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 조례 비교 연구

        최현재(崔絢載)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6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17개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 조례를 중심으로 조례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정보화 조례의 개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조례의 내용은 정보화위원회의 구성·운영, 정보화책임관 제도, 정보화정책의 추진, 정보화의 역기능 방지 등의 구성요소들로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위원회의 구성・운영에 있어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민간인을 활발하게 참여시켜 의사결정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정책의 종합적 수립과 효과적인 추진을 위하여 정보화책임관과 정보화위원회 위원장의 직급 및 상호관계를 정비하여야 한다. 셋째, 정보화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정보화 담당 행정기구 구성은 업무의 우선 순위 및 관련 업무와의 연계 효율성 향상을 고려하여야 한다. 넷째, 정보화 역기능 방지에 대한 규정은 추상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지방자치단체 여건을 반영한 정보격차해소 시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으로 수정・보완하거나 시행규칙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with priority given to the information ordinance of 17 regional governments. The study suggested the revision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ordinance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ordinance"s clauses. In other words, the study explored the components of the information ordinance"s clauses such as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committee, chief information officer(CIO), enforcement of information policy, and prevention of information dysfunction. This study presented following several results. First, the information committee should compose of members including civilian experts in decision-making processes. Second, local governments have to change the position and relations between the chairman of information committee and chief information officer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policy in local governments. Third, the information services institutions should consider the priority of work and efficiency for the enforcement of information policy. Finally, the information ordinance should be arranged some way of overcoming the digital divide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of local governments for prevention of information dysfunction.

      • KCI등재

        한 · 일 지방정부의 위기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

        최현재(Hyun Jae Choi)(崔絢載),김종업(Jong Eop Kim)(金鍾業)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2

        본 연구는 작년의 동일본 대지진처럼 잦은 재난을 겪으면서도 위기관리에 있어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일본의 지방자치단체와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를 비교·분석하였다. 일본의 자치단체들이 위기관리에 있어 가장 선진적인 기법으로 평가되는 업무연속성계획(BCP)의 도입과 방재회의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위기관리를 극복하는 것을 찾았다. 반면에,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의 경우, 재난극복계획(DRP) 같은 소극적인 위기관리 방법을 고수하고 있고, 중앙정부와의 연계라든지 관련 전문가 부재로 위기상황에서 1차적인 책임이 있고 대응이 필요한데 그러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일의 지방자치단체의 위기관리 체계의 비교·분석을 통해 위기관리 선진국인 일본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주는 시사점을 몇 가지 찾았다. 위기관리 전반을 아우르는 BCP의 도입과 구축, 중앙- 지방정부의 연계체제 구축과 지방정부의 역할 강화, 위기상황을 지휘·통제할 관련 전문가의 육성, 인근 지방정부 및 유관기관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위한 방재회의 구성, 그리고 스마트 기기 및 기술의 도입을 통한 위기상황에 대한 정보제공 등이다. In the past decade, it has become increasingly evident that the destruction potential of a wide range of natural and man-made hazards was growing in many countries. One of the major reasons behind this trend is the concentration of people and economic assets in hazard-prone areas. Therefore, the increasing threat of 'mega-risks' urges for the creation of partnership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between local community groups and the national government in order to assess, prevent and respond to harmful events. Particularly, the roles of local government have enlarged in the risk management of disast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s for an appraisal of all disaster preparedness system in local government of South Korean and Japan. To this end, the study reviews recent Japan's experiences which are significant now and which might be of particular relevance for the coming decades. From these, the study then draws some lessons for disaster preparedness and mitigation policy, considered in a holistic way for local government of South Korea. The first part of the study looks at a short overview of the theoretical concepts on risk management. The second part gives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and Japan and its disaster management system, with comparison between local governments of both countries, and the lessons learnt from Japan's experiences and policies. Part three then discusses possible policy responses for local government of Korea.

      • KCI등재

        한일갈등지수의 도출과 분석

        최현서,이창민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Korea and Japan normalized diplomatic relations in 1965 in an abnormal state without diplomatic ties for 20 years since 1945. Economic, cultural and human exchanges have developed by leaps and bounds for more than 50 years since then, while political and diplomatic relations have been repeated in confrontation and conflict over history and territorial issues. 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Abe administration came into power in December 2012, the confrontation structure centered on history recognition and territorial issues has become clearer. Despite the growing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relations, there are few attempts to quantify them objectively. In response, we tried to measure how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has changed over the past 20 years using news big data. As a result, the conflict index between Korea and Japan was actually in line with the events of the conflict that occurred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it was also in a consistent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in Japanese perception of Korea. The conflict index between Korea and Japan has still a methodological limit, but if it is supplemented and improved, it is expected to help the two countries objectively identify and analyze the changes in their relations. 한국과 일본은 1945년 이후 20년간 국교가 없는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1965년에 국교를 정상화했다. 이후 50년 이상 경제, 문화, 인적 교류는 비약적으로 발전한 반면, 정치, 외교 관계는 역사와 영토 문제를 둘러싼 대립과 갈등이 반복되어 왔다. 특히 2012년 12월 제2차 아베 정권이 들어선 이후, 역사인식 문제와 독도 문제를 축으로 하는 대결 구도가 더욱 선명해졌다. 이렇듯 한일 관계의 갈등 국면이 부각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수량화하여 파악해 보려는 시도는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이에 본고에서는 뉴스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근 20년간 한일갈등이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는지를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한일갈등지수는 실제로 양국 사이에서 발생한 갈등의 이벤트들과 일치했고,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 변화와도 정합적인 관계에 있었다. 다만 이러한 한일갈등지수는 방법론적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갈등지수를 보완, 개선해 나간다면 한일관계의 변화 양상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분석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김대중 정부의 주택정책에 대한 평가연구

        최현일(崔鉉一) 경인행정학회 2002 한국정책연구 Vol.2 No.1

        본 논문은 1998년 서민의 정권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집권한 김대중 정부가 당면한 경제위기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동산 경기부양책에 치중하다가 주택정책에 실패한 내용을 연구한 것이다. 김대중 정부는 경제활성화를 위해 부동산 경기부양책을 선택하게 되고, 그 수단으로 부동산정책의 규제완화 및 자율화 정책을 성급히 추진하게 된다. 그러나 너무 성급하게 추진한 정책들이 전세가와 주택가 폭등을 불러와 서민들의 주택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김대중 정부의 주택정책의 실패의 원인이 정책적 측면과 공급적 측면에 있다고 보고 이 두 부분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정책적 측면으로서는 정책실패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는 소형주택 의무공급제 폐지, 분양가 자율화, 분양권 전매허용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공급적 측면으로서는 공급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라 생각되어 5공화국부터 김대중 정부까지의 주택공급량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누어 비교ㆍ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서민의 정권이라는 김대중 정부가 주택정책에 실패하여 서민들의 주택문제를 더욱 악화시킨 원인을 정책적 측면과 공급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향후 우리나라 주태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도심공동화 방지를 위한 주거정책

        최현일(崔鉉一),임민호(任民鎬) 경인행정학회 2005 한국정책연구 Vol.5 No.2

        도시화에 따른 도시의 성장은 상업지역의 확대와 지가급등으로 주거지역의 교외이전을 가속화시켜 도심의 공동화 현상을 가져온다. 이러한 도심공동화는 주간에는 경제활동인구와 유동인구가 증가하게 되지만 야간에 상주인구가 큰 폭으로 감소하여 도시기능의 마비, 야간 치안부재, 주민감소로 재정이 약화되는 등 많은 폐해를 가져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며 대도시에 인구와 산업이 집중하며 많은 도시문제를 불러왔으며, 이러한 대도시에 인구와 산업의 집중은 필연적으로 도심공동화를 불러와 이에 대한 대응 정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 정부의 공기업 지방이전을 계기로 그동안 진행되던 도심의 쇠퇴와 인구유출이 보다 심각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도심공동화의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연구의 지속적 유입과 도심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는 도심주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