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육의 디지털화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성찰

        한기순(Kisoon Han),정영근(Youngkun Tschong)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2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른 경제적 효용성과 생활의 편리성은 교육의 방법은 물론 인간존재의 관계까지 새롭게 규정해간다. 디지털시대 기술만능주의와 상업적 문화산업의 확장에 의해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함에도 이에 대한 고민이나 비판적 성찰도 없이 디지털 기술은 초등교육 현장까지점령하고 있다. 정부의 스마트교육 정책에 따라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이 강조되면서 수업, 학교행정, 상담 등 학교교육 전반의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진행 중이다. 학습의 시ㆍ공간 확장, 풍부한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자의 교육 역량 극대화를 기대했으나 디지털 교과서는 점점 더 감각적 사고에 의존케할뿐만 아니라 학생의 창조적 자율성을 저하시키고 교사-학생 사이의 대면적 상호작용을 감소시킨다. 본래 초등교육은 자발적 활동성을 지니고, 신체를 이용한 감각적 탐구 활동을 하려는 어린이의 본질과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이를 고려하지 못한 디지털화 정책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신체ㆍ정서ㆍ심리상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교육학적으로 성찰ㆍ논의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이 어린이의 존재 및 사회적 삶에 줄 영향을고민하며 디지털 기술과 함께 해야 할 초등교육을 성찰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인간학의어린이 이해 및 초등교육의 역할을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디지털화 정책, 교육의 변화과정 및 디지털화에 수반되는 문제점을 인간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Technological utility and convenience from the rapidly developed technological devices not only affect the way we live but also redefine our awareness. Problems arise from different aspects of society, including commercial cultural industry and powerful technology. The lack of consideration regarding the severity of the situation and its current influence on the education is deeply problematic, especially since only the practical facets of digital technology is being considered in current debates. Following the government’s digitalization policy, the digitalization process around the school, such as class, school administration, and counseling, has increasingly expanded. Because of the digital textbook, originally expected to help learners by expanding learning environment and adding more contents, students now depend on the more sensual interaction, their creative autonomy is dropped due to getting used to behavior pattern of technology, and their direct interaction with teachers is reduced. Elementary education has to be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speciality. Children need to have voluntary, sensual and investigational activities using their bodies. But this digitalization policy causes bodily,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children. Therefore, a debate abou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its usage for educational purpose is needed. We need to think about how the digital-using class might affect the existence and social life of children and prepare for the further-developing technology and future elementary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addresses the aforementioned problem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tudents from pedagogical-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and approaches the role of elementary education from the human education perspective.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초한 최근 ‘질문’ 연구 현황 분석

        김기태(Kim, Kitae),한기순(Han, Kis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질문’을 주제어로 하는 연구 주제의 최근 5년 동안의 연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질문의 의미와 중요성을 탐색하고 질문과 관련한 연구들의 의미구조 확인을 통해 앞으로의 질문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질문’을 주제어로 최근 5년 동안의 국내학술지 논문 중 교육과 관련된 논문 204건을 선택하여 연구 주제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질문’키워드를 제외하고 빈도 분석에서는‘교육’,‘발문’,‘교사’,‘학생질문’,‘초등’,‘수업’ 등의 키워드가 높게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에서는‘초등’,‘국어교과서’,‘학생질문’,‘발문유형’,‘질문전략’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근접 중심성이 높은 단어는‘초등’,‘국어교과서’,‘학생질문’,‘발문유형’,‘상호작용’로 나타났다. 아이겐벡터에서는‘교사용 지도서’,‘누리과정’,‘발문유형’,‘초등’,‘교사교육’ 등이 상위 순위로 나타났고, 커뮤니티 분석에서는 교사의 발문과 학생 질문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여러 수업 장면에 적합한 학생 중심의 질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빈도수가 상위 10위 이내의 핵심어 중 매개, 근접, 아이겐벡터 중심성이 모두 높은 핵심어를 분석한 결과,‘초등’과‘발문 유형’이 세 가지 중심성 항목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등교육에 비해 초등교육 현장에서, 그리고 학생의 질문에 비해 교사의 발문유형에 대한 연구주제가 상대적으로 활발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어, 수학, 과학 등 특정 교과에 집중된 질문 관련 연구 현황을 볼 때, 보다 다양한 교과에서의 질문 연구와 중고등학교 상황에서의 발문과 질문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수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발문 뿐만 아니라 학생의 질문에 대한 피드백 역시 질문의 한 영역으로 인식되고 연구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overall structur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research status on ‘ques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204 paper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over the last five years, with the keyword of question as the subject of research,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keywords such as education , exploration , teacher , student question , elementary , and class were found to be high use in a frequency analysis. Intermediate , Korean textbook , student question , type of teacher inquiry , and question strategy were high in the median centrality. In Eigen Vector, teacher s guide , Nuri course , type of teacher inquiry , elementary , and teacher education were highly ranked. The community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by no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s inquiry and student ques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key words with high mediation, proximity, and Eigen Vector centrality among the top 10 key words, elementary and type of teacher inquiry were found to be common among the three centrality items. When looking at research status focused on primary education and specific subjects (language, mathematics, and scienc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question process of various subjects and to be interested in questions that can increase creativity and interact with learn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lso,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not only the teacher s inquiry but also the feedback on the student s questions is important. As revealed in the study, ‘question’ is an effective tool that can develop the students high-level thinking,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at various levels and though more fields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놀이 중심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서영숙 ( Seo¸ Youngsuk ),한기순 ( Han¸ Kiso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중심ㆍ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고자 2019개정 누리과정과 관련하여 국내 유입률 1위인 Naver 포털 사이트의 뉴스에 등록된 기사 제목이나 ‘유아중심ㆍ놀이중심 교육과정’ 홍보물 등의 댓글을 대상으로 온라인 사용자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Excel과 NetMiner 4.0을 활용하여 총 557건의 관련 기사와 홍보물 10건의 댓글에서 사용된 단어들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한 결과 1072개의 주제어를 추출하였으며 빈도가 높은 상위 39개의 주제어들을 정제하였다. 영향력이 높은 단어 확인을 위해 중심성 분석 실시 결과 ‘유아·놀이 중심’, ‘유아기’, ‘교육’, ‘교사’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력 있는 단어와 응집도가 높은 단어들을 확인하기 위해 커뮤니티 분석과 공유 의미 구조 및 상이한 의미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적인 부분에서 유아교육현장의 목소리와 부모의 다양한 요청이 있었으며, 유아·놀이 중심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준비과정 및 학습적인 측면에서 우려의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가 놀이의 주체이며 놀이의 중심이 되어 더불어 놀이가 교육과정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유아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우고 자랄 수 있는 ‘놀이 권’을 되찾아주고자 개편한 교육과정의 목적이 실현될 수 있도록 유아교육 현장안착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구체적인 계획 및 실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유아가 놀이 경험을 통해 자율성과 창의성이 신장되어 놀이의 재미와 행복에 몰입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to examine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early childhood-based and play-based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online user comments and news articles registered on the Naver portal site, the No. 1 website in Korea. The responses of online users were analyzed for comments such as ‘process’ promotional materials. For this, 1072 keyword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words used in a total of 557 related articles and 10 comments on promotional materials using Excel and NetMiner 4.0, and the top 39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were refined. As a result of centrality analysis to identify high-impact words, ‘early childhood-based / play-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 were found. In order to identify influential words and words with high cohesion, community analysis and ego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shared semantic structures and different semantic systems. There was a request, and although we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education, they were able to confirm opinions of concern in terms of the preparation process and learning. In the ‘2019 Revision Nuri Curriculum’, children should be the subject of play and the center of play, and play should be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Practical support is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 that the purpose of the reorganized curriculum can be realized in order to regain the ‘right to play’ that children can learn and grow naturally through pla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children will be immersed in the fun and happiness of play by increasing their autonomy and creativity through play experiences by suggesting specific plans and action directions.

      • KCI등재

        과학영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결정 요인 척도개발 및 타탕화

        양태연,한기순,박인호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4

        우수 인재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인은 무엇일까? 이 연구는 이 물음에서 출발하여 과학영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결정 요인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인재, 과학자의 진로 결정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하여 개인적성 및 자아실현, 경제적 가치, 일과 여과, 가족의 영향, 부모/교사의 권유, 학창시절 과학활동 경험의 6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총 26문항의 진로결정 요인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의 이공계 대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본 검사는 국내외 대통령 장학생 264명과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을 수료한 대학생 93명 등 총 5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측정모형 적합도는 χ2=645.157 (df=279, p=.00), TLI=.924, CFI=.935, RMSEA=.061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 지수는 수용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 결정 요인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하위요인의 내적합치도인 Cronbach의 α 역시 개인적성 및 자아실현 .82, 경제적 가치 .94, 일과 여과 .84, 가족의 영향 .88, 부모/교사의 권유 .79, 학창시절 과학활동 경험 .79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척도 가 우리나라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결정요인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발된 척도는 진로분야의 이론적 틀을 구성하고 과학영재의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을 돕기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hat are the critical factors in deciding future career to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he present study started with this question, and was to develop a career decision-making scale for scientifically gifted undergraduates. For this, literatures related to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 and scientists’ career decision-making were reviewed and examined in depth. Based on the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the developed scale of career decision-making was comprised of 26 items in 6 factors, such as individual aptitude & self-realization, economic aspect, work & leisure, familial influence, parents/teachers’ recommendation, and experience of science activity during the school days. For the preliminar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53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64 undergraduates who were awarded the presidential scholarships and 93 undergraduates who completed a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t of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χ2=645.157 (df=279, p=.00), TLI=.924, CFI= .935, RMSEA=.061, indicating most of fit indexes were acceptable. Cronbach’s α in each sub-factor was quite high, .82 for individual aptitude & self-realization, .94 for economic aspect, .84 for work and leisure, .88 for familial influence, .79 for patents/ teachers’ recommendation, and .79 for experience of science activity during the school day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hether the developed scale could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measuring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undergraduates in our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