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BRCA 돌연변이 가계의 심리상태 및 삶의 질 평가

        한상아(Sang Ah Han),김새리(Sairhee Kim),강은영(Eunyoung Kang),김정현(Jeong-Hyun Kim),하태현(Tae-Hyeon Ha),양은주(Eun Joo Yang),임재영(Jae-Young Lim),한원식(Wonshik Han),노동영(Dong-Young Noh),김성원(Sung-Won Kim) 대한의학유전학회 2010 대한의학유전학회지 Vol.7 No.1

        목적 : 본 연구는 한국인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가계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암진단 및 돌연변이 보유 여부가 심리 상태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 BRCA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13가계에서 암에 이환된 보인자 17명, 이환되지 않은 보인자 16명, 건강한 비보인자 13명이 본 연구의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 세 군을 대상으로 우울, 불안, 낙관, 유전성 유방암관련 지식수준과 삶의 질을 설문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설문시기는 유전자 검사 후 평균 21개월(6-35)로 세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0.254). 세 군 간의 우울, 낙관, 육체적 삶의 질은 유사했다. 불안은 세 군 모두에서 일반인보다 상승되어 있었다. 이환된 보인자의 정신적 삶의 질은 암에 이환된 보인자가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9, P=0.017). 다변량 분석 결과 정신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 인자는 암이환여부(P=0.043)와 직업유무(P=0.008) 였다. 결론 : 같은 돌연변이 가계 내에서 돌연변이 유무는 우울, 불안, 낙관에서 심리적반작용을 일으키지 않았으나, 돌연변이 가계 구성원의 불안 수준은 돌연변이 유무에 관계 없이 높았다. 본 연구는 소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한 단면적 연구이나, BRCA 유전자 검사에 수반될 수 있는 심리적 스트레스 및 그에 대한 대처법을 수립하는 데 기초연구로 의의를 가진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psychological impact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ancer diagnosis and mutation status in Korean families with BRCA mutation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affected carriers (AC), 16 unaffected carriers (UC) and 13 healthy non carriers (NC) from 13 BRCA mutation famili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Outcomes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depres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anxiet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optimism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LOT-R), knowledge of hereditary ovarian cancer, and quality of life (QoL) (SF-36v2 Health Survey, physical component score [PCS], mental component score [MCS]) among three groups. Result: Level of depression, optimism, and PCS were similar in AC, UC, and NC. Anxiety score was elevated in all three groups. MCS was significantly low in AC than in UC and NC (P =0.009, P =0.017). Knowledge of hereditary breast and ovarian cancer was high in AC than NC (P =0.001). MC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whether patient was affected by cancer (P =0.043) and has occupation (P =0.008) or not in multivariable analysis. Conclusion: From this cross sectional study, psychological adverse effect was not related to the carrier status of BRCA mutation. Elevated anxiety in BRCA family members was observed but, independent to affection and the type of genetic mutation. AC showed low mental QoL. Further effort to understand psychological impact and QoL of genetic testing in BRCA family members is required for follow-up in clinical aspec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프로파일링 효용성의 수사실무적 평가: 프로파일링 수사기법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진숙(Lee, Jin Suk),이주현(Lee, Ju Hyun),최규환(Choi, Kyu Hwan),공은경(Kong, Eun Kyung),김성혜(Kim, Sung Hye),이상경(Lee, Sang Gyung),한수영(Han, Su Yeong),신경아(Shin, Kyung A),조남경(Jo, Nam Kyeong),박준희(Park, Jun Hee),한상아(Ha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실무자들이 프로파일링 효용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실제 프로파일링 의뢰 경험이 있는 수사관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결과, 프로파일링을 활용해 본 수사관들은 프로파일링의 ‘도움여부’, ‘정확도’, ‘신뢰도’, ‘재의뢰 의향’ 등 모든 설문 항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수사과정 중 조사과정에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사건관련 심리특성 및 성향 등에 대한 이해부분에서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답하였다. 특히 ‘죄종별’ 활용정도는 살인이 가장 높았으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은 아동학대와 성범죄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프로파일링 ‘분석기법별’로 살펴보면 피의자의 자백과 관련한 ‘신문전략’ 및 ‘자백획득’이 도움정도, 정확도, 신뢰도에 있어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죄종에 따른 수사기법별’로는 통계적 제한이 있지만 죄종별 특성에 맞게 ‘살인’은 다양한 분석기법이 적용되었고 ‘절도’는 지리적프로파일링, ‘성범죄・아동학대’는 진술분석이 도움을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 ‘성범죄’의 경우 프로파일링 지원건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도움 정도’가 가장 높게 평가된 것은 이 분야에 프로파일링 기법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죄종별·분석기법별 평가에 있어서 ‘도움정도’, ‘정확도’, ‘신뢰도’보다 ‘재의뢰 의향’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은 프로파일링 기법에 대한 실무적 기대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들 평가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범죄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사건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법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는 등 전문교육을 강화한다면 프로파일링 효용성에 대한 평가가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riminal profiling in real crime scene. A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over 100 investigators who had experienced criminal profiling in their actual investigation scene. Incumbent criminal profilers, currently working at CSI branch in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have designed the survey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riminal profiling from four aspects : accuracy, reliability, helpfulness and preference. Firstly,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during the whole investigation process, criminal profiling is most often applied on interrogation scene; the investigators find it most helpful to understand psychological traits of offenders. With regards of type of crime, criminal profiling is most frequently asked for murder cases, while the investigators actually find it most useful for sexual abuse as well as child abuse cases. In terms of techniques of the profiling, ‘investigative interview(to elicit confession)’ and ‘interrogation strategy’ skills are given highest scores on accuracy, reliability, and helpfulness. Considering both types of crime and profiling technique used, the effectiveness is as follow : murder - multiple technique / burglary - geographical profiling / sexual abuse, child abuse-statement analysis. Finally, it is notable that the score of ‘preference’ surpasses the other three factors of accuracy, reliability, and helpfulness, implying that the investigators’ experience of criminal profiling has fairly lived up to expectations and those who had once experienced are willing to make a next request for criminal profiling. Further developing practical techniques and solidifying professional capacity,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of criminal profiling is improved far mor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