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프랑스어 독해학습/지도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민주 한국 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3 프랑스어문교육 Vol.15 No.-

        Face au constat de la faible compe´tence de la lecture en franc¸ais des apprenants core´ens, nous avons diagnostique´ la situation actuelle de cet enseignement en Core´e. Nous en avons de´gage´ quelques caracte´ristiques : un enseignement centre´ sur le texte de la litte´rature, la traduction et la compe´tence linguistique de l'apprenant. La participation de celui-ci y est tre`s passive. Pour ame´liorer cette situation, nous avons mis l'accent sur le ro^le de l'enseignant et nous proposons les points suivants : 1) Les connaissances linguistiques des apprenants core´ens sont tre`s limite´es. Elles sont pourtant l'e´le´ment essentiel de la lecture. Il est donc ne´cessaire d'encourager l'apprentissage des e´me´ments linguistiques mais les activite´s ne doivent pas centre´es sur la traduction. 2) Les apprenants devraient comprendre les types de textes varie´s et leurs structures spe´cifiques. 3) L'e´tude de la lisibilite´ du texte est essentielle. 4) Il faudrait encourager l'acquisition des connaissances ante´rieures (les sche`mes) des apprenants a` la fois en langue maternelle et en langue e´trange`re. 5) Il faudrait enseigner des strate´gies de lecture et encourager a` les utiliser. 6) Il faudrait encourager l'interaction entre l'apprenant, le texte et les connaissances ante´rieures.

      • KCI등재

        스펙터클한 마술과 공감의 과학이 갖는 의미 연구 -1920~30년대 『어린이』를 중심으로-

        한민주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0 No.-

        This paper examines the ideological deep involvement of ‘science’ in the intertwined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ion of an innovative modern state, childhood, and the inven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modern children's identity and culture.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Children,” a modern children's magazine in the 1920s and 30s,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cience education for children in modern Joseon. “Children” taught research attitudes using scientists and inventors as role models and trained experiments by teaching novel science tricks. And it helped children learn rational thinking through detective stories and ghost and goblin stories that reproduced ghostly detective activities. In particular, it is confirmed that the dis-enchanting and re-enchanting of magic, which is a deception technique that applied science, further strengthened the authority of science. The characteristic of magic that induces audience empathy leads to education of children's ethical and moral empathy. What was emphasized to the Joseon boys and girls community gathered in one place through “Children,” the foundation of the youth movement, was the formation of sympathy and empathy that felt sorry for each other. In Bang Jung-hwan's detective novel, the boys and girls detectives, united by friendship and loyalty, were composed of ideological groups that share thoughts and emotions by solving cases with ghostly wit and tricks. The ‘science of love for humanity’ established by Kropotkin's ‘mutual aid theory’ wa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survival laws of the Joseon people and children in the early modern era.

      • KCI등재

        불 문화교육에 대한 소고

        한민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8 교과교육학연구 Vol.2 No.1

        Le but principal de l’apprentissage d’une langue étrangère est d’acquérir une bonne compétence communicative dans cette langue. Parmi les conditions qui déterminent cette capacité, "la culture" s’avère de plus en plus importante. Avec l’introduction du concept de ‘compétence culturelle" dans le domaine, les didacticiens d’aujourd’hui se préoccupent davantage de définir le contenu de l’enseignement de la culture et d’en valider l’approche qu’ils ont élaborée. Par cette étude brève, nous avons comme le but ultérieur, à l’aide de quelques concepts théoriques, d’examiner des problèmes qui se posent et qul vont se poser réelement et auxquels on doit réfléchir lors de l’enseignement de la culture étrangère. Pour cela, nous avons posé dès le début de cet article, trios questions essentielles concernant cet enseignement: quell contenu? comment l’aborder? et par qui l’enseigner? Pour développer notre propos, nous avons d’abord étudié le concept de compétence cultuelle et ses composantes. Deuxièment, les approaches pour l’enseignement de la culture, notamment l’approche interculturelle sont examinées. Troisièmement, nous avons abordé un autre enjeu : l’enseignant. Nous sommes ainsi arrivé comme conclusions à deux points suivants : En vue d’un meilleur avenir de l’enseignement du français en Corée concernant le domaine de la culture étrangère, il faudrait d’abord, porter beaucoup plus d’attentions sur la formation de futures enseignants de français pour qu’ils acquérissent une bonne compétence culturelle. Il faudrait également élaborer de bons matériaux pédagogiques riches et utiles pour aider les enseignants et pour qu’ils puissant mieux préparer et mener leur classe de culture érangère.

      • KCI등재

        이상한 나라(Wonderland)의 과학적 글쓰기: 1930년대 후반 아동잡지 『소년』을 중심으로

        한민주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5

        This thesis was reveal that a effect of the current scientific culture is great in the process of rebuilding as a ‘small nation’ and the modern child being called as the ‘propaganda subject’ of empire and nation with the child magazine Boy (1937-1940). The essential requirement of a new generation suitable for a war time regime was ‘science.’ Science, which had previously served as an indicator of the old generation and the new generation has become a central element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children, as well as indelible generations, as well as a critical deficiency in the curriculum. Therefore, intellectuals who produce children's magazines needed to search for writing methods for science education. Boy shows well how science interacted with fairy tale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wonder. The magazine is far from that which is with them that the destroyer of surreal stories and legendary street tales, fairy tales, adventure, detective stories, magical entertainment was available to the public an insight into the sciences. Scientific writing combining fairy tale and fantasy has become a technique to educate ‘science children’ by cultivating reasoning, riddles, detective novels’ reasoning power. Science education using this wonderland reflect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 competing with two different modes of thinking, reason and magic, and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rowth of children. Like this modern intellectuals combined science and magical world fairy tale to praise new discoveries, inspire wonders, present future directions, and discipline children's bodies and minds. The scientific education cultivated by the children of a war time regime created an imperialist ‘schoolboy’ by resonating with fairy tales, novels, and a war time discourses that instigate loyalty and patriotism. 이 논문은 아동잡지 『소년』(1937~1940)을 중심 대상으로 삼아 근대 아동이 제국과 민족의 ‘프로파간다 주체’로 호출되면서 ‘소국민’으로 재구축되어 가는 과정에 당대 과학적 교양의 영향이 컸음을 밝히고자 한다. 전시체제에 적합한 신세대의 필수 요건은 ‘과학’이었다. 이전부터 구세대와 신세대의 지표로 작용했던 과학은 세대의 풍자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결함된 요소로서, 근대 어린이들의 발전과정에 중심 토대가 되었다. 따라서 아동잡지를 생산해 내는 지식인들은 과학교육을 위한 글쓰기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소년』은 과학이 경이의 가장 중요한 원천인 동화와 어떻게 상호작용했는가를 잘 보여준다. 해당 잡지는 초현실적인 이야기의 파괴자가 되는 것과는 거리가 멀게 민담이나 전설, 동화, 모험․탐정소설, 마술 같은 오락물들을 이용해 대중에게 과학 분야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동화와 판타지를 결합한 과학적 글쓰기가 합리적 설명이나 수수께끼, 탐정소설의 추리력을 배양시키며 ‘과학하는 아이’들을 교육하는 기술이 되었던 것이다. 이 이상한 나라를 활용한 과학교육은 이성과 마술이라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사고 모드가 경쟁하는 아동의 발달과정을 반영한 것으로서, 아이들의 성장과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 이처럼 근대 지식인들은 과학과 마술적인 세계인 동화를 결합시켜 새로운 발견을 예찬했고, 경이로움을 불러일으키며 미래의 방향을 제시하고 어린이들의 몸과 마음을 훈육시켰다. 전시체제 아동에게 함양된 과학적 교양은 충성심과 애국심을 심어주는 동화나 소설, 전시담론과 공명하며 제국주의적 ‘모범생’을 창조하였다.

      • KCI등재

        해방 전후 ‘유령인구’의 존재론

        한민주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4 사이 Vol.16 No.-

        ‘Colonial statistics’ can reveal how to recognize an empire of colonies, as this type of statistics has the effect of showing colonies which are represented on their own. This article attempts an interpretative approach toward ‘colonial statistics’ by examining the view of a colonial power as represented by colonial statistics, also discussing the colonized’s appropriation methods. The article examines the ‘ghost population’ appearance of the wartime mobilization system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Ghost population’ is keyword that reveals a contradiction in the statistics. Therefore, it can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politics of using statistics leading to improved understanding through scientific thinking. The modern demographic is in contact with an imagination of catastrophe to declare the end of Korea through correspondence to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by Malthus. Thus, the political appropriation of Malthus relates to a sense of crisis about food as well as the movement of populations. The ‘rice’ problem was the most acute political conflict, as a ‘rice control policy’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emancipation of Korea. The wartime system is becoming the most important issue related to ‘food security’. Thus, before and after the emancipation of Korea, census data and statistics were collected more frequently than ever for a faire distribution of food. This article examines the politics of modern statistics and literature to follow the course of the succession of the ‘ghost population’ in the census and its reign before and after the emancipation of Korea. ‘식민지 통계’는 그 자체로 식민지를 재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제국이 식민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가를 드러내 줄 수 있다. 이 글은 식민지 통계 자체가 재현하고 있는 식민지상과 그 상에 대한 피식민자들의 전유 방식을 검토함으로써 ‘식민지 통계’에 대한 해석적 접근을 시도해 보려 한다. 특히 일제 말기 전시동원체제 부터 해방 후 미군정기에서 출현한 ‘유령인구’라는, 셀 수도 없고 세지 않을 수도 없는 형용모순의 현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유령인구’라는 통계의 모순성을 드러내는 키워드를 통해 과학적 사고의 하나로 이해되어 온 통계가 지니는 문제점과 정치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근대 인구통계학은 맬서스의 인구론과 조응하면서 조선의 종말을 선언하는 파국의 상상력에 닿아 있었다. 따라서 맬서스의 정책적 전유는 인구의 이동뿐만 아니라 식량 위기감을 조성하는 데 적극 활용되었다. 식량 위기만큼 국민을 대통합시키기 좋은 방책은 없을 것이다. ‘쌀’ 문제가 가장 첨예한 정치적 갈등의 대상이 되었던 시기는 ‘미곡통제정책’이 실시되었던 해방 전후의 전시체제였다. 전시체제는 ‘식량안보’의 문제가 가장 중요해지는 시기이다. 따라서 해방전후는 식량의 공정한 분배를 위해 그 어느 때 보다 자주 인구조사와 통계가 이루어졌고, ‘셀 수 있는 것’과 ‘셀 수 없는 것’의 구분이 첨예화되었다. 이 글은 해방 전후 인구조사와 통치 과정 속에서 ‘유령인구’가 발생하고 계승되는 도정을 따라가며 근대 식민지 통계와 문학의 정치성을 고찰해 보려 한다.

      • KCI등재

        과학전의 시대, 총후여성과 인조의 상상력

        한민주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한국문학연구 Vol.0 No.42

        In 1940, the theme of the wars was a ‘Total War’ for Japan. As the war went on long war, a ‘new systems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Japan were taken all measures that development of resources and to ensure material or human resources for the conduct of war. This paper wa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of science were formed in colonial subaltern women. And this paper to explore how science and technology programs were mobilized under the war footing period of the general mobilization were colonization women of Korea. ‘New systems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planning policies that a woman in the real guard contribute to a scientific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and the rational management of home by their scientific knowledge. For women of modern colonial Chosen in science is has been accepted in strictly gender domained form. Women and science were formed a body of knowledge in the form of hobbies discourse as ‘common sense’ and ‘refinement’ for family life. Comes to the late colonial period of Japan, women will be called as a soldier of the committee for industries based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conduct of the war. And housekeeper’ scientific and rational life is granted meaning tha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improve and the development of a home and state. Ultimately, the Japanese recruited Korean women as factory workers from the earliest day. The command of ‘scientific refinement’ in which Women had to stand as the subject of transformation was an ideological tool that a basis of equality and then to transform as a basis of discrimination. Moreover the nature of the science of wartime were required women leads to demand the changing gender identity to take advantage ‘a woman in the real guard’ in many ways. However the logic of science was justified by function of a woman in the real guard to replace the men’s area are connected that the imagination of artificial science produces the second nature alternative the natural. The imagination of artificial science was closely linked with a substitute engineering of the contemporary popular. Women was producer and consumer of substitute engineering. Further substitute engineering was affected life and way of thinking of the colonized. Women to replace men’s gender performance, and defense training of ‘in the real guard’ to simulate war or the ability to configure the real were involved the imagination of artificial science. This paper were analyzed Star versions of windows(1942) and White hands of happiness(1942) by novel of Lee Tae-Jun. Two works were a literary practice of this science discourse. 1940년, 전쟁이 장기전에 돌입하면서 일본이 내세운 ‘과학기술신체제’는 전쟁수행을 위한 자원개발과 물적, 인적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였다. 본 연구는 총력전의 시기에 지배이데올로기로부터 타자화된 하위주체로서의 식민지 조선 여성들에게 형성되었던 과학담론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했다. 그것은 근대과학이 여성을 객체로 삼아 지식체를 형성하고 영향력을 발휘하는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기능하며 고유의 영역을 확보하여 왔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총동원체제 아래 동원된 과학 기술 프로그램이 어떻게 조선의 여성을 식민화했는가를 탐구함으로써 식민지 근대성 및 여성과학문화사에 대한 이해의 장을 심화시켰다는 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근대 식민지 조선의 여성들에게 과학은 엄격히 젠더화된 형식으로 받아들여졌다. 근대 초기부터 여성에게 과학은 가정생활을 위한 ‘상식’, ‘교양’이란 취미담론의 형태로 보급되며 지식체를 형성하였다. 그런데 일제말기로 오게 되면, 과학은 여성이 개혁의 주체로 설 수 있는 적극적 기제인 것처럼 선전된다. 과학기술신체제는 총후에서 여성이 그들의 과학적 지식으로 전시기 민족과 국가를 위해 다음 세대에 대한 과학적 교육과 가정의 합리적 운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을 기획하였다. 그러나 사실 여성을 변혁의 주체로 설 수 있게 했던 ‘과학적 교양’은 평등의 기제가 되었다가 차별의 기제로도 변신하는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기능했다. 뿐만 아니라 전시과학은 총후여성을 다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변화무상한 젠더 정체성을 요구하기에 이른다. 이처럼 남성의 영역을 대신하는 총후여성의 대체기능성을 정당화했던 과학기술신체제의 논리에는 자연을 대체하여 제2의 자연을 생산하는 인조과학의 상상력이 반영되어 있던 것이다. 이러한 인조과학의 상상력은 당대 유행했던 대용품 공학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당시의 총후여성은 대용품공학의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 기능하였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대용품공학은 피식민지인들의 삶과 사유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남성을 대체하는 여성의 젠더수행, 그리고 전쟁을 시뮬레이션하는 총후의 방공훈련이나 현실을 변혁하고 재구성하려는 주체의 노력 등에는 인조과학의 상상력이 개입되어 있던 것이다. 본 연구는 일제말기 여성관련 과학담론 연구에 이어서 이태준의 장편소설 『별은 창마다』(1942)와 『행복에의 흰 손들』(1942)에 이러한 과학담론이 문학적 실천으로 드러난 지점을 분석하였다. 이태준의 두 작품 속에서 여성은 이중적인 의미의 사이보그로 창조된다. 그 여성 사이보그는 감성과 욕망의 절제를 통해 불가능한 것들을 종합한 인공의 형식으로서 남성의 자리를 대체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개변과 변혁의 거대한 욕망을 드러내는 시대의 균열로 기능한다. 이러한 인조적 상상력 그 자체가 당대인들이 느꼈던 현실감이자 실존방식이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불온한 등록자들: 근대 통계학, 사회위생학, 그리고 문학의 정치성

        한민주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한국문학연구 Vol.0 No.46

        Statistics have been widely recognized that the best way to measure social problems. History of statistic in colonized Korea was intermediate be binding that colonial distinctiveness and thus caused a revolution, belief and disbelief for data, and blindness for the natural science. Although statistics devic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esign on the model of statistics device to the meiji period in Japan, a statistical study of the colonial period of Korea can understand uniqueness of contemporary culture. This article investigates on the historical path configuring the Koreans's a picture of the world by the popular dissemination and acceptance of knowledge on modern statistics from 1920 to 1945. However, statistical data can not be described as successful a social activity of the observed object. Also statistics cultural history of modern Korean had been a series of errors and disbelief. Thus the mass aroused much suspicion and discontent on a statistic data and its statistical analysis provid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environment in colonial. I think that it's only way to express a liberation will of the colonized. Ultimately, this article want to investigate that a picture of colonial represented by a colonial statistic, the colonized's reinterpretation and appropriation of it's a picture, and a position of the literature. So this article will be unfold that to begin with, the development of a modern statistic cultural history in Korea, and next checking the govern, culture and literature of the project on the demographic adopted in social hygiene. This article will be significant that to examine the statistics cultural history throughout the colonial and checking a position of the modern literature. 통계는 사회문제를 측정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널리 인정을 받아 왔다. 그렇다면 여전히 총독부의 통계자료가 첨예한 재구축의 대상이 되는 현시점에서, 근대 식민지 조선의 통계란 무엇이었는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근대 조선의 통계 역사는 식민지적 특수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혁명성, 자료에 대한 믿음과 불신, 그리고 자연과학에 대한 맹목성이 중층적으로 결합되어 있던 것이다. 비록 근대 조선총독부의 통계장치가 메이지기 일본의 통계장치를 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일지라도 식민지 시기조선의 통계문화에 대한 연구는 당대 통치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다. 이 글은 1920년부터 1945년 해방 전까지 근대 통계지식의 대중적 보급 및 수용이 조선인의 세계상을 구성해 온 역사적 경로를 살피는 작업이다. 그런데 통계 자료 자체는 관찰 대상으로 삼고 있는 사회활동을 성공적으로 묘사할 수 없다. 근대 조선의 통계문화사 역시 통계상의 오류와불신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따라서 식민지라는 환경 속에서 총독부가 제공하는 통계 자료와 그 통계 해석에 의혹과 불만을 갖는 경우는 비일비재했다. 그것이 유일하게 비권력자들, 피식민자들이 해방의 의지를 표출할 수 있던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식민지 통계가 재현하고 있는 식민지상과 그 상에 대한 피식민자들의 개입적 재해석 및 전유, 그리고 문학의 포지션을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글의 전개는 한국근대 통계문화사를 검토하고, 사회위생학의 방법론으로 차용된 인구통계학이 국가 통치와 문화, 문학에 투사되어 근대인의 세계상을 주조하는데 관여한 역사적 현상을 검토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기존의 근대 통계문화사 연구가 『수자조선연구』의 편집체계 및 방향 소개에 집중해 있는 것에 비하여 식민지 전반의 통계 문화사, 그리고 그 속에 위치한 문학의 포지션을 점검한다는 데 이 글의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근대 과학수사(科學搜査)와 탐정소설의 정치학

        한민주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5

        This study aims at revea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orensic science development and the formation and settled of the detective fiction in colonial Korea. I think that modern detective fiction can not simply be dismissed as a popular entertainment. Because of the detective fiction is inherent in the day to day experience of the power as surveillance and punishment and discipline tha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ubject and subjectification process such as through the “device.” Therefore my interests focus upon the way detective fiction help to provide reassurances at junctures by nation state and individual identity. This paper examined through crime-related articles in the popular magazines of ‘Byeolgeongon’, ‘Samchunlly’ and newspaper of the 1920s and 1930s, Yeomma(艶魔) by Chae man sig. With modern scientific investigation agency, ‘Hyeongsayi-chemistry class’ was installed in 1934 in colonial Korea. Taking this opportunity Korea devoted to arrange forensic science device. Because of considered to symbolize the power of the nation state, scientific devices was prepared. These forensic science devices had a big role to establish cultural authority of detective fiction. Detective fiction of colonial Korea wa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on of the modern subject and the monitoring process. Further, form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forensic science, detective fiction of colonial Korea had a profound impact on public awar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was a means of retribution for crimes reasonably. Finally, popular in colonial Korea had a desire for science was reasonable to accept scientific monitoring and policing the nation state. 이 논문은 근대 식민지 조선의 법의학 발전과 탐정소설이라는 문학 장르의 형성․정착 사이의 관계를 밝히려 한다. 근대 탐정소설을 단순히 대중오락물로만 치부할 수 없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근대적 주체 형성에 기여했던 감시와 처벌, 규율, 훈육 등 일상적 권력의 경험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장치’를 통한 주체화 과정이 탐정소설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진실을 발견하고 정체성을 규정하는 과학적 장치를 통해 문화적 권위를 획득하는 탐정소설의 역사는 법의학 기술의 역사와 깊이 얽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의 핵심 기제가 되었던 과학과 과학적 교양의 수단으로서의 탐정소설이 식민지 조선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쳐가며 근대 개인의 창조와 감시 기능을 했는가에 대한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초기 근대성에 직면한 대중의 사회관계 및 정치, 과학, 문학 장르상의 상호 협력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그러한 과정을 『별건곤』과 『삼천리』라는 대중 잡지와 1920~ 30년대 신문의 범죄관련 기사, 그리고 채만식의 『염마』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식민지 조선에서 근대 과학 수사 기관인 ‘형사이화학실’이 설치된 것은 1934년이다. 이를 계기로 조선에서는 과학 수사 장치 마련에 몰두한다. 과학 장치의 마련이 국가의 힘을 상징하는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학 수사 장치는 탐정소설의 문화적 권위를 세우는데도 큰 역할을 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탐정소설은 근대 주체의 창조와 감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근대 과학수사의 발전과 함께 형성된 식민지 조선의 탐정소설은 과학적 지식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과학은 범죄에 대한 합리적 응징의 수단이 되었던 것이다. 결국 식민지 조선의 대중이 갖고 있던 과학에 대한 열망은 국가 치안과 감시를 과학적 합리로 받아들이게 하였다.

      • KCI등재

        근대 과학․마술․어린이 문학 -기술(奇術)과 기술(技術) 사이-

        한민주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사이 Vol.14 No.-

        This paper explores how discourse aimed at children contributes to the production of popular images of science. Focusing on the ‘column for children’ in the contemporary newspaper articles and the magazines Children (1923-1932), AhhuiLife (1926-1944), Boy (1937-1940), this paper explores use of ‘magic’ as central to the popularization of children’s science and its ideology in popular scientific culture from 1920 to 1940. The purpose of children’s magazines in aiming “to become the strongest of your mentors, and to become the most genial of companions” was realized as the method and function of children’s science education. Science was being produced and packaged for public consumption. The method of popularization of children’s science education included aspects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narrative, and scientific play.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emergence of the inclusion of scientific principles in fairy tales and magic shows and the control of Shamanism by analyzing reports in the mass media and the review of colonial policy. This paper examines the emerging of modern science and magic, and the transition of the focus of children’s literature from the ‘marvelous’ to the ‘technological.’ It also considers the role of colonial modernity in the modern conceptions of ‘science’ and ‘children’ and the decolorization of knowledge (science) by political ideology. In short, modern children’s science education is a result of the transition from animist beliefs to faith in science, and this was done in such a way that projected the ideology of the group (nation/ empire). 이 논문은 어린이 담론이 대중적인 과학 이미지 산출에 어떻게 기여했는가를 탐구하기 위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발행한 『어린이』(1923~1932), 『아희생활』(1926~ 1944), 『소년』(1937~1940)과 당시의 언론 매체인 신문 기사의 ‘어린이란’에 초점을 맞춰, 1920~1940년 근대 대중 과학 문화 속에 나타난 아동 과학의 대중화 방식과 그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근대과학에서 ‘마술’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살폈다. “여러분의 가장 든든한 스승이 되라고, 또 여러분의 가장 정다운 동무가 되라”고 기획된 어린이 잡지의 취지는 아동과학교육의 방법이자 기능이 되기도 한다. 과학은 대중 소비를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포장되었다. 과학자나 지도자들은 어린이 대중 독자를 위해 너무 어렵게 된 언어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할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 이 논문은 근대 아동과학교육의 대중화 방식을 과학지식, 과학서사, 과학유희(오락)의 차원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근대 대중매체의 분석과 식민지 정책의 검토를 통해 과학 동화 및 마술쇼의 등장과 무속의 통제 등이 가져온 영향을 고찰했다. 이 논문은 근대 과학, 마술, 어린이 문학이 ‘기이함’에서 ‘과학기술’로 전이되는 과정 속에서 등장하는 풍경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근대 ‘과학’과 ‘어린이’라는 두 계기가 조우하는 과정 속에서 식민지 근대의 주체 구성의 일단이 놓여있다는 사실과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과학(지식)으로 탈색되는 과정의 면면 또한 살펴보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요컨대 근대 어린이 과학교육은 어린이의 애니미즘적 믿음을 과학에 대한 믿음으로 전이시키고 집단의 이념(민족/제국)을 투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어린이 과학의 교육프로그램 방법으로 마술적 유희를 활용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