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脫分斷體制로의 移行을 위한 南北韓 經濟交流協力

        Pae Kun Choi(崔培根)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1998 商經硏究 Vol.23 No.2

        The worsening economic plight of North Korea has been widely documented. It has been facing food shortage at least since the early 1990s and is well into a famine of unknown magnitude. Despite the desperate situation internally, the government maintains the most militarized society on earth, with more than one million men under arms and devoting an estimated 25 percent of GDP devoted to military expenditures. Economic reforms could have enormous benefits in this highly distorted economy. It would also help manage tension reduc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the country could generate a significant additional “peace dividend” by partially demobilizing its enormous military. In fact, the North Korean regime has initiated some modest reforms. In the meantime the most recent estimate of the costs of unification shows that there can be scenario in which the present discounted value of South Korean income is higher with unification than without it. It implies that although lower income groups in South Korea experience reduced incomes under this scenario, with redistribution of the gains, everyone can be made better off. However, under this scenario even after a decade of adjustment the level of North Korean per capita income would still be less than 40 percent of the South’s. Therefore, whether the degree of disparity would be politically sustainable in a unified Korea is an open question. Both South and North Koreas have strong incentives for the economic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increase in quantity that is limited at the level of private sector. The political and military issues hinder a further progress of economic cooperations, especially at the government’s level. The window of opportunity for North Korea to embrace reform is now greater than at any time in the pas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make more efforts to be effective for its policy approach to embrace the North Korean regime. The declaration under which South Korea will not merge North Korea is not enough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send some essential signals that acknowledge the North Korean regime. It will include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supports that help normal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North Korea and U.S.A. and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 네트워크와 시장: 신고전학파 시장이론 비판을 중심으로

        최배근(Pae Kun Choi),최윤식(Yunsik Choi)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6 商經硏究 Vol.31 No.2

        Changes on the economic circumstance caused by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technology has been variously discussing in the fleld of economics since the 1990s. Thosechanges, however, have been mostly considered merely as technical shocks rather than as fundamental changes that operate economic system. This paper clearly points out that the network economy is another phase of relation of production whose mechanism is absolutely different from the market economy, This paper also shows the problems of current system where network is cooperating with market system. Externality caused by network could bring about disturbances on tile market price. Market economy stands on the principles of the exclusive private property and perfect competition between agents, while the network economy can get efficiency through co-ownership and cooperation, Above all, this paper aims to show the limitation of current economic thoughts. It is not possible that modern economics understand relations of production beyond market system, Modern economics are restricted and enervated to explain current economic situation, collision and contradiction between network economy and market economy, This paper tries to grope for a new economic recognition by revealing a historical root of marketeconomy and mainstream economics.

      • 금융위기와 방법론적 개체론

        최배근(Pae Kun Choi)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9 商經硏究 Vol.34 No.2

        주류경제학에서 자본시장은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시장의 참여자는 합리적으로 선택한다고 가정하는 반면, 금융부문의 문제에서 비롯한 글로벌 경기침체는 자본시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 것이다. 예를 들어, 금융위기의 요인이 된 복합파생금융상품의 리스크 평가나 개별 금융기관의 리스크 측정 방식 등은 경제주체 간의 리스크가 상호 독립적이라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자본시장이론은 경제현상을 가장 단순한 요인들로 분해하여 이해할 수 있다는 방법론적 개체론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주체간의 채무불이행의 상관관계(리스크 외부성)나 시스템 리스크의 배제는 실제 리스크를 과소평가하게 하였고, 과도한 레버리지를 정당화시켰다. 즉 방법론적 개체론에 기초한 리스크 평가방식으로는 자본시장의 리스크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고, 리스크에 대한 최적의 관리(hedge)가 어렵다. 그리고 이는 경제의 네트워크화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While the mainstream economics assumes that capital markets are perfect and rational individuals interact in perfect markets, the global recession which resulted from the failure of a financial sector shows that financial markets do not work efficiently. For example, the efficient capital market hypothesis assumes that the individual risks of economic agents are independent each other as shown in the risk estimations of complex financial products and individual financial instruments. The reason is because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in which the complex economic phenomena can be dissolved into the individual orientation. However, the ignorance of the correlation of individual defaults and the system risk underestimated the real risks and justified the excessive leverage. That is, the risk management based upon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is not effective of estimating the accurate risks of capital markets and does not make the optimal hedge impossible. In short, networked economy shows that financial markets are not any more perfec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식민지경제와 분단 그리고 체제 불구성

        최배근(Choi Pae K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통일인문학 Vol.53 No.-

        이 글은 남북한체제가 자기 완결적이지 못하고 불구적임을 보인다. 그리고 그 불구성의 역사적 기원을 일제의 식민통치에서 찾는다. 특히 식민지 지주제와 공업화가 분단에 어떻게 작용하였고, 분단이후 남북한체제의 불구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코리아 전통사회는 서구 지식인에게는 '모순적 결합'으로 보였던 개체주의와 공동체주의가 '역동적으로 결합'되어 진화해왔다. 그런데 일제가 조선에 배타적 소유권 체계를 도입한 결과 이른바 '조선 지주제'로 알려진 병작제 하에서의 경작농민의 소유권이 부정되고, 배타적 소유권 체계인 지주제가 체제 적으로 확립되었다. 식민지 지주제는 특히 조선 말 병작제가 상대적으로 발전하였던 남부조선에 공동체주의의 약화와 개체주의의 강화를 초래시킴으로써 남부조선에서 자본주의 성립에 중요한 토양이 되었다. 또한, 일제에 의한 식민지 공업화는 북부조선에서 영세농을 공업부문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영세농의 실질소득을 증가시키는 한편 자작농 중심의 농촌공동체로 전환시켰다. 그 결과 북부조선에서는 평균주의가 강화되는 등 사회주의 경향화를 강화시켰다. 이처럼 식민지 지주제와 공업화는 역동적으로 결합되어 상호작용하였던 개체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남 과 북에 지역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2차 대전 이후의 냉전체제의 도래와 더불어 코리아의 분단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분단 이후 남과 북의 사회질서가 불구성을 띌 수밖에 없었던 배경이다. 남과 북의 체제는 개혁 없이 지속불가능하고, 그 방향은 개체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역동적 결합을 요구한다. 이는 민주주의에 대한 방법론의 차이와 대립도 해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통일에 대한 국제협조도 끌어낼 수 있다. This study shows that both South and North Korea systems are not self-contained, but incomplete. I argue that its origins resulted from the Japanese imperial rule. In particular, I will show how colonial landlordism and industrialization affected the division of Korea and analyze its relationship to the incompleteness of South and North Korea systems after the division of Korea. The traditional Korea had evolved in a dynamic combination of individualism and communalism which can be seen as a paradoxical combination from the western viewpoint. However, the Japanese imperialism introduced an exclusive system of land-ownership into Chosun after the Japan's forced annexation of Korea. As a result the Korean-style tenants lost their the right of permanent tenancy or topsoil ownership and the dual ownership system of traditional Korea was replaced by the landlordism based upon an exclusive ownership. Especially, the colonial landlordism weakened communalism and strengthened individualism in southern Chosun in which the sharecropping system was relatively developed. And it provided the soil for South Korea after the second World War to become a capitalist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colonial industrialization induced small-income farmers to move to an industrial sector in northern Chosun. It increased their real income and transformed the northern rural region of Chosun into a community of independent farmers relatively. That is, colonial industrialization made the north Chosun more equal and strengthened a socialistic direction. Thus, by decoupling individualism and communalism the colonial landlordism and industrialization worked as a factor of division of Korea with the rising Cold War regime after the second World War. It is the reason why both South and North Korea systems are incomplete and defective. Both systems are unsustainable without reforms which require a dynamic combination of individualism and communalism. Such reforms can bring out international cooperations for Korea reunification in that they solve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 and conflicts of democracy.

      • KCI등재
      • 무형재의 딜레마와 수요의 내부화 그리고 협력의 경제학: - 이론적 해법 -

        최배근(Choi Pae Kun)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3 商經硏究 Vol.38 No.2

        탈공업화의 가속화와 더불어 경제에서 무형재의 비중이 증대하고 있다. 이처럼 무형재 경제로의 성공적 이행은 탈공업화에 직면한 국가들의 최대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반면, 무형재 산업의 육성은 지지부진하다. 그 이유는 무형재가 시장시스템이나 자본주의 기본원리들과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디어집약적 재화인 무형재는 경합성과 배제성에 기초한 유형재(사적 재화)와 달리 반경합성과 포괄성에 기초한 협력재의 성격을 갖는다. 무형재의 반경합성은 시장실패, 즉 경제적 후생의 손실을 극대화시키는 반면, 무형재의 가치 창출은 아이디어가 핵심요소이기에 시장실패에 대한 대안으로서 정부개입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무형재 딜레마의 해결은 협력재의 속성인 공유와 협력의 도입, 즉 협력의 경제학 원리를 통해 가능하다. 아이디어집약적 무형재의 경우 공동창조가 가치창출에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듯이 경제적 후생의 극대화는 수요 확장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 이론적으로 공급자의 수익이 감소하지 않으면서 경제적 후생의 극대화는 수요의 확장을 통해 가능하다. 수요의 확장은 소비자의 자발적 협력과 적극적 참여를 끌어낼 때, 즉 수요의 내부화를 통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결정되는 이윤의 보장을 전제로 소비자에게 가격 결정권을 넘김으로써 소비자에 의한 시장 확장을 달성할 수 있다. The intangible economy, followed by accelerating deindustrialization, is increasingly in importance. As a result, a successful transition to the intangible economy is becoming a key task of nations faced deindustrialization, while it goes at a snail´s pace. The reason is that intangible goods are incompatible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capitalism. Tangible goods, the so-called private goods, is characterized by rivalry and exclusiveness, while idea-intensive intangible goods which is collaborative goods is based upon anti-rivalry and inclusiveness. Market transaction of intangible goods result in market failure which often maximizes the loss of economic welfare, while government intervention is not desirable as an alternative solution of market failure since its value creation depends on idea. A dilemma of intangible goods can be overcome through sharing and collaboration which are the key features of collaborative goods. As co-creation is the best way of innovation for idea-intensive intangible goods, the maximization of economic welfare can obtain through the demand expansion. Theoretically, the maximization of economic welfare without the loss of profitability is possible by expanding a demand. Demand can be expanded only with consumers’ voluntary cooperation, which means an internalization of demand. For example, by giving consumers the right of price determination and guaranteeing a certain level of profit, market can be expanded with their active participation.

      • KCI등재

        한국 경제성장에서 수출의 외부성, 1911~2011년

        최배근(Pae-Kun Choi)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1

        이 논문은 1911~2011년간 한국의 경제성장에서 수출의 외부성을 측정한다. 지난 1세기동안 수출은 한국의 공업화 및 경제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지만 항상 같은 역할을 수행한 것은 아니었다. 본 논문은 지난 1세기동안 경제성장에서 수출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 수출의 외부성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실증분석은 식민지 시기의 공업화와 경제성장 과정에서 수출의 외부성이나 경제 전체의 효율성 개선이 확인되지 않는 반면, 수출 주도로 성장 전략을 전환한 1964년부터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수출의 외부성과 경제 전체의 효율성 개선이 확인된다. 그런데 수출의 외부성과 경제 전체의 효율성 개선은 외환위기 이후 다시 소멸되었다. 가장 큰 이유는 시장개방의 확대와 탈공업화 등에 따른 일자리 양극화 및 괜찮은 일자리의 부족과 관련이 있다. 이처럼 경제성장에서 수출의 역할은 신성장론의 주장과 달리 일관되게 확인되지 않고, 산업구조나 경제환경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export played a key role to solve bottleneck for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in a traditional economy. However, it"s role was different over time. The paper analyses the externality effects of exports on economic growth in Korea over the period from 1911 to 2010.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xternality effects of export are not found for the colonial period unlike the period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and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98 its effects are gone and related with job polarization and a lack of decent jobs due to more opening Korea"s market and deindustrialization. Thus, unlike a new growth theory, this study shows that the externality of export is not always found consistently, bu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industrial structure and economic environments.

      • 경제의 네트워크화와 호혜영역 확장의 경향성

        최배근(Choi Pae Kun)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2 商經硏究 Vol.37 No.1

        경제의 금융화를 비롯해 경제활동에서 무형가치의 비중 증대는 경제의 네트워크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경제의 금융화는 경제 영역간 경계를 약화시키고, 무형가치의 주요 속성 중 하나인 가치결합성은 경제주체 간 네트워크화를 강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제의 네트워크화는 자원배분과 경제활동에서 호혜성의 원리를 부활시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경제의 네트워크화와 경제활동에서 무형가치의 증대가 제기하는 시장이론의 문제 및 한계를 살펴본다. 방법론적 개인주의와 대표행위자 모형에 기초하는 시장이론이 경쟁과 사유재산권에 의해 효율성을 추구하는 반면, 호혜성이 지배하는 이른바 호혜경제에서는 협력과 공유가 보다 효율적인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인다. Today s economy is rapidly networked as the share of intangible value increases in the economy, including the financialization. It occurs because the financialization weakens the boundary of economic sphere and a value connectivity, one of important features of intangibles, strengthens the network of economic agents. As a result of economy network,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s revived in resource allocation and economic activities. In this study, above all, I analyze the methodological problems facing neoclassical economics in the network economy and in the increased share of intangible value. While the neoclassical economics based upon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d representative agent seeks an efficiency by means of competition and private ownership, I show that collaboration and sharing can make more efficient performance in the economy of reciproc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