적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idal action and $NH_4{^+}$ -nitrification in the removal of dissolved oxygen (DO) and $NH_4{^+}$, concentrations of DO, $NH_4{^+}$, $NO_2{^-}$ and $NO_3{^-}$ were measured with time for water samples collected at different tidal state in the eutrophic macrotidal Han River estuary. Field measurements indicated that most environmental parameters, except for the water temperature and DO concentration, were tightly controlled by the eutrophic freshwater runoff and large-scale tidal action. Dark incubation of the water sample at $25^{\circ}C$ showed that the removal rates of DO and $NH_4{^+}$ in high tide sample were 2.76 ${\mu}M\;O_2\;d^{-1}$ and 1.76 ${\mu}M\;N\;d^{-1}$ respectively, and increased to 5.66 ${\mu}M\;O_2\;d^{-1}$ and 3.36 ${\mu}M\;N\;d^{-1}$ respectively, in low tide sample. These changes indicated that microbial degradation and uptake of organic matter and inorganic nutrients were more active during low tide. $NH_4{^+}$-nitrification responsible for total DO removal in low tide (23.81%) and $NH_4{^+}$ turnover rates due to $NH_4{^+}$-nitrification in low tide (0.18 $d^{-1}$) were approximately 3.7 times and 3 times,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in high tid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NH_4{^+}$ -nitrifying bacteria introduced into the Han River estuary during low tid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removal of DO and $NH_4{^+}$. The decreasing removal rates in DO and $NH_4{^+}$ with the increasing tidal level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the salinity impact on the halophobic freshwater $NH_4{^+}$-nitrifying bacteria. The results implied that anthropogenic $NH_4{^+}$ sources should be treated prior to the freshwater runoff into the estuary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NH_4{^+}$ in the Han River estuary.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parallel ecological studies on the chemoautotrophic nitrifying bacteria are essential for the elucidation of nitrogen cycles in the eutrophic Han River estuary.

      • 소형 NMR을 위한 Distributed Shim 코일의 최소전력 설계

        현정호(Jung-ho Hyun),서증훈(Jeung-hoon Seo),김혁기(Hyuk-gi Kim),김경한(Kyung-han Kim),오창현(Chang-hyun Oh) 대한전기학회 2009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09 No.10

        MRI 또는 NMR용 영구자석의 magnetic field에 대한 불균일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magnet-specific shimming 방법을 제안하였다. 보다 개선된 magnetic field homogeneity를 만들 수 있고 적은 power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shimming이 가능한 shim model을 위하여 14개의 shim coil로 구성된 shim model과 일반적으로 원하는 모양을 구현 할 수 있는 distributed shim coil을 비교하였다. Distributed shim coil은 120개의 작은 loop element coil로 가정하여 효율적으로 magnetic field의 불균일도를 개선하는 방법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100 ppm의 magnetic field의 불균일도를 갖는 0.5 T의 permanent magnet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14개의 shim coil로 구성된 경우에 비하여 distributed shim coil로 구성된 경우의 magnetic field의 불균일도와 shimming을 하기 위해 소모되는 power의 양이 훨씬 적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