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관한 인식

        최진령(Choi Jin-Ryoung),이연승(Lee Yeon-Se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와 초등교사가 자신들의 역할과 성격을 규정하는 전문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교사 200명과 초등학교 교사 200명이었으며,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i-statistic 통계 프로그램과 SPSS win 14.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직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으나 사회ㆍ경제적 지위 면에서 같은 학력을 갖고 있는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비해 보수가 낮으며 근무조건도 열악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전문직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와 마찬가지로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고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전문성 인식 비교 결과 두 집단 모두 자신의 직업에 대해 전문직이라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professionalism which defines their roles and characteristics and which factor makes this perceptional difference, and utilize its result as fundamental material for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 of kindergarten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I surveyed a questionnaire for 200 randomly sampled kindergarten and elementary teachers in B city. For analyzing the data, I-statistic program and SPSS win 14.0 were used,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was high. But they thought that their pay was lower and working conditions were poorer than ones with same academic background and with same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Second, for the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likely that with the more education background, years of experience, and age, the higher their perception was, but for pay level, the lower it was. Third, comparing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likely that both of them highly perceived their work as a profession, but in professional association, work ethics, and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former more highly perceived than the latter.

      • KCI등재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유아기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탐구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진령 ( Choi Jin-ryoung ),이연승 ( Lee Yeon-se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미래 세대의 교육 매체로 대두되고 있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유아기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과학적 탐구 태도 증진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24회기에 걸쳐 실험 처치를 하였다. 적용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유아기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을 유창성, 독창성, 개방성, 민감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개방성과 민감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과학적 탐구 태도를 호기심, 합리성, 객관성, 판단유보 등 총 11개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using an educational robot, which has been emerging as one of educational media for the next generations, in an effort to foster creative elite people with STEAM literacy. The program that was develop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stage was provided for the selected four-year-old preschoolers in 24 sessions to see if the program would be effective at boosting the creativity and scientific inquiry attitude of the young children. As a result, the educational robot-assist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exercis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creativity and scientific inquiry attitude of the preschoolers. Concerning creativity, how the program affected their fluency, originality, openness and sensitivity was analyzed, and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openness and sensitivity. As to scientific inquiry attitude, how the program affected the eleven subfactors of scientific inquiry attitude including curiosity, rationality, objectivity and judgment reservation was analyzed, and the program was found to exert significant influences on every area.

      • KCI등재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직원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최진령(Choi Jin Ryoung),김인순(Kim In 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논문은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직원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해 살펴보고, 보육교직원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10월 12일부터 11월 25일까지 B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297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직원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직원 교육 경험이 있다와 필요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 효과성으로 유아교수방법이, 효과적인 교육 유형으로는 직무연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참여의 어려움으로는 교육시기가, 교육내용은 교육계획에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직원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를 알아본 결과, 교육 일시, 방법, 대상, 비용은 평일 17-20시, 1회기, 회당 2시간, 강연회, 경력교사, 참가비용 5,000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강사로는 현장 경험이 풍부한 원장 및 교사가, 희망 교육 내용으로는 수업 및 영유아지도 기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직원 교육을 통하여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the needs of childcare teachers on childcare personnel education offered by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an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personnel education. 297 childcare teachers were selected and participated in a survey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The study for role: First, the study analyzed highest number of awareness of the teachers on childcare personnel education provided by childcare support centers. As a result, of childcare teackers responded that they had either received childcare persnnel edvacation or view it as necesarry. Also the education on early childhood teaching methods was regarded as the most effective, and on-the-job training was viewed as the most effective type of education. Regarding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receiving this education, the survey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specific time period for the education was inconvenient for them. The teachers reflected what they had learned from this education in their of teaching plans. Second, the needs of the daycare teachers of childcare persnnel education by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were analyzed. Their maefened time and length for the education were between 5 and 8 p.m. on weekdays, for a session, and two hours each. They also chose leeture style as the most preferable edvcational method. As for the object of the education, the teachers thought experienced teachers should receive the education, and preferred participation fee was 5,000 won. Their favorite lecturers were principals and teachers with ample hands-on experience.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they hoped to learn about the most was teaching skills and how to guide infants and preschoolers. They expected that teachers would be able to make the most of what they could learn from the education.

      • KCI등재

        R-러닝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탐색

        임수진 ( Soo Jin Lim ),최진령 ( Jin Ryoung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는 R-러닝을 활용한 유치원 수업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R-러닝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러닝지원단 및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R-러닝을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실행한 6명의 유치원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 및 비 참여관찰을 실시하고, 수집한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좋은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들은 유아의 수준과 상황에 따라 교과내용 및 콘텐츠를 적절하게 재구성하고, 로봇에 대한 유아의 흥미를 활용하여 동기를 유발하고, 유아가 로봇을 직접 조작하고 탐색하도록 하며, 로봇의 고유한 특성에 기반한 활동을 구성하고, 로봇에 대한 활동과정을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좋은 수업을 하는 교사들은 R-러닝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려는 태도를 나타냈으며, R-러닝으로 실행할 수 있는 수업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명확한 인식을 가지고 수업을 하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good instruction observed in robotic-teaching assisted learning (r-learning) in order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direction for kindergarten r-learning.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provided r-learning for a year or more and were recommended by an r-learning support team. Data consists of non-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nalyzed qualitatively via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f Colaizzi(1978), that is, by eliciting exhaustive descriptions of phenomenon before, during and after the teaching event. Findings reveal 1) the teachers who provided good instruction were able to tailor learning content to preschoolers under the given conditions and used a wide variety of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while creating a challenging atmosphere in the classroom, and giving lessons based on evaluation results. Also, these teachers actualized r-learning without fear of the robots as they had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r-learning. 2) The teachers who provided good instruction were highly self-motivated to improve their use of r-learning. Acutely aware of the necessity of r-learning, they directed their energy into teaching spontaneously, encouraged by their own enthusiasm to offer increasingly interesting instruction. At the same time, they gained an even better understanding of r-learning by trying to learn lessons from other teachers using it.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r-learning exerted an influence on the teachers by helping them to better understand robots, to boost their own ability in applying up-to-date media to the curriculum, and to look back on their own teaching in a reflective way.

      • KCI등재

        R-러닝 기반 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이연승 ( Yeon Seung Lee ),최진령 ( Jin Ryoung Choi ),이민영 ( Min Young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R-러닝 인증로봇을 활용한 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하는 유치원 교사 82명, 어린이집 교사 78명, 총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모두 R-러닝 인증로봇이 교육적 효과가 있으며 현장적용 의향이 있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R-러닝 기반 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R-러닝 기반 STEAM의 이해도 및 필요성이 모두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R-러닝 기반 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도는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R-러닝 기반STEAM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이 R-러닝 인증로봇 현장적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R-러닝 기반 STEAM에 대한 이해도 및 필요성이 높을수록 R-러닝 인증로봇 현장적용 의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R-러닝 기반 STEAM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이 효과적인 R-러닝 기반 STEAM을 실시하기 위한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은 R-러닝 기반STEAM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높을수록 STEAM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STEAM using certified robots for r-learning and their needs for that in an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for nurturing creative elite people with STEAM litera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0 selected teachers in an urban community, who were 82 kindergarten teachers and 78 daycare center teacher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both of the kindergarten and daycare teachers regarded certified robots for r-learning as educationally effective and had a strong intention to apply them in class. Second, as for the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STEAM by r-learn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it than the daycare teachers on the whole, and the former considered it to be more necessary than the latter. Third, concerning their needs for STEAM by r-learn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felt more need for that than the daycare teachers in general. Fourth, as to the impact of the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learning-based STEAM on their intention of applying certified robots for r-learning in class, the teachers who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r-learning-based STEAM and considered it more necessary had a stronger intention to use these robots. Fifth, in regard to the influence of the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learning-based STEAM on their needs for effective r-learning-based STEAM, the teachers who understood it better and considered it more necessary felt more needs for STEAM.

      • KCI등재

        디스쿨(d. School)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프로세서를 활용한 유아부모의 창의적 발문 경험 탐색

        이종길(Lee, Jong-gil),최진령(Choi, Jin-r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2018년 5월 27일부터 8월 5일까지 유아자녀를 가진 부모를 대상으로 디자인 씽킹 프로세서를 활용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유아부모의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아 자녀를 둔 엄마 9명을 대상으로 디스쿨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발문 부모교육을 12회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유아부모들의 디자인 씽킹 프로세서를 활용한 창의적 발문경험에 대한 인식은 ‘디장니 씽킹 발문에 대한 엄마의 인식’, ‘엄마가 본 디자인 씽킹 발문에 대한 자녀의 반응’, ‘엄마가 생각하는 디자인 씽킹 발문의 교육적 가치’로 인식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자녀와의 대화 속에서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훈육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이론적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parental education using a design thinking processor for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from May 27 to August 5, 2018,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experiences that emerged in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parents. Methods For 9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12 parental education programs using d.School Design Thinking were conducted. Results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parents creative question experience using the design thinking processor was ‘Mother s Perception of Design Thinking Question’, ‘Early Childhood s Response to the Design Thinking Question from Mother’, ‘Mother s The flow of perception could be examined as’ the educational value of thinking design thinking. Conclusions These results can be presented as a concrete plan for a discipline method that can enhance creativity in future conversations with children,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heoretical study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아버지의 육아참여에 대한 인식, 실태 그리고 어려움

        이연승 ( Lee Yeon-seung ),최진령 ( Choi Jin-ryoung ),김현정 ( Kim Hyun-je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육아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개선사항 및 요구를 조사하여 향후 가정 내 아버지 육아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만5세 이하 자녀들 둔 아버지 총 681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자녀와 함께 하는 것 자체가 좋아서 육아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육아는 부모가 함께 해야 하는 것이므로 아버지의 육아참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육아참여 실태를 알아본 결과, 직장 일 때문에 바빠서 육아참여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으며, 맞벌이, 학사이상의 학력을 가진 아버지의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육아참여에 대한 어려움을 알아본 결과, 육아참여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 및 육아관련 정보가 부족하였으며, 육아참여로 인한 조퇴 등의 사용으로 인해 직장 내 눈치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fathers with infants and/or children on paternal involvement and their needs and opinions on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an effort to seek ways of vitalizing paternal involvement in the future. A survey was conducted on 681 fathers of infants and/or children in a city of Busa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earch finding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father`s awareness on paternal involvement were analyzed, they showed their intevests in parenting because they were fond of being with their children itself. fathers thought paternal involvement was necessary as children must be raised by parents together. Second, the state of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was analyzed, and fathers felt uncomfortable in spending time for parenting since they were busy with their works, Father`s whose wives also were working and who owned a bachelor`s or higher degree took more part in parenting. Third, Father`s difficulties in parent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fathers had some difficulties in collecting enough information on for parental involvement and on parenting.

      • KCI등재
      • 아버지의 육아환경이 육아참여 및 육아장애에 미치는 영향

        이연승(Lee, Yeon-Seung),최진령(Choi, Jin-Ryoung),이유진(Lee, Yu-Ji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6

        본 연구는 아버지의 육아환경이 육아참여 및 육아장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향후 가정 내 아버지의 육아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2학년 이하(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아버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육아환경이 육아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맞벌이 여부, 자녀와 보내는 시간의 충분 정도, 근무일수가 아버지의 육아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맞벌이를 하며,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충분하고, 근무일수가 적을수록 아버지의 육아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육아환경이 육아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월평균 소득, 자녀와 보내는 시간의 충분 정도, 근무일수, 맞벌이 여부가 아버지의 육아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소득이 낮고,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충분하지 못하고, 근무일수가 많으며, 맞벌이를 할수록 아버지의 육아장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arenting environments of fathers to their parenting involvement and parenting barriers and the impact of the former on the latter in an effort to determine how to vitalize the parenting involvement of fathers at home. A survey was conducted on 1,000 selected fathers whose children were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or younger(at the western age of 8 and down) in the city of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the parenting environments of the fathers affected their parenting involvement was analyzed. As a result, parenting involvement was under the influence of whether they had a dual income, whether they spent enough time with their children and how many days they worked. The fathers took more part in parenting when they had a dual income, when they spent enough time with their children and when they worked for fewer days. Second, how their parenting environments impacted on parenting barriers was analyzed, and the barriers were affected by monthly mean income, whether to spend enough time with their children, the number of their working days and whether to have a dual income or not. There were more parenting barriers when their monthly mean income was smaller, when they didn"t spend enough time with their children, when they worked for more days and when they had a dual income.

      • KCI등재후보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이연승(Lee Yeon-Seung),최진령(Choi Jin-R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 자격제도에 대해 보육교사 및 유치원교사(이하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더불어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위치한 유아교사 201명이며,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17.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의 기준이 적절하지 않으며, 자격기준이 강화되고 개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on the certificate system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irector and utilize its result as fundamental material for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irector. To achieve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for 201 randomly sampled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in B city. For analyzing the data, SPSS win 17.0 were used,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irector certificate system are not appropriately. The certificate system was strengthened and it was improved and with the fact that it will recognize it do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