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연변의 경·서도 민요 비교 연구

        최성룡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2 No.-

        In this manuscript, we write about the folk songs of South Korea(called Kyeng·shido)and the folk songs of North Korea formed on the basis of it.Then in the 90's,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ree folk songs, included and compiled from the South Korean folk songs Yanbian folk songs,Focusing on South Korea、North Korea and Yanbianfolk song, music form, song and melody,We focus on identify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olk songs in the three regions.The pronunciation is the same in all three regions,South Korea is fostering, North Korea is called Caustic, Yanbian is called Hybrid,In terms of form, the same.Jangdan is used jointly by Gutgeori and Semitic, but Yanbian is faster than South Korea in tempo,North Korea is faster than Yanbian. In terms of melody,Center note,Skeletal melody,Scale, etc., do the same,decorative sound,passing sound,Melody rhythm type.It will point that as another wa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regions.In addition, the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rom a broader perspective,I particularly hope this will be the basis for an in-depth study of folk songs. 본 연구는 남한의 경·서도 민요와 이를 기반으로 재형상화 한 북한의 민요, 그리고 90년대 이후, 남한의 민요를 수용하여 정착시킨 연변민요 등 세 지역의 민요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는바, 남한·북한·연변민요의 창법, 음악형식, 장단 및 선율을 중심으로, 세 지역에서 불리어 지고 있는 경·서도 민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에 주력하였는데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창법에서 세 지역의 발음은 동일하나 남한은 육성, 북한은 속성(가성), 연변은 혼성으로 부른다는 점, 형식 면에서는 동일한 유절형식이며, 장단은 굿거리와 세마치가 공동히 사용되고 있으나 템포에 있어서는 남한보다 연변이 빠르고, 북한은 연변보다도 더 빠르게 부른다는 점, 선율 면에서는 중심음나 골격선율, 음계 등은 동일하나, 장식음, 경과음, 선율리듬형 등은 다르게 표현된다는 점 등등이 세 지역의 공통점과 차이점이라 하겠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가 바야흐로 더욱 폭넓은 관점에서 전통성악, 특히 경·서도 민요에 대해 심층적 연구를 함에 있어서의 밑거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

        소방학의 학문적 패러다임 구성과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정책과 학문의 연계성 중심으로−

        최성룡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2 No.3

        For a field of research to be an independent area of study, there must be a common paradigm that is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for establishment of identity in a study, several relating scientific communities should actively study and research, which lead to a new paradigm. Effor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re found in Politics, Economics, and Psychology. Yet, the field of Fire Service Science have not yield these results which include active scientific communities, scholars and experts who research on the subject and exchange their expertises. New paradigm for the field is not established yet. Therefore, this research probes the origins of these problems and suggests a proper scientific paradigm and direction for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Fire Service Science in Korea's ambiance. 하나의 학문이 독립된 학문 분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그 학문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이해하고 공유하는 가치기준(패러다임:paradigm)이 있어야 하고 어떤 독자적인 학문체계(정체성: identity)가 정립되려면 관련학회의 학문연구 활동을 통한 경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성하고 학문의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므로 정치학, 경제학, 심리학 등 분야에서는 이를 위한 노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방학분야에 있어서는 학문의 공동연구를 위한 학회의 활동은 물론, 학자 간 학문의 교류 연구가 미미하여 새로운 학문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근원을 파악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소방학의 학문적 패러다임 구성과 정체성 확립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서도잡가 초한가(楚漢歌)연구

        최성룡 한국전통음악학회 2007 한국전통음악학 Vol.- No.8

        As stated above, this thesis analyzed 〈Cho-Han Ga〉, which is a folk song of northwestern provinces of Korea. In particular, this discussed the story, vocalization, the Korean classical ornamental sound, the breathing method, enunciation, the scale and the rhythmic cycle. 1. The story was made up by a Chinese historical tale. The plot was that heroes, Hang-Woo and Yu-Bang, had fought each other in order to usurp the throne, but eventually wise Yu-Bang gained a victory against Hang-Woo who only had military tactics. 2. Vocalization is a natural human voice based on stable hypo-gastric breathing by using various kinds of resonant organs properly. The Korean classical ornamental sound of northwestern provinces of Korea is also used as peculiar curving voice, shouting voice and deeply vibrating voice. 3. Enunciation applied as vowel, consonant and final consonant clusters on the end of a Korean orthographic syllable. 4. The scale of 〈Cho-Han Ga〉 is composed of d' → e' → a' → c'. This form without a third note is modified froma five-note scale of Su-Sim-Ga-To-Ri, which indicates characteristics of melody of folk songs of northwestern provinces of Korea. This scale undergoes a change according to melodious composition. 5. The rhythmic cycle of the song is on the basis of triple time, but altered rhythms, such as quadruple time, quintuple time and sextuple, are repeatedly appeared in the intervals.

      • 스마트폰을 이용한 야생화 인식 및 정보 제공 시스템

        최성룡 ( Sung-ryong Choi ),홍성덕 ( Sung-duk Hong ),이건명 ( Keon-myu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아웃도어 열풍과 자연생태공원 조성 등으로 야외활동이 증가하고,그에 따라 야생화를 접할 기회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스마트 기기의 보유율이 중가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등산 탐방로,생태공원 둥에 조성되어 있는 야생화를 판별해 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촬영한 야생화 이미지에서 배경과 대상을 분리하는 방법과 색상을 추출하는 방법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야생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긴ㆍ자진 난봉가에 대한 연구

        최성룡(Choi Seong-Ryong) 한국전통음악학회 2006 한국전통음악학 Vol.- No.7

        본 고에서는 남한에서 불리고 있는 서도민요 〈긴ㆍ자진 난봉가〉와 이 민요를 기본으로하여 가사와 선율을 새롭게 완성한 북한의 민요 〈정방산성가 1.2〉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서도민요는 남북분단 이후 북한에서는 시대적 미감에 맞는 즉, ‘주체발성법’을 따르는 노래에 밀려 올바른 전승이 단절되다시피 하였지만, 남한의 경우 극소수의 월남한 몇몇 명창들에 의해 어렵게 전승되어 오다가 중요무형문화재 제도가 활성화 되면서 그 소리들이 널리 불리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남한에서의 서도민요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현장조사가 어렵고 자료를 쉽게 구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연구가 학문적으로 그리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특히 서도민요와 이를 기초로 하여 창작된 북한 민요와의 비교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필자는 중국 연변대학 예술학원 음학학부에서 민족성악을 지도해 온 적이 있다. 지난 1996~1999까지 약 3년 동안 북한 ‘평양음악무용대학의’ 민족성악 강좌장인 최정대 교수로 부터 북한의 ‘주체발성법’과 창작민요를 전수 받았고, 또 남한에서는 단국대학교 국악학과 대학원과정에서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의 전수조교인 유지숙으로부터 서도민요를 중점적으로 전수 받았다. 이러한 일련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면서 본 고의 연구대상인 〈정방산성가 1.2〉와〈긴ㆍ자진 난봉가〉를 순차적으로 접하였으며 두 민요의 비교연구가 점차 필자의 관심을 끌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과 일련의 교육과정을 근거로 하여 서도민요 『긴ㆍ자진 난봉가』와 북한 민요 〈정방산성가 1.2〉의 사설, 창법, 및 음악구조를 비교하였는데,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면에서 〈긴ㆍ자진 난봉가〉는 남녀 간의 사랑이야기를 줄거리로 하였다면, 〈정방산성가 1.2〉는 침략자들을 물리치는 투쟁정신을 담고 있어 서로 차이를 보인다. 둘째, 창법면에서 〈긴ㆍ자진 난봉가〉는 육성(肉聲)창법으로 부르며 떠는 목, 꺾는 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대체적으로 무게 있고 편안한 분위기를 유지한다면, 이에 비하여 〈정방산성가 1.2〉는 ‘주체발성법’으로 부르는데, 다양한 시김새(북한에서는 목돌림이라고 칭함)들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장2도 아래 혹은 위, 완전4도 아래의 요성(搖聲 : 북한에서는 롱성이라고 칭함), 또는 본음을 지속하다가 끝부분에서 떠는 요성 등이 특징적이다. 노래의 분위기는 선동적이며, 투쟁적인 색채가 짙게 나타난다고 하겠다. 셋째, 음악형식면에서는 〈긴 난봉가〉와〈정방산성가 1〉이 A(4소절)+B(4소절)+B’(3소절)+C(4소절)+B’(3소절)로 동일하고,〈자진 난봉가〉는 A(4소절)+A'(4소절)+B(4소절) +A’(4소절)+C(4소절)+A'(4소절)+D(4소절)로 되어 있고,〈정방산성가 2〉는 마지막 D부분이 5소절로 되어 있어 대동소이하다. 넷째,〈긴ㆍ자진 난봉가〉와〈정방산성가 1,2〉의 출현음은 공히 d'→ e'→g'→ a'→ C"로 나타나고, 골격선율은 d'→a'로 완전5도 상행하거나 또는 a'→d'로 완전5도 하행하는 진행이 특정적이다. 다섯째, 중심음과 장식음에 있어서 〈긴ㆍ자진 난봉가〉와 〈정방산성가 1.2〉는 각소절마다 d'와 a'를 중심으로 쓰면서 선율형태는 거의 비슷하나, 장식음의 형태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긴ㆍ자진 난봉가〉의 경우 a'앞에 c"가 장식되지만,〈정방산성가 1.2〉에서는 a'앞에 e'와 b'를 쓰고, d'앞에 e'를 쓰는 부분이 많다. 여섯째, 장단에 있어서는 〈긴 난봉가〉가 12/4때 중모리 장단인데 비하여 〈정방산성가 1〉은 9/8로 일종의 중모리 장단과 세마치장단(북한에서는 양산도 장단이라고 칭함)의 혼합형 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진 난봉가〉와 〈정방산성가 2〉는 공히 12/8인 굿거리장단으로 동일하다. 위의 결과로 보면 북한의 창작민요인 〈정방산성가 1.2〉는 현재 남한에서 불리어지고 있는 서도민요의 〈긴ㆍ자진 난봉가〉를 북한 체제에 맞도록 일부의 가사를 개작하고 그 위에 부분적으로 선율을 바꾼 노래임이 비교결과 밝혀졌다. 서도민요와 이를 바탕으로 재창작된 북한 민요를 비교 연구하여 그 뿌리를 밝힌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i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the folk song of the Seo-do(the northwestern provinces of Korea) 〈GinㆍJajin Nanbongga〉 with the North Korean folk song 〈Jeongbangsan seongga 1.2〉 renewed the words and melody in a basis on the Seodo folk song. The Seodo folk song has been almost became extinct in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of the fashion of the folk song based on the 'Juche ♭ al seongbeop'. In South Korea, only a few singers coming from North Korea have barely kept the Seodo folk song in existence. However,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system makes the Seodo folk song be widely sung in nowadays. A scientific investigation in the Seodo folk song is not active because it is too difficult to compile the data and make a field study. Especiall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eodo folk song and the North Korean folk song never known. I had coached a folk music in music department at Yeonbyeon University in China, Professor Choi Jeong Dae, the chief instructor of a folk music department at Pyeongyang Music and Dancing College, had initiated this writer into 'Juche ♭ alseongbeop' and a creative folk song of North Korea(1996~1999). And I had been intensively initiated the Seodo folk song from Yu, Ji Suk, the initiate of the 29th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asset 〈Seodo Sori〉. During these course, this writer has been interested i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Jeongbangsanseongga 1.2〉 and the 〈GinㆍJajin Nanbongga〉. This thesis is to study the words, vocalism and music formation of the Seodo folk song 〈GinㆍJajin Nanbongga〉 and the North Korean folk song 〈Jeongbangsanseongga 1.2〉.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in the words, the 〈GinㆍJajin Nanbongga〉 has a love story, on the other hand the 〈Jeongbangsanseongga 1.2〉 has a plot of a struggle consciousness to battle against the invaders. Second, in the vocalism, the 〈GinㆍJajin Nanbongga〉 is sung in a dignified and comfortable mood by a natural voice. On the other hand, the 〈Jeongbangsanseongga 1.2〉 is sung by "Juche ♭ alseongbeop' in use of various Sigimsea(called Mokdolrim in North Korea). The 〈Jeongbangsanseongga 1.2〉 has a specific characteristic, that is, this folk song keepsmajor second low or high, Yoseong(搖聲, called Rongseong in North Korea) of low of fourth(a diatonic scale 4 do) or basic note at the beginning, Yoseong in the end. This folk song has an inflammatory, struggle mood. Third, in the formation the 〈Gin Nanbongga〉 and the 〈Jeonbang sanseongga 1〉 have a same form A(4 measures) + B(4 measures) + B'(3 measures) + C(4 measures) + B'(3 measures), the 〈JaJin Nanbongga〉 has A(4 measures) + A'(4 measures) + B(4 measures) + A'(4 measures)+C(4 measures) + A'(4 measures) + D(4 measures), the 〈Jeong bangsanseongga 2〉 has only one different last part D(5 measures). Forth, in the melody, the 〈GinㆍJajin Nanbongga〉 and the 〈Jeong bangsanseongga〉 have a structure scale [d'→ e'→g'→ a'→ c"] in general, however main melody has a characteristic to raise 5 Do [d'→a'] or lower 5 Do [a'→d']. Only a structure scale [d'→ e'→g'→ a'→ c"] that is, [黃-太-仲-林-無]differs with [黃-太-仲-林-南] of a pentatonic scale(PyungJo) on the 5 note, these folk songs are alike in a scale in general. So these folk songs is likely to be a transformated scale. Fifth, in the main note and grace note, the 〈GinㆍJajin Nanbongga〉 and the 〈Jeongbangsanseongga 1.2〉 are similar in the melody mainly in use of [a'] and [d'] in each measure, however these folk songs are different in the grace note. In the 〈GinㆍJajin Nanbongga〉, [c"] is placed in front of [a"], however in the 〈Jeongbangsanseongga 1.2〉 [e'] and [b'] are placed in front of [d']and [a']. Sixth, rhythmic cycle, the 〈Gin Nanbongga〉 has Jungmori rhythm of 12/4 but the 〈Jeongbangsanseongga l〉has mixed rhythm of 9/8 with the rhythm type of Jungmori and Semachi. However, the 〈JaJin Nanbongga〉 and the 〈Je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