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여성해방론

        한상권(Han Sang-Kwon)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7

        1920년대 문화운동의 기본 정신은 개인의 인격과 자유, 평등이었다. 그 결과 여성을 가부장제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시켜 남성과 동등한 인격적 지위에 올라갈 수 있도록 개조해야 한다는 흐름이 형성되었다. 여성의 개성과 인격을 존중하는 사회분위기에 힘입어 조선 최초의 단발여성이 출현하였다. 여성해방의 상징인 단발은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 하에 이루어졌다. 조선최초의 ‘斷髮娘은 기생 강향란이었으며, 이후로도 사회적으로 천대받는 기생들이 단발운동에 앞장섰다.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허정숙을 중심으로 사회주의여성들이 단발을 감행하고 단발의 정당성을 이론화하는 작업에 나섰다. 또한 자유주의 여성들도 생활개선이라는 합리적ㆍ실용적 관점에서 단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그 중심인물이 김(차)미리사였다. 1920년대 후반에 단발을 감행한 이들은 ‘모던 걸’이라 불리우는 신여성들이었다. 반면 사회주의 여성들은 장발로 복귀하였다. 단발이 대중성 확보에 실패했다고 보고 입장을 선회한 것이다. 그 결과 단발은 합리성을 중시하는 자유주의여성들의 옹호만 받게 되었다. 1920년대 여성해방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된 단발이 단순한 여성들의 헤어스타일로 정착된 것은 1930년대 중ㆍ후반에 이르러서였다.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cultural movement in the 1920s was born out of a respect for individuality, freedom and equality. It gave rise to a movement that women should be released from the oppression of a patriarchal system and educated in a way to allow them to enjoy the same status with man. Owing much to the social atmosphere respecting women’s individual character and personality, the ‘bobbed hair girl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 The Kisaeng (entertainment women) who were subject to social discrimination but were socially more active than ordinary women, took the lead in cutting their hair, changing from the traditional uniform chignon style to western style cuts. By late 1925, socialist women led by Huh Jeong-suk began to work on theories justifying ‘cutting hair short’. Women Liberalists as well claimed the advantages of cutting hair short, noting the particular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both elements for living conditions improvements. Kim(Cha) Melisa was a central figure of movement. Those new women who dared cut their hair in the late 1920s were called ‘modern girls’. On the other hand, socialist women went back to the traditional chignon style. They changed their attitude, believing that ‘cutting hair short’ failed to gain public sympathizers. As a result, only the women liberals advocating rationality remained as the only group supporting ‘cutting hair short’.

      • KCI등재

        4월 혁명과 여성 참여 - 2·28대구학생시위로부터 4·11민주항쟁까지를 중심으로 -

        한상권 ( Han Sang-kwon ) 한국여성사학회 2020 여성과 역사 Vol.0 No.33

        4월 혁명의 직접적인 발단은 학원의 정치도구화에 반대하는 2·28대구학 생시위였다. 2월 28일 대구학생시위는 경북고와 대구고 등 남자고등학생이 주축이 되어 시작됐다. 하지만 서너 시간 뒤 경북여고와 대구여고 등 여자고등학생도 시위를 벌였다. 그리고 3·15의거를 계기로 여중생도 4월 혁명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4월 혁명의 중심에 여고생과 여중생 그리고 일반여성이 있었다는 사실은 기존의 남성 중심의 4월 혁명 이해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28대구학생시위로부터 3·15의거를 거쳐 4·11민주항쟁에 이르기까지 4월 혁명에 참여한 여성을 여학생과 일반 여성 두 부류로 나누어 그들의 참여 양상과 활약상을 검토한다. The direct trigger of the April Revolution was the February 28th Dae-gu High School Student Demonstration against the political tooling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The protest began on February 28 with male high school students of Kyungbuk High School and Daegu High School, and after three or four hours,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f Kyungbuk Girls' High School and Daegu Girls' High School also joined. The fact that high school girls, middle school girls, and adult women were at the center of the April Revolution has great significance when it comes to previous understanding that the April Revolution was driven by males. From the February 28th Daegu High School Student Demonstration to the March 15th Uprising and the April 11th Democracy Movement,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participation and acts of th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April Revolution by dividing into two groups: students and adult women.

      • KCI등재

        덕성여자대학교와 덕성여자중고등학교 개교기념일 재검토

        한상권 ( Han Sang Kwo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30

        2020년 창학 100주년을 맞이하는 덕성학원에는 기념일이 5월 17일, 4월 19일, 10월 10일 셋있다. 1950년 5월 17일은 덕성여자대학교에서 얼마 전까지 개교기념일로 기렸던 날이다. ‘덕성여대가 1950년 5월 17일 2년제 초급대학으로 개교하였다’는 주장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이는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덕성여대는 2년제가 아니라 4년제 초급대학으로 출발하였기 때문이다. 덕성여대는 한국전쟁 중인 1952년 신학기부터 수업을 진행하기 시작하여, 1956년에 제1회 졸업생 25명을 배출하였다. 1921년 10월 10일은 현재 덕성여자중고등학교가 개교기념일로 기리는 날이다. 덕성여중고는 이 날을 근화여학교가 인가받은 날이라며 기리고 있다. 하지만 덕성의 역사에서 ‘근화’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1923년 이후이다. 1923년 조선여자교육회 산하 부인야학강습소 이름을 근화 학원으로 처음 지었다. 사회교육기관인 근화학원이 정규 교육기관인 근화여학교로 승격한 것은 그로부터 2년 뒤인 1925년이다. 근화여학교는 이 해 8월 29일 인가받았다. 1920년 4월 19일은 2004년부터 덕성학원이 창학기념일로 기리는 날이다. 이 날은 덕성학원 설립자 차미리사가 조선여자교육회를 조직하여 부인야학을 처음 시작한 날이다. 3·1운동정신을 계승한 조선여자교육회의 창립은 19세기 말 교육구국운동의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1920년대 민족교육운동을 선도한다는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2020년 창학 100주년을 맞이하여 덕성 역사의 정통성과 구성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기념일을 하나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덕성학원 산하 교육기관에서 각각 기리고 있는 기념일의 역사적 의미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Duksung Academy, which celebrates its 100th anniversary in 2020, has three anniversaries: May 17, April 19 and Oct. 10. First of all, May 17 is the day the university celebrated its opening day. Duksung Women's University's anniversary has been known as May 17, 1950. However, it is not true that Duksung Women’s University opened on May 17, 1950, as a two-year junior college. Second, April 19 is the day the Duksung Academy celebrates as its founding anniversary since 2004. Established on April 19, 1920 as the school's founding anniversary, it was the first time that women's night classes were started at the Joseon Women's Education Association's Women's Night School, founded by Cha Melissa, the founder of the Duksung Academy. Third, October 10 is the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Duksung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Duksung Girls’ High School celebrates this day as the day when Geunhwa Girls’ High School was accredited in 1921. The truth, however, is that the principal took over the school from the U.S. military authorities in 1945. Celebrate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Duksung Academy in 2020, the anniversary needs to be unified into one. To do so, we have to change the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Duksung Girls' High School, which has been wrongly honored so far. “The beginning of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be seen as April 19, 1920,” said Duksung Girls’ Middle School principal and president of the university’s general association. By honoring the founding anniversary of the school on April 19, 1920,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under the Duksung Academy need to redefine the meaning of celebrating the centennial of the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소송과 외지부(外知部)

        한상권(Han Sang-kwon) 한국역사연구회 2008 역사와 현실 Vol.- No.69

        The 「Gyeongju-bu Gyeolsong Iban/慶州府決訟立案(the Gyeongju-bu Lawsuit Document)」, currently in custody of the Gyeongju Son House, is a document regarding a lawsuit which was initiated in 1560(l5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over a nobi slave. In this document, offenses and defenses that were exchanged between the plaintiff and the defendant, contents of the documentary evidence(書證) and the accounts of the witnesses, and all the legal debates that ensued, are documented in chronological order. This document also contains the final judgement of tile lawsuit. In that regard this lawsuit document is in perfect shape, and most importantly we can examine tile legal mind of the people at the time, who were determined to have their legal rights protected through a lawsuit, by examining this document. The lawsuit 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showed a minimized intervention on the pan of the authorities, and also the enlarged role of the parties directly involved. And because of such characteristics, tile involved parties were in need of some professional help from legal practitioners. And for those who were in need of such help, the Waeji-bu/外知部 entities were the ones to consult. At the request of the clients, Waeji-bu entities listened to the nature of the complaints and created written accusations for the client, or provided the clients with advices regarding the actual lawsuit process and related techniques. When they were hired as legal representatives of the clients, they appeared at the local office and initiated a lawsuit for them, and whenever they won the suit, they were compensated by tile clients as well. Yet consigning lawsuits to a representative(雇用代訟) was banned in August 1478(9th year of King Seongiong's reign), and Waeji-bu practices were punished by household relocation to border areas(全家徒邊). As a result, Waeji-bu entities did not appear officially in lawsuits that were launched since the 16th century, yet through several traces we can see that they remained in service.

      • KCI등재

        17세기 중엽 해남 윤씨가의 노비소송

        한상권 ( Sang Kwon Han ) 한국고문서학회 2011 古文書硏究 Vol.39 No.-

        In terms of lawsuit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most valued were the principle of requiring parties directly involved in the lawsuit to present relevant material on their own (當事者主義), and the practice of placing importance upon pleads or arguments made at court(辯論主義). They becam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society lawsuits. In other words, the parties involved in the lawsuit were demanded to collect and present all the necessary material pertinent to the case on their own. Under such principles, the people who either initiated or involved in the lawsuit had to be equipped with the capability to see the trial through, and ideally they would have to be a relatively equitable match. Yet in reality, either the parties involved were without such capability, or one side was weaker than the other. The practice of placing ultimate importance upon pleads or arguments made at the court was in danger of being abused, or underused for that matter.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countries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right entitled to an overseer to ensure justice is served(釋明權) was conceptualized in order to ensure more fair and appropriate trials. Granting an overseer to exercise this right contributed very much to the civilian lawsuits that operated upon [the somewhat dangerous] ``Involved parties only-principle,`` and enabled equality to be preserved in substantial terms. It should be noted that an instance, in which the local administrative official presiding at the lawsuit(訟官) exercised this right of his to reach a fair judgement, can be found from the lawsuits filed by the Haenam region`s Yun House over Nobi servants, in the mid-17th century. Of course, the decision of the Gangjin Hyeon`gam prefect, the official in question, to exercise such right did not lead directly to a judgment and the issuing of a sentence, as in contemporary trials. His role was limited, and only his opinion and certain questions regarding the case(``報辭``) were relayed to a higher office with the case itself. Yet as apresider at the case, he raised ``reasonable doubts,`` and was faithful to his duty of ``raising questions,`` in order to ensure a fair and appropriate trial. Also as an exerciser of the right to literally find the truth, he maintained an impartial and neutral attitude, and never leaned to a particular side. This example of the Gangjin prefect`s exercise of this authority shows us that the Joseon society was enjoying a high level of legal culture.

      • KCI등재

        16세기 여주이씨 노비소송과 의송(議送)

        한상권 ( Sang Kwon Han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8 No.-

        여주이씨 노비소송은 草溪에 사는 원고 固城李氏 李春壽와 慶州에 사는 피고 驪州李氏 李浚 형제가 1576년부터 1578년까지 벌인 노비소유권 다툼이다. 여주이씨 노비소송은 忠義衛 이춘수가 李浚이 據執하고 있는 도망 비 多勿沙里를 推給해줄 것을 청구하는 議送所志를 경상도관찰사에게 올림으로써 시작되었다. 여주이씨 노비소송의 당사자는 원고 이춘수와 피고 이준·이순형제이며, 소송의 목적물은 婢子 多勿沙里이고, 청구내용은 도망노비 추심인 것이다. 여주이씨 노비소송은 네 가지 쟁점을 둘러싸고 진행되었는데, 첫 번째 쟁점은 訴訟物인 一名 多勿沙里 一名 班春의 실체였다. 원고는 소송 비자 다물사리가 同今 소생이며 동금은 其每 소생이라고 하여 기매-동금-다물사리의 連繼를 주장하는 반면, 이준은 소송 비자 반춘이 李今 소생이라 하여 李今-班春이라고 맞섰다. 두 번째 쟁점은 원고와 피고가 각각 제출한 慶州府立案의 眞正成立 여부였다. 세 번째쟁점은 이준이 작성하였다는 還授拷音의 위조 여부였으며, 네 번째 쟁점은 소송물인 일명 반춘 일명다물사리의 증인능력 인정여부였다. 여주이씨 노비소송은 소송쟁점을 둘러싸고 당사자가 ‘소송의 내용(실체)’에 대해 辯論을 전개하는 가운데, ‘소송의 절차’에 대한 문제 제기도 있었다. 이를 주도한 측은 피고 이준 형제였으며, 그 방법은 관찰사에게 올리는 議送所志였다. 이준 형제는 관찰사에게 11차례 의송소지를 올려 이춘수 공동소송인의 當事者適格 여부, 송관 忌避신청, 移送요청 등 ‘소송의 절차’에 대해 권리를 행사함으로써 소송의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이처럼 소송 진행과정에서 당사자가 소송의 절차에 관한 의송소지를 올리고 이를 근거로 관찰사가 소송을 지휘하는 양태는 지금까지 보아온 소송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모습이다. 반면 원고 이춘수는 의송소지를 한 차례 올려 이준 還授拷音의 진정성을 辯論하는데 그쳤으며, 이후갖가지 핑계를 대며 訟庭에 現身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소송의 절차에 대한 권리행사로 주도권을 장악한 이준 형제는 관찰사에게 親手自決 즉 직접 決訟해줄 것을 여러 차례 요청하였으며, 마침내 관찰사가 흥해군수에게 親着決折을 지시함에 따라, 여주이씨 노비소송은 소송쟁점이 眞僞不明인 상태에서 절차법인 親着決折法에 의해 마무리되었다. Lawsuit by Yeoju Lee regarding dispute over the ownership of slaves’ signifies that the legalconflict between the plaintiff Chun-soo Lee who had family name Goseong Lee living in Chogye and defendant Lee Joon brother whose family name was Yeoju Lee living in Gyeongju over the ownership of the slaves in 16 century. The case progress of this lawsuit differs from the other typical cases mainly for four reasons as described below. First, the written judgment “Gyul-song-ip-an(決訟立案)” includes 14-page of petition to the provincial governor. This petition consists of 2-page of complaint for filing a suit and the rest of 12-page submitted to the provincial governor during the trial. Second, the plaintiff and defendant actively involved in the litigation procedure bysubmitting the petitions several times. This is noteworthy that the litigants could have exercised not only the right of audience but also procedural right during the course of lawsuit in Joseon Dinasty era. Third, the places of commencing and closing the lawsuits were different due to the reasons such as judge’s recusal, litigant’s application for change of judge, and the order of transferring the case to the other province. Lastly, judge made the final decision according to the rule of constructive admission which is one of the procedural law, when the factual grounds of the cases were ambiguous.

      • KCI등재

        조선시대 소송에서의 기피(忌避)와 회피(回避) -16세기 여주이씨 노비소송을 중심으로-

        한상권 ( Han Sang-kwon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9 No.-

        소송에서 공정한 심리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절차의 공정성만이 아니라 법관의 공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법관의 除斥, 忌避, 回避는 재판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제도이다. 조선시대에도 공정한 재판을 위해 訟者의 재판부 忌避와 訟官의 소송 回避가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오늘날의 법관 忌避를 ‘歸咎訟官’이라 하였으며, 법관이 스스로 직무집행을 피하는 回避를 ‘避嫌公事’라 하였다. 소송인이 송관을 기피하는 歸咎訟官 풍조는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성행하였는데, 이에 대해 지배층은 인심이 퇴락한 때문이라고 파악하였다. 이는 소송이 아예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無訟의 질서를 이상으로 생각하는 유교적 송사관 때문이었다. 이러한 생각 때문에 訟者의 송관기피는 기각되는 게 일반적이었다. 16세기 중엽 노비 소송문서인 「16세기 여주이씨 노비결송입안」에는 忌避의 실상이 잘 드러나 있다. 피고 이준 형제는 ‘경주부윤이 受賂하여 공정한 재판을 기대할 수 없다’는 이유로 관찰사에게 기피신청을 하였으며, 관찰사는 이를 인용하여 송관에게 소송문기를 이송하도록 지시하였다. 그 결과 여주이씨 노비소송은 경주부에서 접수하여 始訟?音을 하였으나 興海郡으로 이송되어 흥해군수가 決訟하였다. 「16세기 여주이씨 노비결송입안」은 回避의 실상도 잘 보여준다. 피고 이준 형제가 송관 기피 신청을 하자, 송관인 경주부윤 趙溥는 「避嫌公事」를 올려 자신이 지금까지 진행한 소송의 심리를 변론하고, 소송을 회피하였다. 경주부윤은 송관으로서 誤決하면 안 된다는 생각 하에 사실관계 파악이 미진하기 때문에 決訟을 지연하였을 뿐이라며, 피고 이준 형제가 제기한 수뢰혐의를 부인하였다. 그리고 소송의 심리를 진행하면서, 元隻이 제출한 문기의 증거력을 부인하고 당사자에게 증명을 촉구하는 釋明權을 행사하였다. 경주부윤은 소송사건을 眞僞不明 상태로 마무리 짓지 않기 위해 해결책 마련도 모색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처럼 재판의 適正性을 위해 노력한 경주부윤의 소송심리 태도는 목민관들이 율학과 율문을 경시하였다는 기존의 편견을 깨는 것이었다. 여주이씨 노비소송은 당사자의 송관 忌避와 송관의 소송 回避로 말미암아 경주부에서 시작하여 흥 해군에서 마무리 되었다. 기피와 회피로 인해 소송의 개시와 종료가 각기 다른 고을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이 이 소송의 특징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당사자가 議送을 통해 忌避와 移訟 등 ‘소송의 절차에 관한 권리’를 행사하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The main purpose of recusal is to guarantee fairness of the trial. It was possible to file a recusal motion in Joseon Era to ensure fairness in the judicial process. Atendency of recusal of the judge was rampant in mid-16th century, and one of the litigation document, titled “Gyul-song-ip-an(決訟立案)” obviously shows the tendency of the recusal in those days. Defendant Lee Joon brother requested to the provincial governor to oder to the recusal of the judge who was a government official “Gyung-Joo-Bu-yoon(慶州府尹)”, since they could hardly expect the fairness on the trial because of his taking a bribe. The government officer granted an order to recuse, so that the case brought by Yeoju Lee regarding dispute over the ownership of slaves transferred to the other jurisdiction, Heung-hae(興海) to proceed the rest of trial. Yeoju Lee`s Gyul-song-ip-an(決訟立案) present the reality of the recusal. During the course of review defendant`s recusal motion, the judge “Gyung-Joo-Bu-yoon” filed his opinion to explain and defend his examination of the lawsuit till then, and subsequently recused himself. The trial judge deprive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submitted by the parties with urging them to prove the litigation requirements. The trial judge`s sincere efforts to guarantee the fairness of the judicial process broke people`s prejudice that governors tended to disesteem the importance of statues and legal principles.

      • KCI등재

        조선시대 사송(詞訟)에서의 오결(誤決)과 재송(再訟)

        한상권 ( Han Sang-kwon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1 No.-

        소송을 適正하게 決折하지 못한 관원을 처벌하는 誤決員吏決罪法이 제정된 것은 1405년(태종 5)이다. 조선시대는 誤決을 昏迷誤決과 知非誤決로 구분하였다. 소장을 접수한 송관이 眞僞分揀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판결을 그르친 것이 昏迷誤決이며 元隻의 强弱을 변별하여 畏强凌弱하는 게 知非誤決이었다. 양자는 결과적으로 똑같이 그릇된 決折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은 과실범인 昏迷誤決과 고의범인 知非誤決에 대해 決罪를 달리하였다. 『經國大典』은 誤決에 대한 呈訴를 사안에 따라, 즉각 다른 관사에 제소하는 `卽訴他司`와 판결한 堂上官 및 房掌이 교체된 뒤에 다시 제소할 수 있는 `遞代更訴`의 둘로 구분하였다. 父子·嫡妾·良賤 分揀과 같이 情理에 迫切한 일은 卽訴他司하여 신속히 원통하고 억울한 일을 풀도록 하였으나 토지·노비·전택 등과 같은 일반적인 사안은 遞代更訴하여야 했다. 이처럼 전택·토지·노비 소송의 경우 이미 판결하면 訟官이 遞代하기 전에 更訴할 수 없기 때문에, 16세기 들어 訟官을 忌避하는 歸咎訟官 풍조와 더불어 송관 역시 소송을 回避하고 다른 관아로 옮기는 移送他司 풍조가 성행하게 되었다. 「1535년 청하관 결송입안」은 조선시대 詞訟에서 소송의 이상인 적정성, 공평성, 신속성이 반영되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원고 申淑은 1차 판결한 榮川官의 결절이 법률적용과 사실인정의 양면에서 잘못되었음을 변론하였다. 經國大典 규정에 따라 故縣監 趙孟文의 5女(壻)사이에 부모의 재산을 平均分給하지 않았으며, 榮川官이 피고 金克剛이 現納한 위조문기를 제대로 詳察하지 않고 決折하였기에 落訟하였다는 것이다. 이 사건 소송의 再訟관은 淸河官이었다. 그런데 再訟 관할법원인 청하관과 1심 관할법원인 榮川郡이 같은 등급의 법원이었다. 조선시대 소송에서 2차 판결은 다른 기관 또는 새로 부임한 관리 등에 의해 내려졌는데, 1차 판결 기관과의 서열은 없었다. 즉 審級을 `소송사건을 상이한 계급의 재판소에서 반복 심판하는 경우 재판소 사이의 서열`이라고 할 때, 조선시대 詞訟에는 오늘날의 상급심과 하급심이라는 심급개념은 없었던 것이다. Mistr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were considered to be either Hon-mi-oh-gyeol(昏迷誤決) or Ji-bi-oh-gyeol(知非誤決). Despite their consideration as mistrials, sanctions against the governor imposed by the judicial system differed on the basis of whether it was negligent or deliberate.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stipulates two options for filing a suit for retrials. The first is to take the suit for retrial immediately in a different jurisdiction and the second is to take the suit to a new governor who replaced the governor responsible for the mistrial. However, if the subject of the original lawsuit related to agricultural land or ownership of slaves, these suits could only be brought to the new governor and could not be filed in a different jurisdiction. As a result, beginning in the 16thcentury, parties in the mistrial would tend to recuse the governor who oversaw the mistrial. The historical text 『1535 Chung-ha-guan Gyeol-song-ip-ahn(1535年 淸河官 決訟立案)』describes the core trial principles of appropriateness, fairness and promptness. The text is a written decision of the court`s retrials which reflects these principles held in the “Chung-ha-guan”. However, the “Chung-ha-guan”, which has principal jurisdiction over retrials, were at the same level as the trial court “Young-chun-gun(榮川郡)”. Therefore, no hierarchy existed among these courts during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