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운동유형별 동계훈련에 참여하는 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와 스포츠행복

        최연재 ( Yeonjae Choi ),정연택 ( Yeontaek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운동유형별 동계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와 스포츠행복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19년 대한체육회 선수로 등록되어 있으며, 다음 시즌 준비를 위해 동계훈련에 참여한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2종의 설문지(운동스트레스, 스포츠행복)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독립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스트레스는 성별에서 진로고민, 소속에서 지도불만, 운동경력에서는 지도불만과 진로고민 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운동종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행복은 소속에서 긍정적 강화, 동료관계, 운동경력에서는 동료관계, 운동종목에서는 운동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시즌을 대비한, 동계훈련의 심리적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inter training for type the sports on exercise stress and sports happiness of athle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0 athletes who were registered as athletes in the 2019 Korea Sports Association and participated in winter training. The data processing i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using the SPSS 25.0. From the results of exercise stress was found to affect career anxiety factors in gender, leadership dissatisfaction factors in affiliation, and leadership dissatisfaction and career worries factors in athletic experience, but did not affect any factors in sports. Sports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positive reinforcement in affiliation, pe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in athletic experience, and athletic achievement in sports, but had no effect on gender. Finally research direction for future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winter training activ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심리기술훈련에 따른 중국 여자축구선수의 경쟁상태불안, 기분상태 및 fMRI 활성화

        풍총 ( Feng Cong ),최연재 ( Yeonjae Choi ),정연택 ( Yeontaek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심리기술훈련이 중국 여자축구선수들의 경쟁상태, 기분상태 및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12명) 및 통제(12명)집단으로 총 24명을 대상으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동 및 총정서장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분석에서도 두 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심리기술훈련은 경쟁상태, 기분상태 및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뇌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지만, 운동과 뇌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기에 임상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의학과 운동학적 접근의 통합성이 강조되어 임상데이터의 축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soccer players’ competitive anxiety, mood states,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24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experimental (n=12), control (n=12) in counter-balanced. The pre-test, post-test were administered to each group and the measures were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CSAI-2), mood states (Poms), and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The data obtained from each measure were analyzed using ANCOVA and MATAB SPM. From the results, PS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CSAI-2, POMS (negative emotions and TMD) and fMRI. Finally research direction for future PST with experience sports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brain function,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it clinically due to the lack of research on movement and brain changes. In this sense, the integration of medical and kinematic approaches is emphasized and it is thought that the accumulation of clinical data is necessary.

      • KCI등재

        중국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지속수행과 스포츠 참여동기의 관계

        양홍림 ( Honglin Yang ),최연재 ( Yeonjae Choi ),정연택 ( Yeontaek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구조모형의 운동지속수행(EAQ)과 스포츠 참여동기 척도(SMS-K)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중국 18개 대학의 대학생으로 총 1066명을 선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여 빈도, 신뢰도,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내용은 운동지속수행과 스포츠 참여동기의 관계이다. 연구결과는 학년에 따라 운동지속수행의 경향성과 가능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강화성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스포츠 참여동기에 따른 내적, 통합, 확인, 내사, 무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외재조절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공속성에 따른 운동지속수행은 경향성과 강화성 및 가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포츠 참여동기에서는 내적, 통합, 확인, 내사, 외재 그리고 무동기 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심리적 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Exercise Adherence Question; EAQ and Sport Motivation Scale; SMS-K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university student form eighteen universities in China selected a the sum of 1066 students. The data obtained from measure were SPSS 25 analyzed using Frequency, Reliability, one way ANOVA. From the results of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ndency and possibility of continuous exercis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rade, not significant difference were reinforce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insic, integration, confirmation, introjection, amotivational according to sports motivation not significant difference were extrinsic regu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endency, reinforcement, and possibility of sustained exercise performance according to major attribut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ports motivation in internal, integration, confirmation, introjection, extrinsic, amotivational. Finally research for future psychological variables.

      • KCI등재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

        유찬미,최연재,정연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와 B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3곳이며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남학생 620명, 여학생 610명 총 1230명으로 선정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척도는 Kang, Lee(2013)가 사용한 설문지를 변형하여 사용하였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Seok, Chung(2013)이 개발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신뢰도 분석(Cronbach’s α), 요인분석(Factoranalysis), t-test, 다변량분산분석(MO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성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종목에서 학업스트레스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기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빈도에 따라서 학업스트레스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육수업에 대한 선호도에 대해서는 학업스트레스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좋아하는 과목에서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는 과거 운동경험과 참여기간별에 대해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 clubs affected academic str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615 boys and 607 girls from 3 middle schools in City A and Province B, who participated in school sport clubs were sampled. The academic stress scale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reconstructed by Ghang (2013) and the scale developed by Seok, Jung (2013) was used to measure physical self-efficacy. For data analyse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M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ost-hoc analysis were perform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 club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gend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cademic stress by school year;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elf-efficacy by school ye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ev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cademic stress by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y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frequency of particip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academic stress a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prefer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preferred subjects. By the experience of doing exercise or by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cademic stres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