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크 트웨인과 백인문학

        최준석 ( Choi Joonseok ) 대한영어영문학회 2007 영어영문학연구 Vol.33 No.1

        From the beginning black slavery tainted America so that it became an all-subsuming fatal issue throughout. It can be a critical gauge to clarify American literature for the reason that it has constituted the core of reality of life.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of the first literary Renaissance show exclusion or evasion of the material, which makes their literature partial and limited. Such literature can not but be called white literature. Huckleberry Finn reveals the hard reality of slavery as it is. It can serve as a text of black literature. It may be safely said that Mark Twain stands on its tradition from David Wallker and Mrs. Stowe through Charles Chesnutt and William Du Bois to black writers in 20th Century. Such writers as Twain and Faulkner transcend the division of white and black literature and become integrative. Integrative literature can really be called proper literature of America.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정부 부처의 OTT 정의의 한계와 대안: OTT의 공간적 미디어 가능성을 중심으로

        최준석 ( Joonseok Choi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OTT 정책 담당 부서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과 규제 방안에 담긴 은유를 분석함으로써 정부 부처의 OTT에 대한 인식 틀과 그 한계를 알아본 후 대안적 시각을 제시한다. 담론 분석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OTT를 통신사업으로 정의하고 망을 사용하는 데이터 송신자로 규정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OTT를 시청각 미디어 서비스로 정의하고 공익적 책임이 있는 방송사로 규정한다. 반면 문화체육관광부는 OTT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로 정의하고 한류 콘텐츠를 수출하는 유통업자로 규정한다. 세 정부 부처는 OTT를 선형적 미디어, 즉, 미디어 데이터와 내용, 문화 창작물을 공간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인식한다. 이는 글로벌 OTT의 국내 확산을 경계한 결과 OTT를 기존 미디어 시스템의 연장으로 파악하여 OTT의 주요 특성인 비선형성과 공간성을 간과하였다. 본 연구는 OTT를 비선형적인 공간적 미디어로 인식을 전환할 때 비로소 국내 OTT의 발전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주장한다. By analyzing the metaphor contained in the support and regulation measures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hich are departments in charge of OTT policy, this study examines the framework of government ministries’ perceptions of OTT and its limitations, and then develops an alternative perspective. The discourse analysis shows that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defines OTT as a telecommunication business and as a data sender using a network.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defines OTT as a broadcaster-like audiovisual media service with a responsibility in the public interes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efines OTT as an online video service and a distributor that exports Hallyu content. The three government ministries perceive OTT as a linear media, that is, a means of conveying media data, content and cultural products from one side of a space to another. As a result of being wary of the domestic spread of global OTT, OTT was identified as an extension of the existing media system, and the nonlinearity and spatiality,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OTT, were overlooked. This study asserts that the domestic OTT will grow only when the perception of OTT is converted into a non-linear spatial media.

      • 농지 3차원 모델 구축 및 공간 정보 정확성 향상을 위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활용

        정은지 ( Eunji Jeong ),윤태양 ( Taeyang Yun ),황현정 ( Hyunjung Hwang ),최준석 ( Joonseok Choi ),박재성 ( Jaesung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최근 LiDAR센서, RGB-D 센서와 같은 공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장비가 3D 모델 및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RGB 센서에서 얻은 2차원 영상을 3차원 모델로 변환하는 SfM 기법도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GPS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자료는 지점 정보뿐만 아니라 스케일 정보가 누락되어 있어 지점별 자료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현장에서 직접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기반 3D 모델 분석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위치 및 스케일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정밀농업 구현을 위한 농지 정보 DB 구성에 활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농지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RGB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 후 SfM 기법을 통해 3D 모델을 구성하였다. 구축된 3D 모델은 대상 지역의 기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기준하여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통해 변환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위치정보 및 스케일 정보를 포함한 3D 모델은 동일 지역에서 저고도 UAV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3D 모델과 비교를 통해 위치 정확성 및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