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강평국의 글 <여자해방의 잡감(雜感)>

        한금순(Han Geum-soon) 제주학회 2020 濟州島硏究 Vol.53 No.-

        <여자해방의 잡감(雜感)>은 강평국이 남긴 유일한 글이다. 1925년 6월 1일과 7월 20일 두 차례에 걸쳐 동아일보에 기고한 글이다. 강평국은 이글을 통해 여성은 남성의 노예 혹은 노리개라는 시대 인식을 지적하며 여자의 해방은 경제적 독립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강평국의 글 <여자해방의 잡감>은 강평국의 여성해방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고 있는 글이다. 이 글은 여성운동과 교육운동 그리고 노동운동을 통한 민족운동을 지향했던 강평국을 연구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여성해방의 잡감>을 통해 강평국은 여성에 대한 시대 인식을 비판하고 있다. 여성을 노예나 노리개로 취급하는 약탈혼 등을 예로 제시하거나 당대 일본 지식인의 여성에 대한 인식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당대 지식인 쓰보우치와 오스기 사카에의 여성관을 제시하며 자신의 여성해방론을 드러내고 있는 글이다. 이러한 비판을 통해 조선 여성들의 인식 또한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는 글이다. 강평국은 여자의 해방은 결혼의 자유, 연애의 자유, 사회에 대한 사교의 자유가 주어질 때 가능한 것으로 이는 여성의 경제적 독립을 통해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A Mixture of Ideas on Women s Liberation >, the only written work by Pyeong-kuk Kang, was contributed in two articles to Dong-A Daily News on June 1st and July 20th, 1925. In this work, Kang argued that women s liberation can be achieved with their economic independence. < A Mixture of Ideas on Women s Liberation > by Kang covers her social recognition and thoughts about women s liberalization. Her writing is the basic material for the research on Kang as an activist who engaged in nationalist movements covering the various social issues such as labor, education, and women s right. In < A Mixture of Ideas on Women s Liberation >, Kang criticized the social convention at that time that people treated women as the pawn or slave of men with covering overseas examples of marriage by capture. Moreover, Kang criticized the sexual prejudices against women, which were shared by prominent Japanese intellectuals such as Osugi Sakae and Tsubouchi Shoyo. In this way, Kang expressed her ideas on women s liberalization in < A Mixture of Ideas on Women s Liberation >. Kang s criticisms in < A Mixture of Ideas on Women s Liberation > emphasizes the necessity of women s changes in their attitude and social recognition in Choseon for women s liberalization. She argued that women s liberalization can be attainable by securing women s freedom of romance, marriage, and social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women s economic independence.

      • KCI등재후보

        조선오만분일지형도(朝鮮五萬分一地形圖)의 제주도 사찰

        한금순(Han, Geum-Soon)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5 No.-

        조선오만분일지형도는 조선총독부가 주관하여 조선토지조사국에서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측량하여 제작한 지도이다. 이 중 제주도 지도는 도엽 11개로, 1917년~1918년 측도하고 1918년~1919년에 발행하였다. 이 제주도 지도 속에서 제주불교 관련하여 사찰 3개소(관음사, 소림사, 법정사)와 고탑 1개소(불탑사오층석탑)가 확인되었다. 지도라는 자료의 특성에 따라 사찰의 지리적 위치와 지형적 특성, 인근 지역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조선오만분일지형도의 경도 위도 지리정보를 바탕으로 했을 때, 1918년의 관음사 위치는 현재 관음사 경내임이 확인되고, 1949년 제주4.3사건으로 소각된 이후 현재 복원되지 않고 있는 소림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법정사의 1918년 위치는 현재의 의열사에서 200여 미터 남쪽 지경으로 파악된다. 무오법정사항일운동발상지를 문화재구역으로 지정할 때는 확인하지 못했던 새로운 자료로, 조선오만분일지형도는 1918년의 법정사의 지리정보를 경도 위도 수치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 제시한 좌표수치는 면적을 고려하여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어, 정확한 하나의 지점을 나타내주는 수치로 단언하기는 어렵다. 실제 위치는 좌표를 중심으로 한 인근 면적으로 이해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도를 통해 관음사, 소림사, 법정사로 이르는 도로 정보와 주변의 황지(荒地), 활엽수림 등의 상황 및 주거 시설 상황도 파악되어 1918년의 제주도 사찰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기도 하다. 무엇보다 본 연구로 법정사의 1918년 좌표가 제공되었고 제주법정사항일운동 이전의 법정사 상황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조선오만분일지형도에서 항일운동 이전에 제 주 불교사찰로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은 기존 법정사 항일운동 연구의 법정사와 법정사 거주 인물의 정체성 의견에 대한 증빙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 1:50,000 Topographic maps of Joseon was produced by the Bureau of Land Survey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It is on the basis of measurement from 1914 to 1918. It includes the 11 sheets of Jeju, which were measured from 1917 to 1918 and published from 1918 to 1919. In this survey on these maps of Jeju, we find out the Buddhist sites in Jeju; 3 Buddhist temples (Gwaneumsa, Sorimsa, and Beopjeongsa) and a pagoda (The five storied pagoda of Bultapsa). In addition, we can confirm the geographic locations and topographic conditions of these Buddhist sites and their surrounding areas. On the basis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coordinates from the 1:50,000 Topographic maps of Joseon, the location of Gwaneumsa in 1918 is in the current grounds of the same temple. The research can also confirm the location of Sorimsa from the maps. Sorimsa has not been restored yet after the incineration in the Jeju 4.3 incidents. Furthermore, we confirm the location of Beopjeongsa in 1918 on the maps that is located approximately 200 meters south from the current Uiyeolsa. The 1:50,000 Topographic maps of Joseon are newly found, which were not known at the time of the designation of the Birthplace of Beopjeongsa Anti-Japanese Movement. However, we should consider the area of temple sites when specifying their exact locations with these figures of geographic information. Therefore, the exact locations of the temple sites must have been somewhere around their geographic coordinates. Additionally, we can confirm the access information to Gwaneumsa, Sorimsa, and Beopjeongsa and their surrounding area including the broad-leaved forests, wastelands, and residences. Above all, the geographic coordinates of Beopjeongsa in 1918 are found by this research. Beopjeongsa is depicted as Buddhist temple on The 1:50,000 Topographic maps of Korea. It also describes the surroundings of Beopjeongsa before Beopjeongsa anti-Japanese movement. Therefore, my finding will be evidence for the previous researches of Beopjeongsa anti-Japanese movement and the testimonies of personal identities of residents at Beopjeongsa.

      • KCI등재

        최정숙의 3·1운동 재판 관련 문서 분석

        한금순(Geun Soon Han) 제주학회 2015 濟州島硏究 Vol.44 No.-

        최정숙은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파고다공원)에서의 3·1운동에 참여한 제주도 인물이다. 당시 학생으로 3·1운동에 참여하였다. 최정숙의 3·1운동 재판 관련 문서로는 「신문조서」류,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시위관련자 동정 및 성행 조회」, 「청구의견」, 「의견서」, 「예심종결결정서」, 「공판시말서」, 「판결문」, 「수형인명부」, 「상소포기신청서」 등 9종 16개의 문서가 있다. 이들 문서는 최정숙을 통해 학생들의 시대 인식과 일제의 3·1운동 재판 과정 등을 살필 수 있게 한다. 이들 문서를 살펴보니 최정숙은 18세의 학생으로 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에서의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충무로에 있던 기숙사에서 다른 학생들과 함께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기숙사에서 종로, 무교동을 거쳐 대한문까지 갔다가 다시 종로로 돌아와 창덕궁 앞과 경복궁 앞, 광화문에서 서대문, 서소문, 소공동을 지나 충무로 쪽으로 갔다. 서울 중앙우체국에서 충무로 일대에서 만세를 부르다 서울 중부경찰서에 체포되었다. 3월 1일 현장에서 체포된 이후 10월 29일 공판이 있었고 11월 6일 판결을 받았다. 죄명은 보안법 위반, 형량은 징역 6월에 미결구류일수 90일을 모두 계산하고 3년간 형 집해유예를 선고받았다. 최정숙은 일제강점기 내내 교육 활동을 통해 실력을 배양하는 것이 국권회복을 위한 길이라는 인식으로 여성의 교육 활동과 사회활동을 위한 계몽활동에 힘을 쏟았다. 본고의 분석은 차후 최정숙의 3·1운동 이후 활동의 사상적 배경이라든지 활동의 범위를 가늠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hoi Jeongsuk was a person of Jeju island who participated in Samil Independence Movement on March 1st. 1919 at Tapgol Park in Seoul. At that time, she took part in the movement when she was a student. There were nine types of 16 legal documents on Samil Movement which wer associated with Choi Jeongsuk. These include an interrogatory, the movements and prealent inquiry of demonstrators in Gyeongseong Girls High School, written opinion, the decision in writing of terminating a preliminary examination, opinion for demand, written apology for trial, written judgment, the list of convicted person, application for renunciation of inheritance, and so on. Through these documents on Choi Jeongsuk, we can examine closely how students recognized that era and how Japanese Imperialism processed the movement in court. Examining these papers, Choi Jeongsuk was a 18-year-old student, who took part in the Proclamation of Korean Independence with other students at a dormitory in Chungmuro on March 1st, 1919 at Tapgol Park. They staged a Manse demonstration, marching from dormitory through Jongno, Mugyo-dong to Daehanmum gate, returning to Jongno, going in front of Changdeok Palace, Kyungbok Palace, and Gwanghwamun through Gate Seodaemun, Seosomun, Sogong-dong to Chungmuro. When they staged a Manse demonstration at Seoul Central Post Office around Chungmuro, they were caught in the act at Seoul Jungbu Police Station. After She was arrested on the spot of March 1st, the first hearing was on October 29th, and she was convicted on November 6th. She was charged with a safety-code violation and sentenced to six months in jail and 90 days of confinement with a stay of execution for three years. She put all of her energy into the enlightenment of women s educational and social activities because she perceived that cultivating their abilities through education was the way to reclaim the sovereignty of a nation during the whole Japanese colonial era. The analysis of this thesis is thought to be utilized as her activities philosophical backgrounds after March 1st Movement and basic research data that can test the area of her activities.

      • KCI등재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하원리 출신 참여자 연구 : 『하원리 호적중초』를 중심으로

        한금순(Geum Soon Han) 제주학회 2013 濟州島硏究 Vol.40 No.-

        본고는 제주도의 항일운동의 백미인 법정사 항일운동을 조선시대 제주도 호적중초와 연계시키는 연구이다. 법정사 항일운동 하원리 출신 참여자의 가계를 『하원리 호적중초』에서 찾아내어 분석하였다. 이는 법정사 항일운 동 참여주민의 마을에서의 위상 등을 통해 참여자의 성격을 밝힐 수 있는 기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하였다. 법정사 항일운동에 참여하여 기록에 이름을 남기고 있는 하원리 인물은 모두 20명이다. 이 가운데 13명이 『하원리 호적중초』에 등재되고 있었다. 4 명이 등재되지 않고 있고, 3명은 현재 유족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인적 사항이 미비하여 추적이 불가능하였다. 호적중초에 등재된 인물 13명의 특성을 살펴보면 본인이 1회 등재되는 경우에서부터 12회 등재된 인물까지 있었고, 부(父) 이름으로 5회 등재된 경우부터 13회 등재된 경우까지 살필 수 있었다. 가계의 등재기간을 살펴 보면 1810년 『하원리 호적중초』 1권부터 등재되는 가계가 있는가하면 중간 에 나타나는 가계 혹은 1회만 등재되는 인물까지 있었다. 하원리 인물의 호적중초 등재 현황을 살펴본 결과, 법정사 항일운동 참 여자가 호적중초에 등재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비롯하여, 참여자 가계의 등 재 여부 및 언제부터 하원리에 살고 있던 가계인지 파악이 가능하였다. 뿐 만 아니라 법정사 항일운동 참여자 간의 가족 관계가 파악되는가 하면, 항 일운동 이후의 흔인관계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하원리 호적중초』의 호구(戶口)가 마을 전체의 호구를 등재하고 있지 않음이 포착되었다. 호구의 의도적인 누락현상과 나이도 의도적으로 조작하는 현상도 포착되었다. 따라서 하원리 출신 참여자의 호적중초 등재 상황을 살피면 이들이 마을에서의 위치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처 음의 의도가 잘못 되었다고 판단되었다. 마을의 모든 인구가 다 호적중초 에 등재되고 있다면 등재되지 않은 사람은 마을에서 소외되었거나 유랑민 이라는 특징 등을 판단할 수 있을 터인데 빈번하고도 의도적인 누락현상은 이러한 판단의 근거로 사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했다. 또한 누락되는 호 구가 없다면 호적중초에 등재된 기간을 통해 마을의 토박이 여부 등을 파 악할 수 있는 자료로 또한 그 의미가 있을 터인데 『하원리 호적중초』에서 드러나는 인구와 호의 누락현상은 등재 기간에 대한 의미 판단의 근거로도 사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로써 호적중초를 활용한 법정사 항일운동 참가자들의 연구는 우선 제 주도 호적중초들의 호적작성 원칙과 그 특징 등에 대한 연구 등이 선행되 어야 하겠다는 것을 파악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호적에 누 락된 것이 마을에서 소외되었다는 증거이며 이로써 가난한 사람들이 항일 운동에 참여하였다고 분석한 것은 섣부른 결과 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 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원리 호적중초』에 드러난 법정사 항일운동 하원리 출신 참여자의 호적중초 등재 상황을 통해 제주도 호적중초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이후에 호적중초를 활용한 법정사 항일운동 연구로 다시 접근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contains mainly about Beopjeongsa anti-japanese movement which is the most notable anti japanese movement in jeju island and trying to link it to the Jeju abstract of the census register in Joseon dynasty period. Among the participants for Beopjeongsa anti japanese movement, participants from hawonlee s family line are founded in the abstract of census register.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be a elemental data to discover the character of participants by their status in their town. There were 20 people who has recorded their name as a participant. Out of these, 13 people has recorded on the hawonlee abstract of the census register. 4 of them are left out , 3 of them are unidentified. and not possibly detected. Look into the character of 13 people who has recorded on the abstract of the census register, there was a case that some people has recoorded only one time up to 12 times. Oh the other case, some people has recorded by his father s name 5 times to 13times has detected. Look into the register term of family line, there were some family who has recorded from 1810′s abstract of the census register volume 1. Moreover, there were some family who has appeared in the middle or has recorded only one time. As a result of analyzing register status, including whether participants is recorded in the abstract or no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register status of participants s family line and when they started to live in hawonlee. Moreover, family re1ationships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marital re1ationship after the anti japanese movement also has detected. But, the true that abstract s census is not covering town s whole census has detected. Intented omission and fabrication of age also has detected. Therefore, the original intention that if look into the records of participants from hawonlee it would be possible to detect their status in the town was a misjudgement. If town s whole populations are being recorded on the abstract, some people whose not on the list would be detected as a neglected or nomadic people. But perpetual and intentional omission has made to think it s not possibly use it to the basis of decision. Also if there s no missed census, by the period recorded on the register, it could be the meaningful data to detect town s natives. But omissions of population and census has made to think it is impossible to use it to the basis to detect meaning for register period. Hereby, recording rule and research for characters should be precede to this research Furthermore, omission from existing research is the evidence for they had omitted from the town, and ana1asys that poor people used to participated in anti japanese movement would be a hasty decision. So, this research states that by looking into the status of abstract, generally analyzing character of the abstract should be preceded first. It should be continued to the approaching to the beopjeongsa anti japanese movement by using the abstract of census register after the overall research again.

      • KCI등재

        17세기 제주도 여정(女丁)의 성격 -군역(軍役) 부담에 대한 고찰-

        한금순 ( Han Geumso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3

        제주도에서는 여자들이 성(城을 방어하는데 이를 여정(女丁이라는 제주도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고 한 김상헌의 『남사록』 기록을 근거로 하여 여정을 제주도 여성 군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보는 시각이 있었다. 그러나 여정은 김상헌의 제주 방문 시기인 1601년경에는 성을 방위하는데 동원되었던 제주 여성들의 요역을 일컫는 제주어였다고 본고는 보았다. 본고는 김상헌이 방문하였던 1601년 제주도의 시대적 상황과 조선시대 호적에서 여정 용어의 쓰임을 살펴, 김상헌은 7년의 왜란 직후인 1601년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성정군의 역할을 담당하는 여성들을 제주도어로 여정이라 하고 있음을 특징적으로 파악하여 기록하였던 것이라 보았다. 여정이라는 용어는 1639년 다른 지역 호적에서 쓰이기 시작하는 모습을 살폈으며, 다른 지역 호적에서도 여정이 남정보다 숫자적으로 더 많이 등재되고 있는 현상도 파악하였다. 무엇보다도 김상헌의 같은 기록 속에서 전체 인구대비남정/여정의 비율을 주목하였더니 남/녀 인구비율과 남정/여정의 비율이 거의 같은 수치로 밝혀지기도 하였고 김상헌도 남/녀와 남정/여정을 별도의 용어로 사용하고 있었음도 살폈다. 그러므로 여정을 조선시대 내내 제주도 여성의 군역을 의미하는 용어로 한정하기엔 곤란함을 밝혔다. According to Kim Sang-Heon`s report in 1601, “Yeo-Jeong” in Jeju indicated the females who were temporarily deployed for compulsory labor. There was the exceptional measure that the female labor in Jeju was utilized for some sorts of military service like protecting defensive walls. This measure resulted from drastic decline of male population after two wars against Japan since 1592. As Kim Sang-Heon reported, 500 males and 800 females were deployed for this emergency. This numerical figure was equal to the gender ratio in demographics of 1601. In conclusion, “Yeo-jeong” was not compulsory enlistment of females for maintaining the standing army in Jeju. Furthermore, female deployment was not regularly implemented in Jeju during the Joseon Dynasty. After 1696, the term of “Yeo-jeong” signified females who were listed in the family register of whole regions.

      • KCI등재

        제주도 호적 작성 원칙 “무일루호무일루명(無一漏戶無一漏名)”에 대한 고찰

        한금순 ( Geum Soon H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2 No.-

        제주도 호적 작성의 원칙은 1872년 도두리 「籍草紙本錢設置節目」을 근거로 ``無一漏戶無一漏名’의 철저한 호구조사가 시행되었던 것으로 연구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주도의 호적작성에서도 漏戶와 漏口가 빈번히 그리고 의도적으로 일어나고 있었다. 1896년의 <호구조사세칙>이 적용되는 전후 식년의 하원리 호적중초 甲午式 (1894년 / 光緖二十年)과 戊戌式(1898년 / 光武二年)을 표본으로 하여 누호와 누구 현상을 살폈다. 우선 호적 작성 책임자인 이정과 감고의 호적 등재 현황을 조사해 본 결과 이정은 40%의 본문 누락이 드러났고 감고는 36%의 본문 누락이 드러났다. 이 정도의 빈도는 의도적이고 관례적으로 누락이 이루어지고 있었다고 할수 있는 비율이라고 하겠다. 또한 남정의 실명을 확인하여 누락과 등재 현상을 살폈다. 甲午式(1894년)에서는 전체 남정의 20%인 40명이 누락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戊戌式(1898년)에 신등재되는 남자는 전체 남정의 28%인 63명이나 되었다. 두 개 식년 호적중초 사이에서만 총 103명의 이탈현상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이는 의도적으로 누락시켰던 것으로 생각된다. 두 개 식년 사이에 남정의 20% 누락과 28%의 신등재 현상이 드러난 이상 제주도의 호적작성 원칙이‘無一漏戶無一漏名’을 지켰다고 보기에는 무리라고 생각한다. Meanwhile, the census in Jeju-do was known to be conducted under thorough principle that does not allow any omission of one person or household in the family register. However, with confirming the name of adults on factual registration in detail, this study figures out intentional omission of person as well as household in the family register. Additionally, this kind of intentional omission was frequently taken place in Jeju-d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enomenon of omitting household and person based on the 26th volume(1894) and the 27th volume(1898) of data for the family registration in Hawon-ri, with setting up the year of 1896 as time criterion when ``bylaw for census taking (detailed legislation for census taking)`` started to be applied. Above all, this study searches for the name of ``Lee Jeong`` (officer in charge of family registration) and ``Gam Go`` (secondary officer in charge of family registration) in the body of family register. Considering their condition of omission and registration in total volumes of family register, the name of ``Lee Jeong`` was omitted in 40% of total volumes and the name of ``Gam Go`` was omitted in 36% of total volumes. Even though Lee Jeong and Gam Go were clearly stated as official position in charge of family registration in the end of family register, their names were frequently omitted for purpose. The frequency of omission in family register proves the fact that this kind of omission in family register was conducted intentionally and conventionally. Furthermore, this study observes the phenomenon of omission and registration in two family register, with grasping autonym of adults in the body of these family register. 45 people, 22% of the whole adults who were registered in the 26th volume, were omitted in the 27th volume. In addition, 69 men, 30% of the whole adults who were not registered in the 26th volume, were newly registered in the 27th volume. Therefore, the total cases amounts to 114 people who were intentionally omitted or registered in two volumes of data for the family registration. Consequently, the principle of the family registration in Jeju-do was impractical not to allow any omission of one person or household. Therefore, intentional omission of person and household in the family register was frequently conducted in Jeju-do like any other region.

      • KCI등재

        강평국의 일본에서의 민족운동

        한금순(Geum-Soon Han)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8 No.-

        강평국은 국내와 일본에서 활동한 민족운동가이다. 강평국은 서울에서 3.1운동에 참여하였고 1926년 동경여자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한 이후 1932년경까지 일본에서 청년운 동, 노동운동, 여성운동 단체에서 민족 차별에 대한 저항 활동을 하였다. 강평국은 여성의 경제적 이익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목표로 활동하는 동경 조선여자 청년동맹의 임원이었고 동경 조선인단체협의회와 공동 활동도 하였다. 동경 조선노동 조합 동부지부 부인부 위원과 재일본 조선노동총동맹의 부인부 위원으로 조선인 노동자 권익을 위한 활동은 물론이고 민족 차별에 대한 항의 활동 등을 하였다. 또한 여성의 지위 향상과 민족 해방을 운동 목표로 활동한 근우회 동경지회를 설립해내는 주역 이기도 하였다. 근우회 동경지회 설립대회 의장으로 대회를 이끌었으며, 근우회 활동을 통해 여성의 권익은 물론 정치적 사회적 사안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강평국의 일본 내 활동은 민족운동의 성격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여성운동과 노동운동 그리고 사회운동의 궁극 목표는 일본 내 민족 차별에 대항하는 활동으로 귀결되었 다. 또한 강평국의 일본에서의 활동은 사회주의 계열의 특징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Pyeong-kuk Kang was a Korean nationalist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She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Seoul. After Kang enrolled in Tokyo Women’s Medical School, Kang was a member of youth activist group, feminist group, and labor union for Koreans in Japan. She participated in nationalist activism against ethnic discrimination in Japan until 1932. Kang was a board member of the Korean Young Women League in Tokyo, which had a goal to enhance social status and economic welfare of women. She was also a fellow member of the Council of Korean Association in Tokyo. Furthermore, Kang was a committee member of the Department of Women in the Eastern branch of Korea Trade Union in Tokyo and in the Korea Trade Union Confederation in Japan. She participated in social activism for Koreans against ethnic discrimination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Korean labor. Kang played the leadin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Tokyo branch of Keun-Woo Association. Keun-Woo Association was an activist group for women’s social status and Korean liberation. Kang was a chairperson in General Meeting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okyo branch of Keun-Woo Association. Kang in Keun-Woo Association engaged in not only women’s rights and interests but also other political and social issues. Kang’s activities in Japan were mainly focused on nationalist activism. A wide range of her activism from feminism to labor movement were protests for Koreans against ethnic discrimination. On the other hand, Kang’s activities in Japan were aligned with socialist activism.

      • KCI등재후보

        1920년대 제주여자청년회의 성격과 활동

        한금순(Han, Geum-Soon)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6 No.-

        제주여자청년회는 사회적 역할을 추구하는 여성을 목표로 활동한 1920년대의 단체이다. 제주여자청년회는 여성에 대한 기존의 전통적 인식을 바꾸기 위한 강연 활동, 여성의 실력 양성을 위한 교육 활동으로 학술강습소 운영과 신문물 견학 등을 통해 여성운동을 하였다. 특히 제주도의 수해 구제 활동과 같은 제주 사회의 현안에 참여하는 활동을 제주청년회 등의 제주 사회단체와 연계하여 펼쳤다. 제주의 학생들을 위한 소년운동 분야, 노동운동과 농촌계몽운동, 사회운동 분야까지도 함께하였다. 또한 근우회,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 등의 전국적인 활동에도 참여하였는데 만주의 우리동포를 지원하는 재만동포옹호동맹 활동, 관북지방 수해 구제 활동 등에 참여하였다. 제주여자청년회 활동을 했던 대표 인물로는 강평국, 최정숙, 고수선 등을 들 수 있다. 제주여자청년회의 활동은 실력 향상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 개혁을 추구하고자 했던 제주 여성의 사회 참여 활동, 나아가 여성의 고전적 역할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 사회 주체로서의 여성의 역할을 추구하였던 1920년대 제주 여성들의 활동이라 할 수 있다. Jeju Young Women’s Association(JYWA) was the organization in pursuit of women’s social roles in 1920’s. JYWA carried out feminist movement for women’s education. JYWA held lectures to change women stereotypes. It also established the scholastic training center and organized the field trip to learn new culture for women’s education. JYWA cooperated with other social movement group like Jeju Young Men’s Association(JYMA) for social activities to cope with social issues in Jeju. Relief activities for water damages are well-known case of JYWA’s cooperation. JYWA offered their assistance for various social movements for youth welfare, labor rights, and rural enlightenment. Furthermore, JYWA participated in nationwide movements like the activities of Keun-Woo Association, Chosun Central Council of Social Movement Groups, and Assistance Alliance for Koreans in Manchuria. JYMA participated in relief activity for water damages in Gwanbuk regions, northea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Kang Pyeong-kuk, Choi Jeong-suk, and Ko Soo-seon are the representative activists who participated in Jeju Young Women’s Assoc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