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업 정체성의 조절 효과

        허난설(Heo, Nanseol)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업 정체성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으로는 전국에 분포한 초등학교에서 재직 중인 148명의 교사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소진의 세 가지 양상 중 정서적 소진과 비인간화와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으나, 개인적 성취감의 감소와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 정체성의 경우, 소진의 세 가지 양상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 직업 정체성은 직무 스트레스와 정서적 고갈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172, t=2.632, p<.01). 사후 분석 실시 결과, 직업 정체성이 높은 집단은 직무 스트레스가 낮은 상황에서는 직업 정체성이 보통인 집단에 비해 정서적 고갈 수준이 낮지만,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는 직업 정체성이 중간인 집단보다 정서적 고갈 수준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직업 정체성이 낮은 집단은 직무 스트레스가 낮거나 높은 상황 모두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의 정서적 고갈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교사들에게 높은 직업 정체성은 직무 스트레스가 낮은 경우에는 직업 소진을 완화하는 데 유의미한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직무 스트레스가 어느 수준 이상 높아진 상황에서는 더 이상 유의미한 역할을 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 교사 소진 예방을 위한 정책 및 상담 서비스에 대한 제언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identity,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nts were 148 teachers working in the elementary schools across South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of the three sub-factors of the burnout, while job stres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Professional identity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three sub-factors of the burnout. The result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β=.172, t=2.632, p<.01). As a result of the post 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exhaustion level of the group having higher professional identity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groups having moderate professional identity under that lower job stress situation. However, as the job stress increased, the emotional exhaustion level of the group having higher professional identity was higher than the groups having moderate professional identity. The group having lower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higher level of the emotional exhaustion than other groups regardless of the job stress level.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s that high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has a buffering effect on burnout under the lower job stress situ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le it tends to be diminished as job stress increases.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counseling services for the preven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are provided.

      • KCI등재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효능감의 관계 : 개방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정유빈(Chung, Yubin),허난설(Heo, Nanseol)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개방성, 사회불안이 이들의 사회적 효능감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는 서울과 충남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9명이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데는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및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한 매개모형 검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효능감의 관계에서 개방성과 사회 불안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적 효능감에 직접효과를 가지지 않았고, 개방성과 사회불안을 매개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만을 나타냈다. 매개효과의 개별 경로의 유의성을 팬텀변수를 사용한 부트스트랩 검증으로 확인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개방성과 사회불안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사회불안만을 매개하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사회불안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효능감의 관계, 개방성과 사회적 효능감의 관계 모두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에 입각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불안 및 사회성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nalized shame, openness, and social anxiety how those factors influence social efficacy. In a study of 239 undergraduates in the Seoul and Chung-Nam area, the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s) were used to investigate a mediation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among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efficacy, openness and social anxiety. To be specific, internalized shame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ocial efficacy, but represent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by mediating openness and social anxiety. Testing a bootstrapping with a phantom variable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a mediating effect of each path, internalized sham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efficacy by mediating openness and social anxiety in order.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open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Social anxiety had direc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efficacy and between openness and social efficacy of undergraduates. Lastly, research proposed an implication on social anxiety and social skills programs for undergraduates based on the results. Also,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상담자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

        김연주(Kim, Yeonju),허난설(Heo, Nanseol)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상담자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심리적 소진, 자기불일치의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성인 및 아동·청소년 상담자 28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상담자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불일치, 심리적 소진은 서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불일치는 상담자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상담자들은 소진이 될 확률이 높으며, 이들이 소진되는데 있어 자기 불일치와 관련된 심리적 혼란이 유의미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상담자의 교육 및 수퍼비전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burnout, and self-discrepancy of counselor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urnout.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288 adult, child, and adolescent counselor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unselor 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discrepancy, and burnout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self-discrepanc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urnout. This study proved that counselors who have a high level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re more vulnerable to burnout, and psychological confusion relating to self-discrepancy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eir burnout. Lastly, the authors provide suggestions to clinical supervisors and counselor educators who work with counselors who have a high level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인 외상 경험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직업정체성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 : 상담자를 중심으로

        김연수(Yeonsu Kim),류현교(Hyeonkyo Ryu),허난설(Nanseol H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는 흔히 상처 입은 치료자 이론(Nouwen, 1999) 통해 대표되는 가설, 즉, 대인 외상을 경험한 상담자가 외상 후 성장을 통해 높은 수준의 직업 정체성을 얻게 되는 과정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대인 외상 경험에 대한 의도적 반추가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시⋅군⋅구 청소년상담센터와 같은 공공 상담 기관, Wee센터, 초⋅중⋅고등학교, 사설 상담 기관, 교정직 관련 기관, 사회복지시설, 대학부설 상담 기관 등의 상담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상담자 28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해서는 PASW Statistics 18.0, SPSS PROCESS macro 3.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외상 후 성장 변인의 매개 효과에 대해서는 총합 변인으로서의 단순매개효과를 분석 하였고, 추가적으로 외상후 성장 변인의 하위 요인들을 각각의 매개 요인으로 설정하여, 병렬다중매개모형 분석도 실시하였다. 결과 우선 상담자의 대인 외상 경험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직업정체성과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을 총점 변인으로 사용하였을 때, 외상 후 성장 변인의 부분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의 4개의 하위 변인(자기 지각의 변화, 새로운 가능성 발견, 대인관계 깊이 증가, 영적, 종교적 흥미 증가) 각각을 매개 변인으로 병렬 매개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 후 성장의 하위 요인 중 ‘자기지각의 변화’에 의한 부분 매개 효과만이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결론 상담자의 대인 외상 경험에 대한 의도적 반추가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상 후 성장은 매개 효과가 있다. 또한. 상담자의 대인 외상에 대해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의 4가지 하위 측면과 정적으로 연관되나, 그 중에서도 ‘자기 지각의 변화’만이 유일하게 상담자로서의 직업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counselors who ruminated their past traumatic experience deliberately have higher tendency to achieve post-traumatic growth(PTG), and it may help counselors professional growth, as represented by ‘wounded healer(Nouwen, 1999)’ hypothesi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T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on interpersonal trauma and job identity among counselors. Method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of 280 counselors, who have worked at diverse settings such as youth counseling centers, schools, prisons/youth correctional centers, and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PASW Statistics 18.0, SPSS PROCESS macro 3.5 programs.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TG, PTG variable was entered with the total score in the analysis, and its simpl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on on interpersonal trauma and job identity of the counselor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ub-factors of PTG seperately were tested in the same model.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eliberate rumination on interpersonal trauma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identity, and PTG was partially and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variables. When four sub-factors of PTG was entered separatedly as mediating factors in the same analysis, only ‘self perception change’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on interpersonal trauma and job identit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TG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on interpersonal trauma and jon identity among counselors. In addition, counselors who ruminated their interpersonal trauma deliberately have higher tendency to all four sub-aspect of PTG, but only ‘self-perception changes’ of PTG have significant effect on counselors job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