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모바일 SNS 애착이 SNS 상호작용과 이용 후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세경(Se Kyoung Choi),곽규태(Kyu Tae Kwak),이봉규(Bong Gyou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9 No.1

        본 연구는 SNS가 모바일로 확장되고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부상하는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SNS에 대한 태도가 SNS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SNS를 통한 상호작용 활성화가 실제 대인관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다. 모바일 SNS 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성향 중 자기노출과 외향성이 모바일 SNS 애착의 수준, SNS 상호작용의 활성화, 그리고 SNS 이용 후 실제 대인관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SNS 상호작용은 이용 후 대인관계에 매우 높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CMC 연구에서 온라인 상호작용이 실제 대인관계를 축소시킨다는 주장과 상반되는 결과이며, 오히려 폭 넓은 사회적 범주를 형성하고 기존 대인관계를 더 발전시키는 데 SNS 상호작용이 기여한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At the circumstances of that the use of SNS expanded to the mobile and floated as 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hannel, this study analyzed if the communication traits and the manner of SNS influences the SNS interaction, as well as what affection of interaction invigoration through SNS gives to the changes of re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do so, the number of 300 of mobile SNS users were surveyed, and main result is as below. First, among communication traits, extroversion and self-disclosure gave a positive effect to the formation of mobile SNS attachment, interaction invigoration, and the changes of real interrelationship after use of SNS. Second, SNS interaction gave a huge impact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ter using SNS. This result is counter to the existing CMC study that online interaction shrinks the personal relationship, rather support the other opinion that online interaction contributes the development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form of enlargement of social category.

      • KCI등재

        멀티 플랫폼 콘텐츠 포맷의 개발과 텔레비전 적용 : 상호작용성의 구현과 재목적화

        최세경(Se Kyoung Choi),박상호(Sang-Ho Park) 문화방송 2010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1 No.1

        이 연구는 멀티 플랫폼 이용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 포맷의 유형을 정리하고 TV비즈니스에 적용이 가능한 포맷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멀티 플랫폼 콘텐츠 포맷을 크게 기존 콘텐츠를 플랫폼의 특성에 맞도록 만드는 ‘재목적화’와 콘텐츠에 상호작용성을 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혁신’으로 구분했다. 그리고 멀티 플랫폼 콘텐츠 포맷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인터페이스’와 ‘스토리텔링’을 기준으로 멀티 플랫폼 콘텐츠 포맷의 유형을 네 가지로 분류했다. 이러한 네 가지 유형을 근거로 국내 TV사업자의 멀티 플랫폼 콘텐츠 포맷에 대한 개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 드라마 및 영화’, 멀티 플랫폼에 적합한 방식으로의 ‘콘텐츠 재가공’, TV시청과 소셜 네트워크 간의 연계를 구축하기 위한 ‘교류형 콘텐츠’, 그리고 이용자의 선택 가능성을 높여주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콘텐츠 기획과 제작 단계부터 멀티 플랫폼 이용을 고려하거나 기존과 다른 방식의 콘텐츠 포맷을 개발하는 데 소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해외 개발 사례에 근거하여 국내 TV에 적용할 수 있는 멀티 플랫폼 포맷 유형으로 ‘게임형 콘텐츠’, ‘상호작용 스토리텔링 콘텐츠’, ‘체험형 콘텐츠’, ‘교류형 콘텐츠’, ‘융합형 콘텐츠’를 제시했다. This study tries to classify content formats into typology and to suggest a plan for developing content formats adequate to television business in multiplatform use environment. This paper theoretically discusses ‘repurposing’ to make content adequate to platform feature and ‘innovation of content’ to apply a interactivity to content as a type of format. ‘Interface’ and ‘storytelling’ are a construct element of multi-platform content format. According to this case study, television service providers develop and apply four types of format to content in Korea. There are ‘interactive drama & TV movie’, ‘repurposing content’, ‘community content’ and ‘application content’. But providers take a passive attitude in developing innovative formats for multi-platform uses. Finally, this paper analyzes foreign cases to find out the multi-platform content format applicable to television business. ‘game logic content’, ‘interactive storytelling content’, ‘experience content’, ‘community content’ and ‘convergence content’ are suggested.

      • KCI등재

        방송외주제도 20년의 평가와 개선방안

        최세경(Choi Se-K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국내 외주제도가 도입되지 20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정책성과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특히, 외주거래 관행에 대한 문제점과 갈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외주제도가 그 궁극적인 정책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거나, 외주제도의 정책이 현실의 문제를 적절히 개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국내 외주제도와 외주거래에 대한 현실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여 올바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동안 외주제도는 양적 성장에 비해 정책목표를 달성할 정도의 내실은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주거래는 저작권의 권리배분, 적정한 외주제작의 대가, 그리고 이익의 배분에 있어서 방송사와 외주제작사 간의 갈등이 심각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구체적인 외주제작 인정기준의 마련, 적정한 대가를 판단하기 위한 표준제작비의 조건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실효적인 계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의 법제화를 제시했다. 뿐만 아니라 규제와 함께 독립제작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진흥정책으로 출판형 방송생태계의 조성, 한국형 신디케이션 모델의 구축, 그리고 콘텐츠 유통을 촉진하고 공정거래를 보장하는 법률의 제정을 추가로 제안했다. Although it takes 20 years since 1999 when ‘Independent Production Quota Regulation’ was established under the Broadcasting Act, there were different views on the practical effects of this rule on the growth of the independent production market and the diversity in program. In particular, it is pointed out that new problems and conflicts have been broken out in the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independent productions. The reason is because this policy has not achieved its goal or solved problems in the outsourcing production transactions. So, firs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n ‘Independent Production Policy’ and the outsourcing business relationship in the independent production market, and then it suggests and discusses alternatives and the implementation of better ver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olicy does a lot for quantitative growth in independent production market. However the competitiveness on the independent production market remains unchang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equality and the unfairness in outsourcing transaction. There are serious discords in the outsourcing transaction of broadcasters with independent productions-the allocation of copyright, criteria for estimating price, the allocation of return etc. Based on investigation, this study suggests to introduce the authorization criteria for outsourcing production, a list of indicative tariffs relating to the standard production costs and fees for primary rights, and the guideline on outsourcing production in provided in the law. In addition, it gives emphasis to the need of supporting policies to activate independent production market as well as to develop the Publisher Broadcasting System, to introduce the syndication model suitable for Korean broadcasting ecology and to secure fair transactions and distribution on program through introducing a new law.

      • KCI등재
      • KCI등재

        누구를 위한 매체균형발전인가?

        최세경(Se Kyoung Choi) 문화방송 2015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3

        이 연구는 한국 방송의 독특한 정책개념인 매체균형발전이 방송정책의 지향가치로서 타당성을 갖추었는가를 평가했다. 2008년 이후 매체균형발전을 둘러싸고 제기된 ‘소유·진입규제’, ‘재전송/콘텐츠공급정책’, ‘광고정책’ 관련 정책이슈를 중심으로 정책목표와 정책도구 간 정합성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매체균형발전은 최종적인 정책가치로서 제시되기보다 ‘공정경쟁’, ‘방송의 다양성’, ‘시청자권익’ 등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논거로 나타났다. 즉, 여러 이해관계자가 자의적으로 특정 정책수단을 주장하기 위한 수사적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이처럼 매체균형발전이 정책가치로서 명확한 정책목표를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어떠한 정책수단을 선택하더라도 사업자 간 쟁점을 유발해 정책실패를 노정시켰다. 따라서 정부는 매체균형발전을 대체하고 방송통신을 규율할 수 있는 정책가치를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Balanced Media Development, an unique policy concept, has the validity as a value orientation in Korean broadcasting. It analyzes the conformability between policy goals and policy instruments focusing on policy issues concerned on the Balanced Media Development after 2008, which ara ‘ownership & entry regulation’ ‘retransmission & content distribution policy’ and ‘advertising policy’.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has uncovered the Balanced Media Development has been used as not ultimate policy value for Korean broadcasting but basis for an augment to pursue other policy goals, ‘fair competition’ ‘broadcasting diversity’ and ‘viewer interest’. It means the Balanced Media Development is only a rhetoric that interested parties articulate to seek specific policy instruments with their own interest. In this way, as the Balanced Media Development has not suggested distinct policy goals as a policy value it makes discord between interested parties increase and all policy be doomed to failure. Therefore, government has to make new policy value for regulating Korean broadcasting promptly instead of the Balanced Media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