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긴ㆍ자진 난봉가에 대한 연구

        최성룡(Choi Seong-Ryong) 한국전통음악학회 2006 한국전통음악학 Vol.- No.7

        본 고에서는 남한에서 불리고 있는 서도민요 〈긴ㆍ자진 난봉가〉와 이 민요를 기본으로하여 가사와 선율을 새롭게 완성한 북한의 민요 〈정방산성가 1.2〉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서도민요는 남북분단 이후 북한에서는 시대적 미감에 맞는 즉, ‘주체발성법’을 따르는 노래에 밀려 올바른 전승이 단절되다시피 하였지만, 남한의 경우 극소수의 월남한 몇몇 명창들에 의해 어렵게 전승되어 오다가 중요무형문화재 제도가 활성화 되면서 그 소리들이 널리 불리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남한에서의 서도민요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현장조사가 어렵고 자료를 쉽게 구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연구가 학문적으로 그리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특히 서도민요와 이를 기초로 하여 창작된 북한 민요와의 비교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필자는 중국 연변대학 예술학원 음학학부에서 민족성악을 지도해 온 적이 있다. 지난 1996~1999까지 약 3년 동안 북한 ‘평양음악무용대학의’ 민족성악 강좌장인 최정대 교수로 부터 북한의 ‘주체발성법’과 창작민요를 전수 받았고, 또 남한에서는 단국대학교 국악학과 대학원과정에서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의 전수조교인 유지숙으로부터 서도민요를 중점적으로 전수 받았다. 이러한 일련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면서 본 고의 연구대상인 〈정방산성가 1.2〉와〈긴ㆍ자진 난봉가〉를 순차적으로 접하였으며 두 민요의 비교연구가 점차 필자의 관심을 끌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과 일련의 교육과정을 근거로 하여 서도민요 『긴ㆍ자진 난봉가』와 북한 민요 〈정방산성가 1.2〉의 사설, 창법, 및 음악구조를 비교하였는데,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면에서 〈긴ㆍ자진 난봉가〉는 남녀 간의 사랑이야기를 줄거리로 하였다면, 〈정방산성가 1.2〉는 침략자들을 물리치는 투쟁정신을 담고 있어 서로 차이를 보인다. 둘째, 창법면에서 〈긴ㆍ자진 난봉가〉는 육성(肉聲)창법으로 부르며 떠는 목, 꺾는 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대체적으로 무게 있고 편안한 분위기를 유지한다면, 이에 비하여 〈정방산성가 1.2〉는 ‘주체발성법’으로 부르는데, 다양한 시김새(북한에서는 목돌림이라고 칭함)들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장2도 아래 혹은 위, 완전4도 아래의 요성(搖聲 : 북한에서는 롱성이라고 칭함), 또는 본음을 지속하다가 끝부분에서 떠는 요성 등이 특징적이다. 노래의 분위기는 선동적이며, 투쟁적인 색채가 짙게 나타난다고 하겠다. 셋째, 음악형식면에서는 〈긴 난봉가〉와〈정방산성가 1〉이 A(4소절)+B(4소절)+B’(3소절)+C(4소절)+B’(3소절)로 동일하고,〈자진 난봉가〉는 A(4소절)+A'(4소절)+B(4소절) +A’(4소절)+C(4소절)+A'(4소절)+D(4소절)로 되어 있고,〈정방산성가 2〉는 마지막 D부분이 5소절로 되어 있어 대동소이하다. 넷째,〈긴ㆍ자진 난봉가〉와〈정방산성가 1,2〉의 출현음은 공히 d'→ e'→g'→ a'→ C"로 나타나고, 골격선율은 d'→a'로 완전5도 상행하거나 또는 a'→d'로 완전5도 하행하는 진행이 특정적이다. 다섯째, 중심음과 장식음에 있어서 〈긴ㆍ자진 난봉가〉와 〈정방산성가 1.2〉는 각소절마다 d'와 a'를 중심으로 쓰면서 선율형태는 거의 비슷하나, 장식음의 형태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긴ㆍ자진 난봉가〉의 경우 a'앞에 c"가 장식되지만,〈정방산성가 1.2〉에서는 a'앞에 e'와 b'를 쓰고, d'앞에 e'를 쓰는 부분이 많다. 여섯째, 장단에 있어서는 〈긴 난봉가〉가 12/4때 중모리 장단인데 비하여 〈정방산성가 1〉은 9/8로 일종의 중모리 장단과 세마치장단(북한에서는 양산도 장단이라고 칭함)의 혼합형 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진 난봉가〉와 〈정방산성가 2〉는 공히 12/8인 굿거리장단으로 동일하다. 위의 결과로 보면 북한의 창작민요인 〈정방산성가 1.2〉는 현재 남한에서 불리어지고 있는 서도민요의 〈긴ㆍ자진 난봉가〉를 북한 체제에 맞도록 일부의 가사를 개작하고 그 위에 부분적으로 선율을 바꾼 노래임이 비교결과 밝혀졌다. 서도민요와 이를 바탕으로 재창작된 북한 민요를 비교 연구하여 그 뿌리를 밝힌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i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the folk song of the Seo-do(the northwestern provinces of Korea) 〈GinㆍJajin Nanbongga〉 with the North Korean folk song 〈Jeongbangsan seongga 1.2〉 renewed the words and melody in a basis on the Seodo folk song. The Seodo folk song has been almost became extinct in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of the fashion of the folk song based on the 'Juche ♭ al seongbeop'. In South Korea, only a few singers coming from North Korea have barely kept the Seodo folk song in existence. However,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system makes the Seodo folk song be widely sung in nowadays. A scientific investigation in the Seodo folk song is not active because it is too difficult to compile the data and make a field study. Especiall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eodo folk song and the North Korean folk song never known. I had coached a folk music in music department at Yeonbyeon University in China, Professor Choi Jeong Dae, the chief instructor of a folk music department at Pyeongyang Music and Dancing College, had initiated this writer into 'Juche ♭ alseongbeop' and a creative folk song of North Korea(1996~1999). And I had been intensively initiated the Seodo folk song from Yu, Ji Suk, the initiate of the 29th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asset 〈Seodo Sori〉. During these course, this writer has been interested i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Jeongbangsanseongga 1.2〉 and the 〈GinㆍJajin Nanbongga〉. This thesis is to study the words, vocalism and music formation of the Seodo folk song 〈GinㆍJajin Nanbongga〉 and the North Korean folk song 〈Jeongbangsanseongga 1.2〉.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in the words, the 〈GinㆍJajin Nanbongga〉 has a love story, on the other hand the 〈Jeongbangsanseongga 1.2〉 has a plot of a struggle consciousness to battle against the invaders. Second, in the vocalism, the 〈GinㆍJajin Nanbongga〉 is sung in a dignified and comfortable mood by a natural voice. On the other hand, the 〈Jeongbangsanseongga 1.2〉 is sung by "Juche ♭ alseongbeop' in use of various Sigimsea(called Mokdolrim in North Korea). The 〈Jeongbangsanseongga 1.2〉 has a specific characteristic, that is, this folk song keepsmajor second low or high, Yoseong(搖聲, called Rongseong in North Korea) of low of fourth(a diatonic scale 4 do) or basic note at the beginning, Yoseong in the end. This folk song has an inflammatory, struggle mood. Third, in the formation the 〈Gin Nanbongga〉 and the 〈Jeonbang sanseongga 1〉 have a same form A(4 measures) + B(4 measures) + B'(3 measures) + C(4 measures) + B'(3 measures), the 〈JaJin Nanbongga〉 has A(4 measures) + A'(4 measures) + B(4 measures) + A'(4 measures)+C(4 measures) + A'(4 measures) + D(4 measures), the 〈Jeong bangsanseongga 2〉 has only one different last part D(5 measures). Forth, in the melody, the 〈GinㆍJajin Nanbongga〉 and the 〈Jeong bangsanseongga〉 have a structure scale [d'→ e'→g'→ a'→ c"] in general, however main melody has a characteristic to raise 5 Do [d'→a'] or lower 5 Do [a'→d']. Only a structure scale [d'→ e'→g'→ a'→ c"] that is, [黃-太-仲-林-無]differs with [黃-太-仲-林-南] of a pentatonic scale(PyungJo) on the 5 note, these folk songs are alike in a scale in general. So these folk songs is likely to be a transformated scale. Fifth, in the main note and grace note, the 〈GinㆍJajin Nanbongga〉 and the 〈Jeongbangsanseongga 1.2〉 are similar in the melody mainly in use of [a'] and [d'] in each measure, however these folk songs are different in the grace note. In the 〈GinㆍJajin Nanbongga〉, [c"] is placed in front of [a"], however in the 〈Jeongbangsanseongga 1.2〉 [e'] and [b'] are placed in front of [d']and [a']. Sixth, rhythmic cycle, the 〈Gin Nanbongga〉 has Jungmori rhythm of 12/4 but the 〈Jeongbangsanseongga l〉has mixed rhythm of 9/8 with the rhythm type of Jungmori and Semachi. However, the 〈JaJin Nanbongga〉 and the 〈Jeong

      • 보강재 길이에 따른 모형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관한 연구

        최규리(Kyu-Lee Choi),오성실(Sung-Sil Oh),이석원(Seok-Won Lee),노기돈(Gi-don No),박보형(Bo-Hyeong Park),김진용(Jin-Yong Kim),안준(June An),최성룡(Seong-Ryong Choi),원명수(Myung-Soo Won)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3 한국지반신소재학회 학술발표회 Vol.2013 No.11

        A serious of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inforcement length to the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GRS) wall models. The strength for the GRS wall with increased reinforcement length was improved. The failure in GRS wall models shows ductile behavior however the failure in unreinforced wall model shows inelastic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