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ian Lifelong Learning in the Context of a Global Knowledge Economy: A Task Re-Visited

        한숭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8 No.3

        This article revisits and reinterprets my previous paper. It is a snapshot of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building in selected Asian countries, reflected in the mirror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the 1997s and the aftermath of that event. I reconsidered the arguments (1) the economic recession had delivered a global dimension of lifelong learning to the re-shaping of the local education system beyond local attributes; (2) and that the divergent tradition of adult education in this context was to meet the global market standards. Additionally, (3) I tried to further the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forces and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he context of a knowledge economy, but with a number of different approaches. I argued that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under the global forces of capitalism, as per the Asian experience in the 2000s, can be a part of a knowledge economy itself, not a tool of it, and in this sense, a knowledge economy sets the conditions of a lifelong learning system as an embryo of its attributes.

      • KCI등재
      • 포괄적 고등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기조 분석

        한숭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최근 우리나라 대학 개혁의 핵심 방향은 대학정원 감축과 점진적 퇴출이다. 이는 저출산 고령화로 학령인구가 감소함으로써 대학의 대규모 미충원 사태가 예상되는데 따른 조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대학 구조조정은 대학의 생존 차원에서 본 공급자 중심의 방책으로서, 변화하는 고등교육 생태계 전반을 이해하지 못한 협소한 관점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북미, 유럽, 아시아 할 것 없이 대부분의 국가들은 평생학습의 흐름 속에서 성인들의 대학 회귀를 새롭게 조명하면서, 대학을 고등교육 수준의 평생학습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재개념화하고 새롭게 디자인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고려할 때, 대학정원 감축에만 초점을 맞추거나 성인에게 부수적으로 대학교육의 접근기회를 확대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책 사업은 표피적 수요만을 만족시키는 한계가 있다. 미래대학이 추구해야 할 방향성에 대한 명확한 그림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채 고등교육과 평생학습 정책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대학의 본질적 의미를 재정립하고 철학과 비전이 있는 정책기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현재의 고등교육체제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향후 정책기조를 제시하고자 했다. 고등교육을 배경으로 하는 새로운 국가평생학습정책의 토대변화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1) 상황 및 개념적 특성(제2-4장), (2) 유럽과 북미의 변화(제5-6장), (3) 한국 고등평생학습 패러다임의 변화와 법제도 분석(제7장), (4) 현실 속의 한계와 틈새 분석(제8장) 등을 통해 현재적 위치를 파악하고, (5) 포괄적 고등평생학습의 정책 기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제9장). 각 장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 ‘한국의 대학, 변화의 길목’에서는 고등평생학습체제로 재편하는 일은 비단 평생학습사회의 구축이라는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현재의 고등교육체제의 발전과 혁신이라는 차원에서도 분명히 필요한 일임을 설명하였다. 글로벌 지식경제에서 고등교육 보편화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성인1기뿐만 아니라 성인2,3기에게까지 고등교육을 개방화해온 역사적 궤적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장에서는 이러한 고등교육과 성인교육의 불가분적 관계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대학의 의미를 다시 규정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관련하여 ‘포괄적 고등평생학습체제’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 검토되어야 할 쟁점들을 열거하였다. 제3장 ‘고등평생학습: 정책적 토대’에서는 고등교육을 평생학습이라는 개념 안으로 끌어들여 이해해야 하는 정당성을 설명하였다. 중등교육까지 보편화가 이루어진 지금의 수준에서 사회교육은 초중등 학교교육의 보완적 성격을 넘어서 평생교육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성인교육도 사회교육이라는 이념틀에서 벗어나서 고등교육의 장에서 현실화되어야 한다. 1999년 사회교육법에서 평생교육법으로의 전환은 평생학습정책의 중심이 이미 성인기초교육에서 고등수준평생학습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평생학습과 고등교육의 본격적이고도 적극적으로 접점 속에서 향후 정책의 새판 짜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제4장에서는 ‘고등평생학습체제의 개념적 특징과 정책가치’를 추출하였다. 대학이 최초교육뿐만 아니라 순환교육 차원에서 그 기능이 확장되는 ‘포괄적 고등평생학습체제’에서는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에 대한 재편이 선행되어야 한다. 고등평생학습체제는 (1) 고등수준에서의 평생학습이 수행될 수 있는 포괄적인 환경, (2) 그러한 맥락 안에서 활동하는 복수의 교육공급자군 및 프로그램(교육과정), (3)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들, 그리고 (4) 학습자들의 교육접근, 학습과정, 학습결과인정 및 그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조망하고 지원 관리할 수 있는 법과 제도적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장에서는 각각의 요소들을 재개념화 하고, 이에 터하여 고등교육 정책의 핵심기조로 보편성, 개방성, 실용성, 계속성, 통합성, 지역성, 생태성을 제안하였다. 제5장과 제6장에서는 고등평생학습에 대한 지구적 관점을 검토하기 위해 유럽과 북미의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먼저, 제5장 ‘보편고등교육과 엘리트고등교육의 변증법: 유럽 사례’에서는 영국, 독일, 스웨덴, 핀란드의 고등교육 변화양상과 정책기조를 검토하였다. 과거 엘리트대학으로 한정되던 유럽은 고등교육의 보편화를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글로벌 지식기반경제로의 변화 및 1990년대 평생학습 담론에 기반하여 성인학습자들의 고등교육 참여를 높이는 정책을 꾸준히 시행해 왔으며, 새로운 유형의 고등교육기관들을 분화시켰다. (1) 엘리트 고등교육과 보편고등교육의 변증법적 발전 전략, (2) 대학 내외부의 계속교육 강화 및 대학과의 연계 시스템 구축, (3) 고등평생학습체제를 구축함에 있어서 대학의 핵심적 역할 강조, (4) 고등교육 기관 차원의 자율적 고등교육 생태계 구축, (5) 노동시장과 고등교육의 연계성 속에서 정책 시행 등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체제에 시사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적 접근과 회집체로서의 학습체계, 그리고 포스트-평생학습론 사유

        한숭희,최근정 한국평생교육학회 2023 평생교육학연구 Vol.29 No.3

        교육 연구의 흐름은 늘 새로운 사회과학적 조류의 영향을 받는다. 최근 주류로 이동하고 있는 포스트-휴머니즘적 접근은 평생학습을 이해하는 데에도 점차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적 접근이 가지는 '인간 너머(more-than-human)'라는 출발점은 이러한 객체지향성을 통해 인간의 학습을 이해하려는 시도와 맞닿아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세상을 보는 존재론 자체를 이전의 인간중심적 세계관, 즉 근대주의적 세계관과는 다른 방식으로 규정한다. 학습을 포스트-휴머니즘적 접근으로 이해하는 일은 왜 중요한가? 또한, 이러한 사유의 전환은 평생학습의 현상적 실체를 포착하는데 어떤 실체적 효과성을 부여해주는가? 그리고 지금까지 포착하지 못한 어떤 새로운 차원을 포착하게 해 주는가? 이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포스트-휴머니즘적 맥락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평생학습이 함의하는 학습의 존재와 조건, 기능들을 규정하려고 시도하였다. 첫째, 학습의 개념을 '인간-너머'의 차원에서 재진술하였다. 둘째, 학습의 개체중심성을 넘어 그를 포함한 인간-물질-욕망-운동성 등을 포함한 체계적 차원에서 포착하는 것으로서의 학습체계로 재규정했다. 셋째, 회집체적 존재론에 근거하여 학습체계를 어셈블리지, 즉 그 조합과 운동성 자체가 그 체계 안에서 생성되는 '되기'의 과정으로 진술했다. 넷째, 이러한 학습체계 중심으로 포착한 평생학습 현상은 이전의 평생학습 1.0 혹은 2.0과 구분되는 형태로서의 3.0 프레임, 즉 포스트-평생학습으로서의 새로운 전제들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Lifelong learning research is continuously influenced by new scientific trends. The posthumanist approach that has recently moved into the mainstream is also increasingly influencing the understanding of lifelong learning. The posthumanist approach's 'more-than-human' perspective aligns with the attempt to understand human learning from an object-oriented and flat ontological standpoint. Posthumanism redefines ontology, offering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previous anthropocentric worldview, that is, the modernist worldview. In this transitional phase, we aim to address three meaningful questions:. 1. Why is it important to understand lifelong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sthumanist approach? 2. How does this shift in perspective capture the phenomenological reality of lifelong learning? 3. What new dimension does this approach uncover? The posthumanist approach has liberated lifelong learning from the constraints of educational 'essentialism'. In early models of lifelong learning research, humans were depicted as subjective beings, yet they were often confined to reproducing a predetermined world and essence. Although humans have been portrayed as self-directed learners, the actual learning process has always been tied to curriculums, competencies, and fixed outcomes. A truly Copernican shift in learning starts with relocating lifelong learning to an object-oriented perspective. Post-humanism rejects human pretentious subjectivity and reduces the burden of knowledge imposed upon them by the world. The traditional subject-centered learning theory was reinterpreted as object-oriented in this paper. The essence of the post-lifelong learning concept we are discussing is to move away from understanding learning as the accumulation of individual knowledge by Cartesian individuals. Instead, it is about viewing learning in terms of 'extension performed by activity systems'. In this paper, the researchers, first, redefined the concept of learning within the context of the 'more-than-human' dimension. Second, the learning process was redefined as an activity within a learning system that transcends the object-centeredness of learning and encompasses a systematic level including human-material-desire-movement. Third, the learning system was conceptualized based on the idea of assemblage or assemblage ontology. The combination and movement within the system are described as a process of 'becoming' that emerges from and is produced within the system's elements. Fourth, this lifelong learning phenomenon centered around the 'learning system' wa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learning ontology, which was based on isomorphism. We define this new framework as 3.0, that is, post-lifelong learning, marking it as distinct from the previous lifelong learning concepts of 1.0 or 2.0.

      • KCI등재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성과와 학교기반 교육학에 대한 문제제기(2000-2023)

        한숭희 한국평생교육학회 2023 평생교육학연구 Vol.29 No.4

        이 글은 한국교육학회 70주년을 계기로, 그 동안 평생교육학이 교육학 전체에 어떤 학문적이고 이론적 기여를 해왔는지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평생교육학이 어떻게 학교교육학의 이론적 지형을 변형해왔으며, 그 외곽에 어떠한 새로운 교육체계와 이론적 지향점을 구축해왔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동 학회가 지난 20여 년 동안 발간해 온 <평생교육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내용을 재분류하고 그 흐름 속에서 기존 교육학과 대비되는 평생교육학의 이론적 기여도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생교육학 연구들은 끊임없이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과 차별적인 자기 정체성을 개발해 왔지만, 초기 사회교육의 정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교육의 개념, 대안적 가치, 학습이론, 활동 영역과 지향적 가치 등을 창출해 왔다. (2) 특히 평생학습에 관한 이론 연구는 학교학습과 대비하여 새로운 학습이론의 출발점이자 동시에 새로운 학습과학 영역의 창출이라는 성과를 도출했다. (3) 고등평생교육 영역과 성인교육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제도화 과정은 그 자체로 평생학습체제의 구축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 학교와 대학의 근대주의적 구조를 변형하고 대체할 수 있는 포스트 근대적 교육체계를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4) 평생교육학은 교육학의 담론의 중심을 교육에서 학습으로 전환하면서 그 안에서 학교사회 대 학습사회라는 대치 구도를 형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 and to reveal what kinds of academic and theoretical contribution that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has made to the overall educational sciences in general. In particular, what this study focuses on is exploring what the lifelong education theories have been constructed and how they gave impact on the dominant school-centered mainstream educational theories. Among many,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lifelong education as theory has transformed the theoretical landscape of school-centered ontologies in pedago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classified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which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in Lifelong Education has published over the past 20 years, and extracted the theoretical contrasts that lifelong education created in comparison with existing school-based educational theories from that flow.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pursue of the foundational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es of lifelong education have continuously created alternative educational concepts, values, and learning theories that gave impacts on transforming or replacing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Korea’s school education system. (2) In particular, researches and theories on lifelong learning resulted in the new starting point of alternative learning theories and, at the same time, the creation of a new field of learning sciences. (3) The continuous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n the areas of adult and higher lifelong education was a consequence of the efforts, and also it was an effective leverage of education system in post-schooling era that transforms and replaces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the schools and universities. (4) Lifelong education has shifted the focus of pedagogical discourse from education to learning, from which the dominant “schooled society” was gradually de-territorialized and re-territorialized towards “learning society”.

      • KCI등재후보

        화성에서 온 사회교육, 금성에서 온 평생교육

        한숭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1

        사회교육이라는 용어가 평생교육으로 대체된 지 10년이 지났다. 두 개념의 기원과 성장 배경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 두 가지는 동일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과연 평생교육이 사회교육의 뿌리를 그대로 승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도 좋은 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 있었어야 하지만 불행하게도 그런 성찰은 아직까지 없었다. 연구자가 보기에 현재 이 분야가 경험하고 있는 학술적 문제들 및 개념적 혼란 가운데 대부분이 사회교육과 평생교육의 출생배경의 차별성을 무시한 결과에 기인하는 것이며, 그 문제점들은 이 두 개념 사이의 차별성을 전면화함으로써 본격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1) 사회교육은 실천영역에 대한 개념인 반면, 평생교육은 교육사태를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일종의 선택된 이론체계로서, 향후 평생교육연구 영역이 이론적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사회교육이라는 실천영역에 대한 평생교육 적 관점을 서로 다른 차원에서 씨줄과 날줄로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학문적 직조를 짜나가는 일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지적하는 한편, (2) 그러한 맥락에서 교육학적 관점으로서의 평생교육론이 가지는 선택적 교육관과 이론구조적 특징들에 관한 보다 본격적인 탐구와 비전의 구축이 필요함을 설명한다.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oncepts of ‘socia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had been rooted and developed from different origins and theoretical foundations. Although mixed in usage, it shows the two concepts has evolved from the clearly different species, as like one from Mars and the other from Venus. The article shows that the academic irrationalities and conceptual mistakes for last ten years in the academic community, or lifelong education societies in Korea, have been based on the simple mistake of identifying the two key concepts each other without further in-depth philosophical analysis.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I argue, stands for a chosen perspective or theoretical construction invented to understand and re-structure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theory, while the term social education stands for the field of practice, contrasting to school education, as more focusing on remedial and compensatory education for the marginalized. This article, based upon the presumption, explains further on the nature of the chosen perspective that lifelong education has built in the last several decades in Korean academic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