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의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국내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손영수(Yeong Soo Son),최유임(Yoo Im Choi)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1

        목적 : 본 연구는 아동 및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IM 중재를 적용한 국내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문헌의연구 특성과 질적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은 2011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IM 중재를 적용한11편의 단일대상연구 문헌을 선정하였으며, 대상 문헌을 연구의 내용에 따라 일반적인 특성과 연구방법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문헌의 질적 수준은 모두 중간 수준 이상이었으나 중재 블라인드 및 신뢰도에서 낮은 이행도를보였다. 단일대상연구의 설계 방법으로는 ABA 설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 대상자는ADHD가 가장 많았고, 종속변수는 집중력, 균형, 양측 협응, 타이밍 등을 확인하였으며, 평가 방법으로는IM-SFT가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중재 회기는 대부분 8~10회 이상의 중재를 적용하였고 3~11주동안 적용하였다. 중재 결과 선정된 모든 연구에서 중재 후 기능적 향상을 보고하였다. 결론 : 보다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IM 중재의 적용을 확대해 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집중력, 균형 등과 같은 종속변인과 함께 대상자의 삶의 질, 일상생활의 변화 등에 미치는 영향까지 연구해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single-subject literature among domestic studies that applied interactive metronome (IM) intervention. Methods : Regarding literature search, 11 single-subject studies using IM were selected from an online database from January 2011 to June 2022. Moreov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the research method were analyzed. Results :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analyzed literature was above the moderate level. However, intervention blindness and reliability showed low compliance. The ABA design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methods.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ttention, balance, bilateral coordination, and timing were check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IM-SFT was used most frequently as an evaluation method. The mediation session applied more than 8–10 interventions for 3–11 weeks. The intervention results in all studies indicated functional improvement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 : It might be necessary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IM interventions to diverse diseas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effect on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and changes in daily life along with dependent variables such as attention and balance

      • KCI등재

        한국판 London Handicap Scale의 타당도와 신뢰도

        최유임(Choi, Yoo-Im),김원호(Kim, Won-Ho),박은영(Park, Eun-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1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참여제한을 측정하는 도구인 한국판 London Handicap Scale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외래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판 LHS의 문항내 적일치도는 Cronbach's α 값이 .791이었고, 급간내상관계수는 .983으로 신뢰도가 높았다.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 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LHS는 2개의 요인으로 구성되며 설명력은 72.32%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LHS와 한국판 수정바델지수와는 경제상태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r=-.454 ~ -.819)(p<.01). 한국판 LHS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기 때문에,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참여제한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는데 적절한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ondon Handicap Scale (K-LHS) measuring participation restriction for stroke survivors within outpatient rehabilitation setting. 54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The reliability was good with a Cronbach's α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of .791 and .983, respectively.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that the K-LHS was constructed two factors and explanation power was 72.32%.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MBI and subitems of K-LHS (r=-.454 ~ -.819)(p<.01), except economic item. Because the K-LHS seems to be a valid and reliable, thus, it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as a tool to measure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stroke patients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작업치료적 접근에 관한 고찰

        최유임(Yoo-Im Choi),박수현(Soo-Hyu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외상, 신경 손상, 골절, 뇌졸중, 척수 손상과 수술 등에 의해 부적합하게 발생하는 만성 신경병성 통증증후군으로, 질환의 경과, 치료법 등 모든 면에서 생물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작업치료에서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소를 고려한 다학제적인 치료적 접근이 유용할 것이다. 생물학적 치료는 모든 영역에서의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지의 기능적 사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심리적 치료는 이완/바이오피드백 훈련과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하고, 사회적 치료는 레크리에이션 치료와 직업 재활을 실시할 수 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대한 작업치료는 다양한 전문 분야의 협조적인 치료과정을 통해 기능 회복과 통증 관리, 심리적 요인들의 회복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CRPS) is a chronic neruopathic pain syndrom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after trauma, nerve injury, fracture, cerebral vascular accident(CVA), spinal injury, and surgery to a limb, and affected by diverse factors such as disease process, intervention method, and other biopsychosocial components. Occupational therapy as a multidisciplinary treatment approach may be potentially useful when simultaneously targeting such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omponents. Biological treatment can focus on increasing functional use of extremity for promoting independence. Psychological intervention can include relaxation/biofeedback training and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s, and social approach can focus on recreational therapy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Occupational therapy will encourage functional restoration, pain management, and regaining of psychological components with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 KCI등재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타당도

        최유임(Yoo-Im Choi),김은주(Eun-Joo Kim),박은영(Eun-Yo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7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작업치료사 214명을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작업치료사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개발 당시에 제시되었던 7개 하위요인보다는 직장문화, 조직체계, 직무자율성결여, 보상부적절,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능력, 직무불안정의 8개 요인으로 적용하는 것이 작업치료사에게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도구의 Cronbach’ α는 0.84로 작업치료사 대상의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문항내적합치도의 경우 좋은 신뢰도라 판단할 수 있으며, 평가도구 내 문항수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를 위해 필수적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KOSS) in occupational therapis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4 occupational therapists by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The gathered data were conducted the factor analyses and validation process to ascertain the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estimate occupational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 modified version of the KOSS which was consist of eight subscales might be more an appropriate measurement scale than the original version of the KOSS which was composed of seven subscales. Eight subscales of the scale were occupational climate, organizational system, insufficient job control, lack of reward, job demand, interpersonal conflict, job ability and job insecurity, and out of these, job ability was newly added for occupational therapist. Also the results indicated that Cronbach's alpha score of this measurement tool was 0.84, and it means that internal consistency of this scale has good reliability, and the number of questions are also vali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suggest necessary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job stress study in occupational therapist.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의 관계

        최유임(Choi, Yoo-Im)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4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 거주 노인 144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일상생활활동은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참여는 한국형활동분류카드, 삶의 질은 노인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 인지기능은 참여의 사회활동과 삶의 질 3개 영역(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관계 및 경제수준)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일상생활활동은 참여(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여가활동)와 삶의 질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참여의 하위영역들 중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여가활동은 삶의 질의 모든 하위영역과 상관이 있었고, 참여의 사회활동은 신체적 건강을 제외한 삶의 질의 모든 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여러 변인들 중 삶의 질과 가장 상관이 큰 변인은 참여의 여가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참여,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의 순서로 삶의 질과 상관이 있었고, 참여의 하위영역 중 여가활동이 삶의 질과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성공적인 노년기 삶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 Cognitive function, AD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in the 144 elderly people residing in the community. We used MMSE-K for measuring cognitive function, K-ADL for ADL, K-ACS for participation, and GQOL for quality of life. Results : Cognitive fun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activity of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level). AD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rticipation (instrumental ADL, leisure activity) and all sub-areas of quality of life. Social activity of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subarea of quality of life except physical health. Among the variables, the most relevant variable was leisure activity. Conclusion : It wa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he order of participation, ADL,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the sub-areas of participation, leisure activity was the most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This study, thu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uccessful elderly life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daily life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 KCI등재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최유임(Choi, Yoo-Im),이상헌(Lee, Sang-H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 편마비 증상을 보이는 68세 여성이며, 연구 기간은 2005년 4월 17일부터 2007 년 8월 30일까지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은 관절가동범위운동, 근력강화운동 및 반복적인 과제-지향적 활동 등으로 구 성되었으며, 대상자는 주 3회, 매 회기 1시간씩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상지 기능은 브론스트롬 손 회복 및 상지 회복 단계,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Function, 뇌졸중 상지기능검사로 측정하였고, 균형 능력은 Tinetti Gait & Balance Scale과 One Leg Standing Test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상지 기능 검사의 점수가 향상되었고, 균형 능력 검사 점수는 유지 및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과 균형 능령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proficiency in person with stroke.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 68 year old woman with left hemiplegia after stroke, and the study period was from April 16th, 2005 to August 30, 2007. Complex exercise program was compromised of range of motion exercises, strengthening exercises, and repetitive task-oriented activities and so on, and the subject performed exercises three times a week, one hour a day.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he subject was evaluated by the Brunnstrom Hand Recovery Stage, the Brunnstrom Upper Extremity Recovery Stage, the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Function, and the Manual Function Test, and the balance proficiency was measured by the Tinetti Gait & Balance Scale, and the One Leg Standing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upper extremity test scores were all improved, the balance proficiency test marks were maintained and improved, therefore complex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method to forward upper extremity and balance proficiency in person with stroke.

      • KCI등재

        엉덩관절의 근력, 감각과 경직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최유임(Choi, Yoo-Im),박은영(Park, Eun-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9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척도를 이용하여 엉덩관절의 근력, 감각과 경직이 균형능력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3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도수근력검사를 사용하여 환측 다리의 가벼운 접촉감각과 엉덩관절굽힘근, 폄근, 모음근, 그리고 벌림근의 근력을 측정하였고, 수정 Ashworth 척도를 이용하여 넙 다리근의 경직을 측정하였으며, 기능적 균형 척도를 이용하여 정적 및 동적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 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적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엉덩관절벌림근력, 넙다리 경 직, 가벼운 접촉감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설명력은 80.5%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균형능력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는 엉덩관절벌림근력과 가벼운 접촉감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설명력은 77.9%인 것으로 나타났 다. 엉덩관절벌림근력과 가벼운 접촉감각은 정적균형과 동적균형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균형 에 대한 검사와 중재 프로그램 제공 시 엉덩관절벌림근력과 가벼운 접촉감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muscular strength, sensation, and spasticity of the hip joint on balance using clinical tools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irty-two subjects participated. It were measured muscular strength of the hip flexor, extensor, abductor, and adductor using manual muscle testing, light touch sensibility, and spasticity of the quadriceps using the modified Ashworth scale in the paretic lower extremity. Also, static and dynamic balance were measured by the functional balance scal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uscular strength of the hip abductor, light touch sensibility, and spasticity were associated with static balance(p<0.05) and explanatory power was 80.5%. Muscular strength of the hip abductor and light touch sensibility were associated with dynamic balance(p<0.05) and explanatory power was 77.9%. Thus, it is suggested that muscular strength of the hip abductor and light touch sensibility is considered when providing evalu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future in the balance.

      • KCI등재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MBI)의 타당도, 신뢰도, 문항변별도 검증

        최유임(Choi, Yoo-Im),김원호(Kim, Won-Ho),박은영(Park, Eun-Young),김은주(Kim, Eun-J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9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의 타당도, 신뢰도와 문항변별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223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K-MBI를 사용하여 일상생활활동을 측정하였다.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문항내적 합치도, 문항변별도를 알아보 았다. 요인분석 결과, K-MBI의 10개 항목의 공통성은 .5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나의 요인에 적재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설명량은 72.184%이었다. 요인적재량은 용변처리, 개인위생, 의자/침대 이동, 보행/의자차, 옷 입기, 식사하기, 대변조절, 목욕하기, 소변조절, 계단 오르기 순으로 나타났다. K-MBI의 Cronbach α 값은 .944로 나타났으며, 각 항 목의 문항변별도는 .783~.909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요인분석을 통해 K-MBI의 일상생활활동이라는 하나의 구 성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신뢰도와 문항변별도를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의 타당한 평가를 위해, 앞 으로의 연구에서는 K-MBI의 다양한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discriminative index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For this, two hundreds twenty-the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measured through using K-MBI.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identifying the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t and discriminative index were calculated.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was that the 10 items of K-MBI have communality above .50, and was constructed one factor. Explained variance was 72.184%. The order of factor loading value was toileting, personal hygiene, transfer from bed to chair and back, ambulation/wheelchair, dressing, feeding, bowel control, bathing, bladder control, and stair climbing. Cronbach α of K-MBI was .994. The range of discriminative index was .783~.909, and was acceptable. One factor of K-MBI was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discriminative index was also identified. Various psychometric properties of K-MBI should be investigated in further studies for valid assess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 KCI등재

        기능적 활동의 수행에 대한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최유임(Choi, Yoo-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2

        본 연구는 손상된 사지의 기능적 활동 수행에 대한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는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 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18회로 구성하였으며, 기초선 과정이 5회, 상상연습을 시행한 중재 과정이 10회, 기초선 회 귀 과정은 중재 과정을 마친 2주 뒤에 3회를 측정하였다. 상상연습은 3개의 기능적인 활동(옷 입기, 화장품을 사용하 여 화장한 뒤 정리하기, 옷을 개기)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 활동에 대해서 5분씩, 1일 총 15분을 상상하도록 하였다. 편측무시는 읽기 검사, 쓰기 검사, Baking Tray Tas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은 COPM(Canada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상상연습 후 편측무시 검사의 점수가 모두 감소되었고,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검사 점수도 임상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 시를 감소시키고,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about functional performance of affected limb to unilateral neglect and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erson with stroke. A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with ABA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formed 18 sessions in total: 5 sessions for baseline, 10 sessions for mental practice treatment, and 3 sessions for the second baseline. Mental practice was composed of performing 3 functional activities(dressing clothes, make-up with materials and arrangement, folding clothes). It took 5 minutes at once and 15 minutes in total daily. The unilateral neglect was measured by reading test, writing test, and Baking Tray Task. ADL was assessed by COPM. The results indicated that unilateral neglect test scores were all reduced, and the score of COPM was clinically significant. Mental practice for performing of functional activities was effective method to reduce unilateral neglect and improve ADL in person with stroke.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의 체계적 고찰: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유영미(Yoo, Yung-Mee),최유임(Choi, Yoo-Im)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4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문헌의 특성을 살펴보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분석 대상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게재된 9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이었고, 대상 논문을 연구방법의 내용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 질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논문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은 취학 전 아동과 초등학령기 아동이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고, 연구 설계는 중다 기초선 설계 중 행동 간 중다기초선 설계 연구가 가장 많았다. 모든 논문에서 사회적타당도, 중재 충실도, 관찰자 신뢰도를 제시하고 있었고, 문제행동은 자해 및 공격행동, 방해행동, 자리이탈행동, 음식 거부 및 구강자극 행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은 부분 간격 기록법으로 측정한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재 효과 확인 결과, 중재, 유지는 중재 결과가 효과적이었으나, 일반화의 결과와효과를 제시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은 모든 연구에서 높은 질적 수준을 보이고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논문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확인하고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근거기반 중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involving a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among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studies to improve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assess the quality level. Methods : This is a literature study, and the targets of analysis were nine single-subject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20. The subject paper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ative level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research method. Results : Analysis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ubjects were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at the same ratio. Furthermore, the study design involved mostly the middle and multiple baseline designs among the behaviors. All papers presented social validity, intervention fidelity, and observer reliability. Problem behaviors included self-injury and aggression behaviors, disturbing behaviors, and seat break-away behaviors, while the most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through partial interval recording.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tervention effect, the effect was confirmed in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All analysis studies showed high-quality levels.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e content and qualitative level of the thesis that applied the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among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studies for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an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confirmed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