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의 수식과 접속 구조에 대한 고찰

        함병호 국제언어문학회 2023 國際言語文學 Vol.- No.56

        본고는 한국어학에서 수식과 접속 개념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수식과 접속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통사 구조를 논의하였다. 먼저 수식과 접속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수식은 피수식어의 의미 범위를 제한하는 의미적 기능이며 수식 구조에서 핵어에 의존적인 성분이 지니는 통사적 기능이다. 그리고 접속은 두 통사 단위가 연결되는 기능으로, 다양한 의미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명사구와 복문에서 수식과 접속이 모두 적용되는 구조를 살펴보았다. 명사구에서 관형격 조사 ‘의’가 필수적으로 결합된 명사구는 ‘① 수식 → ② 접속’의 순차성을 지니는 구조이고, 동격 구성은 ‘① 접속 → ② 수식’의 순차성을 지니는 구조이다. 복문에서 종속절은 ‘① 접속 → ② 수식’의 순차성을 지니는 구조이고 연계 관형사절과 화용 해석의 관형사절은 ‘① 수식 → ② 접속’의 순차성을 지니는 구조이다. 그리고 규범 문법에서 ‘수식+접속’의 기능으로 논의되는 접속 부사는 수식 기능이 아닌 접속 기능만 지니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usage patterns of modifications and conjunctions in Korean grammar and discussed syntactic structures in which modifications and conjunctions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Firstly, The concepts of modifications and conjunctions are as follows. Modification is a semantic function that limits the meaning range of the modified component and is a syntactic function of a component dependent on the core word in the modification structure. And conjunction is a function that connects two syntactic units and can express various meanings. Next, the syntactic structures to which both modification and conjunction are applied are noun phrases and complex sentences. In a noun phrase, a noun phrase in which the adnominal case particle is necessarily combined has a structure that has the direction of ‘① modification → ② conjunction’, and an appositive construction has a structure that has the direction of ‘① conjunction → ② modification’. In complex sentences, subordinate clauses have a structure with the direction of ‘① conjunction → ② modification’, and linking adnominal clauses and adnominal clauses in pragmatic interpretation have the structure with the direction of ‘① modification → ② conjunction’. Finally, conjunctive adverbs only have a conjunctive function, not a modifying function.

      • 21세기를 지향하는 안전분야 변화방안

        함병호,Ham, Byeong-Ho 대한산업안전협회 1999 안전기술 Vol.18 No.-

        개별 기업들이 공개적으로 언급하기 어려운 안전분야의 현안들을 기업의 입장에서 2000년을 성공적으로 맞이하기 위한 "21세기를 지향하는 안전분야 변화방안"에 대한 연구내용을 소개한다.

      • KCI등재

        감탄사가 수식언인가

        함병호 동악어문학회 2022 동악어문학 Vol.87 No.-

        This paper asserts that Korean exclamations cannot be included in modifiers. Specifically, it was discussed that the modifier function of the exclamation cannot be recognized and that the exclamation cannot be included in the modal adverb. The main poi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exclamation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arts of speech in that it expresses the speaker's attitude, has independence, and is used as a typical minor sentence. Second, independent words need to be set to a different class from modifiers in that they are components that show pragmatic functions.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modifier function in that an exclamation can be used as a minor sentence without a following component. Exclamations that do not assume a listener or have a fixed meaning are characterized by being easy to use as minor sentences by themselves. Third, exclamations and modal adverbs show several grammatical differences. If we look at the semantic relevance to the following sentence, the possibility of the appearance of indirect quotative clauses, the distributional difference, the descriptive possibility in the cleft sentence, repetition in sentences and modifier possibilities of degree adverbs, the exclamation is a different word from the modal adverb. 한국어의 감탄사는 여러 논의들에서 수식언이나 양태 부사에 포함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감탄사가 독립적인 품사 범주임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감탄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논의하였다. 감탄사는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고, 독립성을 지니며 전형적인 소형문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다른 품사와 구분된다. 화용적 기능을 나타내는 성분이라는 점에서 독립어는 수식어와 다른 부류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감탄사는 후행 성분이 없이 소형문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주로 소형문으로만 사용되는 감탄사와 항상 문장에 후행해서 사용되는 감탄사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감탄사를 수식언에 포함할 수 없다. 감탄사 중에서 청자를 고려하지 않거나 고정된 의미를 가진 감탄사들은 그 자체로 소형문으로 사용되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감탄사와 양태 부사는 여러 문법적인 차이를 보인다. 후행 문장과의 의미적 관련성, 간접 인용절에서의 출현 가능성, 분포적 차이, 분열문 구성에서의 서술 가능성, 문장에서의 반복과 정도 부사의 수식 가능성을 살펴보면 감탄사는 양태 부사와는 다른 단어 부류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통사적 주제어에 대한 고찰

        함병호 돈암어문학회 2022 돈암어문학 Vol.41 No.-

        본고는 한국어 주제어의 개념과 주제어 구문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완전문에 선행하는 ‘은/는’ 결합 성분들의 통사적 지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통사적 주제어의 개념이 필요하다. 주제어는 용언의 논항구조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주제의 의미 특성을 지닌 문장 성분이다. 이러한 한국어의 주제어 구문은 ‘1단계 정보구조 반영 → 2단계 논항구조 반영’의 과정을 거쳐서 형성된다. 정보구조에 의해서 주제가 형성되면 후행 성분은 다양한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주제 성분이 논항구조에 반영되지 않으면 이 주제 성분은 통사적 주제어로 분석된다. 주제어의 유형에서 화용 해석의 주제어는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이중 주어 구문의 주제어는 NP2의 요구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논의되기도 하지만 주제어의 성립에 이러한 관련성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심리 형용사 구문에서 문두 성분은 주제어로 분석될 가능성이 있다. 형용사는 문장 성분의 확대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데, 성상 형용사와 심리 형용사는 모두 주관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상 형용사와 심리 형용사 구문은 주관성을 나타내는 통사구조에서 일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심리 형용사의 문두 성분은 주제어보다는 주어로 분석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 KCI등재

        인지 동사 인용 구문에 대한 고찰

        함병호 국제언어문학회 2022 國際言語文學 Vol.- No.51

        This paper examines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verb quotative construction, and to examine syntactic constraints and the phenomenon of substitution of Josa. First, the cognitive verb quotative construction expresses subjective judgment on the content of the proposition.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riginal speaker = quotative speaker’ is established, and the content of the quotative construction has ‘reflexivity’. However, if the original speaker is in the third person, an additional requirement is required that the quotative speaker directly hear or observe the information in the quotative clause. Cognitive verb quotative construction have restrictions on the combination of imperative and propositive endings, but they can be combined when these endings are used as the content of a quotation. Cognitive verbs that can be replaced with the ‘하다(hada)’ are affected by the ending of the quotative clause, the so-called SEA construction. In some cognitive verb quotative construction, both the active and passive forms can be used because the subject of thought is the object directly affected by the act of thought. In the cognitive verb quotative construction, when the quotative construction ‘i/ka’ component is replaced with the ‘ul/lul’ component, this component is analyzed as a contrastive topic. 본고는 인지 동사 인용 구문의 의미 특성을 살펴보고 통사적 제약과 조사교체 현상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인지 동사 인용 구문은 명제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 판단을 나타내는 구문으로, ‘원화자 = 인용 화자’의 관계를 맺어 인용절의 내용은 ‘재귀성(再歸性)’을 지니게 된다는 특징이있다. 그러나 원화자가 3인칭인 경우에는 인용 화자가 인용절의 정보를 듣거나 관찰해야 한다는 추가적인 성립 요건이 필요하다. 또한 인지 동사 인용 구문은 발화 동사 인용 구문과 달리 화자가 문장의 명제 내용 형성에 관여하는정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 인지 동사 인용 구문은 직접 인용절에서 명령형 어미와 청유형 어미의 결합에 제약이 있으나 이 어미들이 인용의 내용으로 사용될 때에는 결합할 수 있으며, 대동사 ‘하다’로 교체될 수 있는 인지 동사는 인용절의 어미나 SEA 구문의영향을 받는다. 일부 인지 동사 인용 구문에서는 사유의 주체가 바로 사유 행위의 영향을 받는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인용 동사에 능동형과 피동형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인지 동사 인용 구문에서 인용절의 ‘이/가’ 성분이 모절의 ‘을/를’ 성분으로교체될 때 이 성분은 대조 주제로 분석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을/를’ 성분은 대상을 새롭게 제시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 공정안전 보고서 제도 시행에 대한 기업의 당면과제와 대응 방안

        李永淳,咸昞鎬 서울産業大學校 1995 논문집 Vol.42 No.1

        Legulations and Codes which are implementing in U. S.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OSHA), Taiwan, ILO etc. were reviewed to find duties of industry for process safety management system approaches, and recent issues and problems of the Process Safety Management Report System in Korean chemical industries were investigated. Recent issues and problems of the Process Safty Management Report System in Korean industries were resulted as follow 1. Understanding of effective PSM system of all workers and managers 2. Reorganization of effective, comprehensive safety organization for PSM system 3. Education and training for PSM members, supervisors and workers 4. Development of effective, comprehensive PSM mddel

      • KCI등재

        간접 인용절의 통사적 지위

        함병호(Ham, Byeong-ho) 국제언어문학회 2020 國際言語文學 Vol.- No.47

        본고는 명사절, 부사절과의 관련성을 통해서 내포절 체계에서 간접 인용절의 통사적 지위를 논의하였다. 먼저, 명사절의 형식, 직접 인용절의 특성, 조사 ‘고’의 생략, 대상성의 의미를 고려하면 간접 인용절을 명사절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다고, -냐고, -라고, -자고’의 부사형 어미화와 다양한 통사적 특성을 고려하면 간접 인용절을 부사절로 분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간접 인용절은 부사절과 명사절의 지위를 모두 가질 수 있다. 종결어미와 조사 ‘고’가 결합한 형태는 부사형 어미이기 때문에 이 어미들이 결합한 간접 인용절은 부사절이다. 그러나 ‘고’가 생략되어 종결어미로만 구성된 간접 인용절은 명사절의 여러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명사절이다. 이때에는 종결어미가 절 표지로 기능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yntactic status of indirect quotative clause in the embedded clause system through the relevance of nominal clause, adverbial clause, and complement clause. First, considering the form of a nominal cl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 quotative clause, the omission of the josa ‘고’, and the meaning of objectivity, indirect quotative clause can be analyzed as nominal clause. Also, considering the adverbial endings ‘-다고, -냐고, -라고, -자고’ and various syntactic characteristics, the indirect quotative clause can be analyzed as an adverbial clause. In conclusion, indirect quotative clauses can be analyzed as adverbial clause or nominal clause. Since the form in which the final ending and the josa ‘고’ are combined is an adverbial ending, the indirect quotative clause combined with these endings is an adverbial clause. However, an indirect quotation clause consisting only of a final ending is a nominal clause because i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of a nominal clause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 KCI등재

        독립어로서의 주제어 설정에 대하여

        함병호 ( Ham Byeong-ho ) 한말연구학회 2020 한말연구 Vol.- No.58

        This paper discusses the validity of the topic word setting as a subclass of independent words. What this paper argu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pic of information structure and the topic word of syntactic structure differs in the definition of the topic, reflection of the discourse context, direction of analysis, and essentiality. Second, topic words can be included in subclasses of independent words. Both the topic word and the independent word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of a sentence component that deviates from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verb.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the presentational word in the system of independent word allows the topic word to be viewed as an independent word. Third, the topic word and the presentational word have a fixed position in the sentence, and represent different types of topic. Therefore, they should be included in each subclass of independent w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