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니비주맙으로 치료한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에서 안구 내 사이토카인 변화

        최윤아(Youna Choi),김소희(So Hee Kim),최승권(Seung Kwon Choi),이재정(Jae Jung Lee),이승민(Seung Min Lee),권한조(Han Jo Kwon),박성후(Seung Who Park),이지은(Ji Eun Lee),변익수(Ik Soo Byon)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2

        목적: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에서 라니비주맙 주사 후 안구 내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를 라니비주맙으로 4주 간격 3회 주사 시행 후 24주까지 전향적 다기관 연구를 진행하였다. 4주마다 최대교정시력, 세극등검사, 안저촬영,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주사 전, 주사 후 8주째, 재발 시점 또는 20주째에 방수를 채취하여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사이토카인 농도와 시력 변화, 중심황반두께, 중심맥락막두께, 이상혈관 면적, 결절 폐쇄 여부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25안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평균 나이는 70.3 ± 6.1세였다.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8주에는 VEGF가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재발 시에는 IFN-γ, TIMP-2, MCP-2만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치료 전 ENA-78, IL-17, Leptin, TGB-β1 농도가 높을수록 재발까지 시간이 길었으며, 중심황반두께는 FGF-4, IL-10 농도가 높을수록 두꺼웠다. 중심맥락막두께는 bFGF 농도가 낮거나, IFN-γ 농도가 높을수록 두꺼웠다. 결절이 폐쇄된 2안은 치료 전에 비해 MCP-3, Tie-2의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서 라니비주맙 주사 후 안구 내 VEGF 농도가 감소되고, 질환이 호전되었으나, 재발 시에는 VEGF가 아닌 IFN-γ, TIMP-2, MCP-2 등 다양한 사이토카인들의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향후 결절맥락막망병증에서 혈관신생과 관련된 다양한 사이토카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intraocular cytokines after ranibizumab treatment in patients with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Methods: This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enrolled patients with PCV treated with three monthly ranibizumab followed by a pro re nata regimen for 24 week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slit lamp examination, fundus phot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ere performed every 4 weeks. Aqueous humor was collected to measure intraocular cytokines at baseline, week 8, and the time of recurrence or week 20. The association of changes in intraocular cytokines with visual acuity, central macular thickness, central choroidal thickness, area of abnormal vessels, and polyp closure was assessed. Results: This study included 25 eyes. The mean patient age was 70.3 ± 6.1 years.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concentration decreased at week 8, but only interferon (IFN)-γ, 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TIMP)-2,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2 decreased at the time of recurrence. The recurrence interv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baseline epithelial-neutrophil activating peptide (ENA)-78, interleukin (IL)-17, leptin,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and baseline central macular thick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aseline fibroblast growth factor-4 and IL-10. Thick central choroidal thickness was associated with a low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and high IFN-γ at baseline. The MCP-3 and Tie-2 levels decreased in two eyes with polyp closure. Conclusions: Ranibizumab significantly reduced intraocular VEGF concentrations and consequently improved PCV. However, the cytokines IFN-γ, TIMP-2, and MCP-2, rather than VEGF, were associated with PCV recurrence. Further studies of intraocular cytokines involved in neovascularization in PCV are needed.

      • KCI등재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삽입 후 발생한 수술이 필요했던 합병증

        김소희(So Hee Kim),최윤아(Youna Choi),최승권(Seung Kwon Choi),이재정(Jae Jung Lee),변익수(Ik Soo Byon),이지은(Ji Eun Lee),박성후(Sung Who Park)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5

        목적: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삽입술 후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심각한 합병증 발생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3년 6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삽입술을 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삽입술 6개월 이내 백내장을 제외한 안내 수술을 시행 받은 경우 중 수술의 원인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삽입과 분명한 연관성을 보이는 경우를 분석하였다. 원인 질환, 시술 전 눈의 상태, 주사 횟수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439명 473안에서 총 1,168회 주사를 시행하여, 1안 평균 2.5회 주사가 시행되었고, 연령은 61.4 ± 11.3세였다.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삽입 후 6회(0.5%)에서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였다. 4안은 포도막염, 1안은 당뇨망막병증, 1안은 분지망막정맥폐쇄가 원인 질환이었다. 2안은 안압상승, 2안은 임플란트의 부적절한 위치, 1안은 공막 창상 누출, 1안은 망막박리로 수술이 필요하였다. 이전 유리체절제술의 병력이 있는 경우(p=0.007, Fisher’s exact test)와 원인 질환이 포도막염인 경우에서 수술이 필요한 심각한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다(p=0.007, Fisher’s exact test). 결론: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삽입술 후 백내장수술을 제외한 안내 수술이 필요한 심각한 합병증은 0.5% (6회)에서 발생하였고, 유리체절제술이 시행된 경우, 포도막염이 원인 질환인 경우에서 빈도가 높았다. 망막박리 1안을 제외한 5안은 수술 후 양호한 시기능을 회복하였다. Purpose: To report complications requiring surgical management related to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received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injection from June 2013 to March 2020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Patients who had undergone intraocular surgical management within 6 months after implant injection, with the exception of cataract surgery, were included. Of them, only the cases in which the surgery was definitely related to complications with the Ozurdex implant were included. In these patients, underlying disease, intraocular pressure change, and the number of injections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1,168 injections of 473 eyes (439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mean number of injections was 2.5 per eye. The mean age was 61.4 ± 11.3 years. The complications requiring an additional surgical procedure occurred in six (0.5%) injections. Of them, four, one, and one eyes showed uveitis, diabetic macular edema, and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respectively. Surgical management was performed to control the increased intraocular pressure in two eyes, inappropriate implant location in two eyes, scleral wound leakage in one eye, and retinal detachment in one eye. The incidence of severe complications requiring surgical management was high in cases with a history of previous vitrectomy (p = 0.007, Fisher’s exact test) and uveitis (p = 0.007, Fisher’s exact test). Conclusions: Severe complications requiring surgical management occurred in 0.5% of cases (six cases) after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 injections. These complications were related to a history of previous vitrectomy and uveitis. Five eyes recovered to favorable visual function after surgery, with the exception of one eye with retinal detachment.

      • KCI등재

        양안성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으로 나타난 샘암종

        정우현(Woohyun Chung),김소희(So Hee Kim),최윤아(Youna Choi),최승권(Seung Kwon Choi),이재정(Jae Jung Lee),박성후(Sung Who Park),변익수(Ik Soo Byon)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

        목적: 양안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으로 나타난 위 샘암종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8세 남자가 3개월 전 발생한 양안 시력저하 주소로 내원하였다. 당뇨 외 특이 병력은 없으며, 4년 전 양안 백내장수술을 받았다. 교정시력은 우안 안전수지, 좌안 20/160로 측정되었고, 안압 및 전안부는 정상이었다. 양안 안저에서 여러 개의 둥근 모양의 반점이 후극부에 관찰되었고, 망막하 망막색소상피 과색소 및 탈색소 병변이 동반된 삼출망막박리가 관찰되었다.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색소성 병변은 시세포와 망막색소상피 사이에서 과반사를 보이는 망막하 삼출물로 확인되었고 망막하액과 망막내액이 관찰되었다. 양안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으로 진단 후 영상학적 전신 평가를 시행하였다. 복부 컴퓨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악성종양으로 의심되는 종괴가 다수 관찰되었다. 상부위장관 내시경 조직검사를 시행 후 샘암종으로 진단되었다. 결론: 원발악성종양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양안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은 다발성의 색소성 망막하 삼출물을 동반한 삼출망막박리로 나타나며, 이와 같은 안저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전신검사를 통해 악성종양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Purpose: We report bilateral, diffuse, uveal melanocytic proliferation caused by a stomach adenocarcinoma. Case summary: A 78-year-old male complained of visual impairment 3 months in duration. He had diabetes and had undergone cataract surgery on both eyes 4 years prior. Hi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counting fingers in the right eye and 20/160 in the left eye. Both intraocular pressures were normal. The anterior segments yielded no specific findings. The maculae exhibited multiple, round, patchy, pigmented or depigmented lesions with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Fluorescein angiography revealed multiple hyperfluorescent lesion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vealed that the hyper-reflective exudates lay between the neurosensory retina and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We diagnosed bilateral, diffuse, uveal melanocytic proliferation and performed a systemic evaluation.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several mass lesions in the lung, stomach, and lymph nodes; these appeared to be malignant. An esophagogastroduodenoscopic biopsy confirmed that the lesions were adenocarcinomas. Conclusions: A bilateral, diffuse, uveal melanocytic proliferation induced by a primary malignant tumor exhibited multiple, pigmented subretinal exudates associated with exudative macular retinal detachment. In patients with such finding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malignant tumor status of remote organs.

      • KCI등재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실리콘기름제거술 및 후낭절제술 후 발생한 급성 비감염성 안내염

        김재현(Jaehyun Kim),김소희(So Hee Kim),최윤아(Youna Choi),최승권(Seung Kwon Choi),이재정(Jae Jung Lee),박성후(Sung Who Park),변익수(Ik Soo Byo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0

        목적: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실리콘기름제거술 및 후낭절제술 이후에 발생한 급성 비감염성 안내염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개월 전 증식당뇨망막병증으로 발생한 유리체출혈 및 견인망막박리로 초음파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 유리체절제술, 증식막제거술, 레이저광응고술, 실리콘기름주입술을 시행 받은 61세 남자가 호전되어 실리콘기름제거술 및 후낭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술 후 첫날 교정시력이 0.4였으나, 5일째 안전수동의 심한 시력저하와 함께 전방 삼출막 및 전방축농이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저는 관찰할 수 없었다. 심한 삼출성막과 전방축농에 비해 전방 염증세포 반응과 결막충혈은 경미하였으며, 통증도 호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소견을 바탕으로 급성 비감염성 안내염으로 진단하고 스테로이드 점안약으로 치료를 시작하였다. 치료 후 3일째부터 전방 삼출막과 전방축농이 호전되었으며, 치료 한 달째 완전히 소실되어 시력은 0.4로 회복되었다. 결론: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실리콘기름제거술 및 후낭절제술 후 심한 급성 비감염성 안내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점안 스테로이드 치료에 좋은 반응을 보였다. Purpose: Here, we report a case of acute noninfectious endophthalmitis after removal of silicone oil (SO) and posterior capsulectomy in a patient with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Case summary: SO removal and posterior capsulectomy were performed in a 61-year-old man who had undergone vitrectomy with combined cataract surgery, membrane peeling, laser photocoagulation, and SO injection to treat vitreous hemorrhage and tractional retinal detachment three months previously. The patient’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on the day after surgery was 20/50; it decreased to hand motion at five days after SO removal. Exudative membrane with hypopyon, anterior chamber cell (trace), and mild conjunctival injection were observed. The patient did not complain of ocular pain. Topical steroid was applied following a diagnosis of postoperative noninfectious endophthalmitis. The exudative membrane and hypopyon decreased after three days of treatment and had resolved completely after one month of treatment. The patient’s visual acuity improved to 20/50. Conclusions: Noninfectious endophthalmitis can develop after removal of SO and posterior capsulectomy. Topical steroid treatment is effective in such ca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0):1445-1448

      • KCI등재

        젠 스텐트 삽입술 후 발생한 스트렙토코커스 인판타리우스 안내염

        김동선(Dong Seon Kim),김소희(So Hee Kim),최윤아(Youna Choi),최승권(Seung Kwon Choi),이재정(Jae Jung Lee),박성후(Sung Who Park),변익수(Ik Soo Byo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0

        목적: XEN?? Gel Stent와 관련된 Streptococcus infantarius 안내염을 치료한 경험이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증례요약: 75세 남자 환자가 원발개방각녹내장으로 좌안 XEN?? Gel Stent 삽입술을 받은 후 55일째 발생한 안내염으로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시력은 20/50이었다.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결막충혈, 전방염증과 축농이 관찰되었으며, 안저에서 유리체내 염증과 삼출성 막이 관찰되었다. XEN?? Gel Stent 제거술, 전방세척술, 전방 및 유리체강내 항생제 주입술, 방수 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시행한 배양검사에서 Streptococcus infantarius가 동정되었다. 술 후 5일째 시력이 안전수동으로 감소하고 염증이 악화되어 추가적인 유리체절제술, 전방세척술, 유리체강내 항생제 주입술을 시행하였다. 유리체절제술 후 16일째 전방염증이, 34일째 맥락막박리가 모두 호전되었다. 술 후 6개월까지 염증은 재발 없이 유지되었으나 시력은 20/100으로 회복에 제한이 있었다. 결론: XEN?? Gel Stent 삽입술 후 발생한 세균성 안내염에서 방수유출장치를 제거하고 유리체절제술과 안내 항생제 치료를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가 가능하였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Streptococcus infantarius endophthalmitis related to the use of a XEN?? Gel Stent. Case summary: A 75-year-old male was referred to our practice with a diagnosis of endophthalmitis 55 days after XEN?? Gel Stent implantation. He had primary open-angle glaucoma. Visual acuity was 20/50.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conjunctival injection and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with hypopyon. Fundus examination showed inflammatory cells with exudative materials in the vitreous. The aqueous sampling for culture of causative micro-organisms was followed by removal of the XEN?? Gel Stent, along with anterior chamber irrigation and intracameral and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biotics. Streptococcus infantarius was isolated after 5 days. Vitrectomy, anterior chamber lavage, and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biotics were additionally performed to control the intraocular inflammation. Sixteen days after vitrectomy, the intraocular inflammation disappeared. The choroidal detachment was resolved 34 days after vitrectomy. Visual improvement was limited to 20/100 at 6 months.Conclusions: XEN?? Gel Stent-related bacterial endophthalmitis was successfully treated by implant removal, vitrectomy, and proper intraocular antibiotic treat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0):1440-1444

      • KCI등재후보

        루푸스 환자에서 발생한 근시견인황반증에 대한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급성간질각막염

        김태연(Tae Yeon Kim),김소희(So Hee Kim),최윤아(Youna Choi),최승권(Seung Kwon Choi),이재정(Jae Jung Lee),박성후(Sung Who Park),변익수(Ik Soo Byon) 대한검안학회 2021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20 No.3

        목적: 루푸스 환자의 중심와박리가 동반된 근시견인황반증에서 유리체절제술 시행 후 발생한 급성간질각막염을 경험하여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저용량 경구 스테로이드 유지요법을 받던 루푸스 환자가 중심와박리를 동반한 근시견인황반증으로 인한 시력저하로 내원하였다. 수술 전 최대교정시력은 20/40이었다. 유리체절제술, 망막앞막제거술, 내경계막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첫 날 교정시력이 20/80이었으나 5일째 안전수동으로 측정되었다. 심한 각막부종과 표층점상각막염이 관찰되었고 전방/후극부의 염증세포를 관찰할 수 없었다. 단순포진각막염을 배제할 수 없어 항바이러스 안연고를 3일간 사용했으나 호전이 없었다. 루푸스에 의한 간질각막염으로 진단 후 경구 스테로이드를 증량하였다. 이후 각막부종이 빠르게 호전되었고 전방/후극부 관찰이 가능하였다. 치료 6일째 각막부종은 사라졌고 중심와박리도 호전되었으나 시력은 6개월까지 20/80으로 남았다. 결론: 루푸스 환자에서 근시견인황반증으로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급성간질각막염이 고용량 경구 스테로이드치료에 호전되었다. 루푸스 환자에서 면역관련 각막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술 전후 스테로이드의 증량을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cute stromal keratitis after vitrectomy for the treatment of myopic tractional maculopathy in a lupus patient. Case summary: A lupus patient who were treated with low dose steroid complained of decreased visual acuity due to myopic tractional maculopathy with fovea detachment. No evidence of intraocular inflammation was observed.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20/40. We performed the vitrectomy and removal of epiretinal membrane and internal limiting membrane. BCVA of 20/80 at day 1 decreased to hand motion at day 5. Severe corneal edema and superficial punctate keratitis that were observed did not improve three days after the anti-herpetic treatment. Based on this, we diagnosed her as immune-mediated acute stromal keratitis in lupus, and treated with oral methylprednisolone of 20 mg. The corneal edema improved rapidly following high dose systemic steroid. Myopic fovea detachment also improved. Improvement of BCVA was limited to 20/80 at six months, compared to the baseline one. Conclusions: We observed the development of acute stromal keratitis after vitrectomy for the myopic tractional maculopathy in the patient with lupus. High dose systemic steroid improved this corneal complication. Increased dose of systemic steroid should be considered before and after vitrectomy in lupus patients.

      • KCI등재

        접촉 맥락막박리와 장액망막박리를 동반한 감염공막염

        김성준(Sung Joon Kim),김소희(So Hee Kim),최윤아(Youna Choi),최승권(Seung Kwon Choi),박성후(Sung Who Park),변익수(Ik Soo Byon),이재정(Jae Jung Lee)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3

        목적: 접촉 맥락막박리와 장액망막박리를 동반한 감염공막염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5세 여자가 1주 전부터 발생한 우안 충혈과 통증으로 내원하였다. 전방염증이 관찰되었고, 이전 익상편수술로 인한 공막얇아짐 및 괴사 주위 결막 소실이 관찰되었다. 괴사성 공막염과 앞포도막염 진단하에 스테로이드 점안 및 복용을 시작하였다. 1주 후 공막부종, 충혈 증가와 맥락막박리가 관찰되었고, 감염공막염 의심하에 익상편수술 부위 배양검사 및 점안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였으나 맥락막박리 진행과 장액망막박리가 악화되는 소견이 보였다. 배양검사에서 녹농균이 동정되어 piperacillin/tazobactam 점안항생제 및 cefepime 2 g을 정맥주사하였으나, 악화 양상을 보여 점안 항생제 침투를 높이기 위해 괴사조직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이틀 후 감염이 조절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전신 스테로이드를 추가하였고, 이후 호전 경과를 보였다. 결론: 심한 맥락막박리와 장액망막박리를 동반한 감염공막염에서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 불응하는 경우 괴사조직제거 병합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감염 조절 후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가 좋은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infectious scleritis featuring kissing choroidal detachment and serous retinal detachment. Case summary: A 65-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ocular pain and hyperemia of the right eye 1 week in duration.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was evident. After pterygium excision, a thinned sclera and loss of conjunctiva around a necrotic lesion were observed. Necrotizing scleritis with anterior uveitis was diagnosed and topical and systemic steroids commenced. After 1 week, the scleral thickness increased, but conjunctival injection and choroidal detachment were newly noticed. Infectious scleritis was suspected and the pterygium excision site cultured. Although empirical antibiotics (fortified ceftazidime and tobramycin) were prescribed, the choroidal and serous retinal detachments became aggravated. Pseudomonas aeruginosa was identified on scleral culture, and topical piperacillin/tazobactam and systemic cefepime (2 g) commenced. Although the antibiotics were appropriate, the choroidal and serous retinal detachments became further aggravated. Necrotic tissue was subjected to surgical debridement. Two days later, the infectious signs had diminished and a systemic steroid was added. Over the next few weeks, all of the choroidal and serous retinal detachments, and the infectious signs, improved. Conclusions: Patients with infectious scleritis featuring severe choroidal detachment and serous retinal detachment resistant to appropriate antibiotics may require surgical debridement of necrotic tissue. After controlling the infectious signs, systemic steroids should be considered to ensure a good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