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주의 교류 행위로서 서신 교환 - 동슬라브와 러시아 전제 군주의 서신을 중심으로

        최정현 ( Choi Junghyun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23 유럽사회문화 Vol.- No.31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meaning of the monarch's correspondence with people around him as an act of communications and governance or exchange of ideas. Vladimir Monomakh's Pouchenie and Poslanie are the texts of 11th century, “Correspondence of Ivan the Terrible with the pirnce of Andrey Kurbsky”(1570s) dates from the mid-16th century. The reign of Empress Catherine (1762-1796) is a period that can clearly be considered modern in Russian history. Although the leaders` letters were written in a vertical hierarchical relationship, it can be partially discussed in terms of horizontal exchange as well. Through the writing form of letters, which primarily and most directly realize the dialogic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we examine the exchange of letters as an act of governance by the highest monarchs in the Russian and East Slavic medieval high and modern periods, and ultimately, the writing style of letters is called exchange, communication and governance.

      • GPS와 관성센서의 융합으로 구조물의 동적거동 및 변위 측정

        최정현(Choi, Junghyun),강하늘(Kang, Haneul),전인식(Chun, Insik) 한국연안방재학회 2019 한국연안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9 No.1

        본 연구는 GPS와 IMU(Inertial Measurement Unit)를 센서융합하여 구조물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GPS의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IMU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거동을 측정하였다. 칼만필터 이용하여 융합을 진행했으며 센서융합을 통해 각 센서의 단점을 보완하여 구조물의 거동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었다. 칼만필터를 거친 데이터는 레이저 변위계를 사용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결과 레이저 변위계의 에너지 스펙트럼과 동일한 주파수 영역대를 관측하였으며 10Hz 가 넘는 고주파 진동도 관측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러시아 고등교육 제도에서의 글쓰기에 대한 강조와 우리의 글쓰기 교육에 대하여

        최정현 ( Choi Junghy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3

        세속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위상에 준하는 교육기관이 러시아에 등장한 것은 러시아 근대로의 진입과 거의 함께이다. 중세 기독교적 관점에서 근대 세속국가로의 변모와 함께 과거 종교에 맡겨졌던 교육의 기능이 국가의 영역으로 변위, 흡수되며 자연스레 발생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고등교육으로서의 러시아에서의 대학에 준하는 교육과정에서의 글쓰기 능력에 대한 강조와 실제적인 교육은 특별하다. 특히, 소비에트 시대 인문사회계열을 비롯한 전 교육교과 과정에서 과목당 1년의 교육과정을 망라하는 ‘학년 과제’를 쓰게 한 점은 매우 특징적이다. 유럽식 교육 체제의 특징인 고등교육에서의 구술시험과 함께 과목의 학년 리포트는 소비에트 시대는 물론 오늘날까지 러시아 고등교육의 특징적인 현상으로 남아 있다. 글쓰기를 극도로 기피하는 한국의 대학교육 현실을 상기해 볼 때, 러시아 고등교육 과정에서의 글쓰기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강조점을 통해 우리 교육에 대한 하나의 시사점으로 삼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the situation of emphasis on writing in education in the higher educational system of Russia, which will shed light on its counterpart in South Korea. with much focus on coursework. Coursework is performed by students or trainees for the purpose of learning. Coursework may be specified and assigned by teachers, or by learning guides in self-taught courses. Coursework can encompass a wide range of activities, including practice, experimentation, research, and writing (e.g., dissertations, book reports, and essays). In the case of students at universities, high schools and middle schools, coursework is often graded and the scores are combined with those of separately assessed exams to determine overall course scores. In contrast to exams, students may be allotted several days or weeks to complete coursework, and are often allowed to use textbooks, notes, and the Internet for research. At universities, students are usually required to perform coursework to broaden knowledge, enhance research skills, and demonstrate that they can discuss, reason and construct practical outcomes from learned theoretical knowledge. Sometimes coursework is performed by a group so that students can learn both how to work in groups and from each other.

      • KCI등재

        이행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공간 진화체로서 17세기 러시아

        최정현(Choi, Junghyun)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8 러시아학 Vol.- No.17

        It can be said that the reason the 17th century was made possible was the rule of Ivan IV. It was when most powerful absolute monarchy became the starting point that detonated its own antithesis – the period of transition. Though it remained an unstable political regime with weak rulers, but Ivan IV was able to gradually build an 16-th century European absolute empire while facing collective resistance of the nobility towards him, and through covering up, conciliating with and suppressing rebelling peasants. This for m of imperial policy in the making, though it paradoxically produced perpetual reactio and as such was plagued with resistance from the below to the rule of the stabilizing upper classes, can be seen as the biggest side of in the history of Russian 17th century. The name “the century of revolts” (Бунташный век) was made for a reason. The important thing is the idea that the Russia society was slowly progressing through this forest of radical conflicts and struggle. In fact, conflicts and hostility is a rare element in societies that lack progress. Of course, these movements and that time, look as Janian movements, or, as someone ruled out, it is like “rushing forward while facing backward”. However, we can retroactively say that such movement itself, in the end, took form of the westernization reforms launched by Peter the Great. These reforms, let alone the argument against their axiological features as well as their positive/negative influence, truly became an obvious turning point for the Russia society. However, it is believed not to be a Copernican Revolution, as it is usually seen. It was not that a caprice of one absolute monarch created a city on a desolate coast of the Baltic sea the swamps of the Gulf of Finland and this city became the capital of the empire that would decide the fate of the Russian society. It was a tentative result first brought by the dialectical synthesis in the course of the historical consistency. In other words, it was one of the ways to enter the outside world. The 17th century is neither an appendix of the dying middle – ages nor the cumber some dawning of the bright modernity. It truly was a chapter in struggle of theses, the turning point and driving force that brought in the western is a nation and modernization by Peter the Great after the 18th century.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Древняя Русь) to the modernity (Новое время), the “17th century Russia” did not make a sudden teleport from one separate side to the other, it rather experienced an interpolation of the movement from the middle ages t modern times. When understanding Russia of the 17th century as a combination of two axes of time and space and as a type of evolutium,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ity, as a process inside a process, did not separate Russian history in two pieces with 1703 as the watershed. The author believes that it should be perceived though the trajectory of a truly coordinated development based on historical dialectics.

      • KCI등재

        이보 안드리치의『드리나 강의 다리』구조 연구

        최정현(Choi, Jung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49

        이 글은 구유고슬라비아의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이보 안드리치 Иво Андри?(1892~1975)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드리나 강의 다리 На Дрини ?упри?а』(1943) 작품 구조에 대한 연구이다. 통상 『드리나 강의 다리』의 서사적 유장미와 역사성, 그리고 작품 속 사건들의 민족적, 국가적 성격 등으로 인해『드리나 강의 다리』를 “발칸 반도의 대서사시”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작품에는 이러한 서사시적 구조를 오히려 적절하게 보강, 그 긴장감을 한층 배가시켜 주는 요소로 소설적 구조가 ‘교차’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16세기 초반, 다리가 건설될 때의 그 과정부터 시작해 다리가 지탱해 온 400년이라는 시간, 그리고 1914년 1차 대전의 발발과 더불어 다리에 가해지는 위해는 이른바, 드리나 강의 ‘다리’ 자체의 탄생과 역사, 그리고 그 소멸의 메타포로 읽도록 해 준다. 또한, 다리를 둘러싼 이런 일련의 사건들의 흐름은 다리 자체가 갈등의 축이 되는 소설적 구조를 배면에서 잉태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서사시적 구성과 소설적 구성이 한 작품에서 용존하는『드리나 강의 다리』는 발칸 민족의 과거를 제재로 이를 단순하게 기억, 전승하는 역할에서 머무르지 않고 작가 안드리치에 의해 역사, 문화적으로 재구성, 재해석되는 작업을 통해 작품 자체가 또 하나의 발칸 민족의 삶에 대한 기록으로 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러시아를 비롯한 슬라브 세계의 현대 문학이 고통받았던 자신들의 역사에 대한 끊임없는 상기와 정체성 규명의 장으로 역할을 부여받았던 만큼, 서사시와 소설이라는 문학적 형식의 공존과 넘나듦이란 슬라브 문학의 공통된 특징에 대한 연구를 유도한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aimed to analyze the formal structure of Ivo Andric`s masterpiece, The Bridge on the Drina [Serb.-Cr. Na Drini ?uprija, На Дрини ?упри?а]. It is a novel by Yugoslav writer Ivo Andri?, who wrote the novel while living quietly in Belgrade during World War II, publishing it in 1945. Andri? was awarded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for his entire literary work and mainly this novel in 1961. The Bridge on the Drina revolves around the town of Vi?egrad and the Mehmed Pa?a Sokolovi? Bridge over the Drina river. The story spans about four centuries during the Ottoman and subsequently Austro-Hungarian administrations of the region and describes the lives, destinies and relations of the local inhabitants, with a particular focus on Muslims and Orthodox Christians living in Bosnia and Herzegovina. In the modern epic like as The Bridge on the Drina, we think, that the novelistic structure does exist as well, in especially around the destiny of bridge. The co-existence or intervention epic and novelistic structures in the work, in our opinion, thoroughly planned by the author to establish modern monument to the history of the people in the Balkan peninsula. And the common tendency of close interrelation epic with novel is due to study on the focus of common slavic literatures. 이 글은 구유고슬라비아의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이보 안드리치 Иво Андри?(1892~1975)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드리나 강의 다리 На Дрини ?упри?а』(1943) 작품 구조에 대한 연구이다. 통상 『드리나 강의 다리』의 서사적 유장미와 역사성, 그리고 작품 속 사건들의 민족적, 국가적 성격 등으로 인해『드리나 강의 다리』를 “발칸 반도의 대서사시”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작품에는 이러한 서사시적 구조를 오히려 적절하게 보강, 그 긴장감을 한층 배가시켜 주는 요소로 소설적 구조가 ‘교차’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16세기 초반, 다리가 건설될 때의 그 과정부터 시작해 다리가 지탱해 온 400년이라는 시간, 그리고 1914년 1차 대전의 발발과 더불어 다리에 가해지는 위해는 이른바, 드리나 강의 ‘다리’ 자체의 탄생과 역사, 그리고 그 소멸의 메타포로 읽도록 해 준다. 또한, 다리를 둘러싼 이런 일련의 사건들의 흐름은 다리 자체가 갈등의 축이 되는 소설적 구조를 배면에서 잉태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서사시적 구성과 소설적 구성이 한 작품에서 용존하는『드리나 강의 다리』는 발칸 민족의 과거를 제재로 이를 단순하게 기억, 전승하는 역할에서 머무르지 않고 작가 안드리치에 의해 역사, 문화적으로 재구성, 재해석되는 작업을 통해 작품 자체가 또 하나의 발칸 민족의 삶에 대한 기록으로 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러시아를 비롯한 슬라브 세계의 현대 문학이 고통받았던 자신들의 역사에 대한 끊임없는 상기와 정체성 규명의 장으로 역할을 부여받았던 만큼, 서사시와 소설이라는 문학적 형식의 공존과 넘나듦이란 슬라브 문학의 공통된 특징에 대한 연구를 유도한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aimed to analyze the formal structure of Ivo Andric`s masterpiece, The Bridge on the Drina [Serb.-Cr. Na Drini ?uprija, На Дрини ?упри?а]. It is a novel by Yugoslav writer Ivo Andri?, who wrote the novel while living quietly in Belgrade during World War II, publishing it in 1945. Andri? was awarded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for his entire literary work and mainly this novel in 1961. The Bridge on the Drina revolves around the town of Vi?egrad and the Mehmed Pa?a Sokolovi? Bridge over the Drina river. The story spans about four centuries during the Ottoman and subsequently Austro-Hungarian administrations of the region and describes the lives, destinies and relations of the local inhabitants, with a particular focus on Muslims and Orthodox Christians living in Bosnia and Herzegovina. In the modern epic like as The Bridge on the Drina, we think, that the novelistic structure does exist as well, in especially around the destiny of bridge. The co-existence or intervention epic and novelistic structures in the work, in our opinion, thoroughly planned by the author to establish modern monument to the history of the people in the Balkan peninsula. And the common tendency of close interrelation epic with novel is due to study on the focus of common slavic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