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사교육 경쟁, 바람직한가? - 사교육 무한경쟁과 교육생산성 -

        채창균(Chang-Kyun Chae),유한구(Hangu Ryu)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8 교육연구와 실천 Vol.73 No.-

        In this paper, we were trying to prove the background of heavier reliance on private education and the inefficiency of education that the heavier reliance on private education causes. In case that most of students are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is reduced, and then the reliance on private education gets heavier and heavier. Accordingly the heavier reliance on private education causes the increase of study hours. Though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outperformed in the 2006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conducted by OECD, the outstanding academic achievements of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are mainly by absolutely long study hours. The efficiency or productivity of Korean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academic achievement per study hour is almost at the bottom-level,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 KCI등재

        대입수학능력시험 성적 자료를 이용한 학급 내 동료 효과의 분석

        강창희 ( Chang Hui Kang ),채창균 ( Chang Kyun Chae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0 勞動經濟論集 Vol.33 No.1

        본 논문은 같은 학급 내 동료들(classroom peers)의 특성이 개별 학생의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199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1990년대 중반에는 평준화 제도에 의하여 학교와 학급 간 학생 배정이 외생적이라는 점을 활용한다. 실증 결과에 의하면, 학급 내 동료집단은 개별 학생의 학업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하위권 동료의 부정적인 영향이 상위권 동료의 긍정적인 영향을 압도한다. 이러한 동료 효과의 구조는 우리나라에서 평준화 대 비평준화 논쟁에 관하여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Using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year 1995, the paper investigates effects of classroom peers on a student`s test scores. It exploits exogenous assignment of students across different classrooms within a school under the leveling policy in 1990s.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strong impacts of peers on individual students. Negative effects of low-performing peers exceed positive effects of high-performing peers. Such a structure of peer interaction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ability grouping vs. mixing debates in Korea.

      • KCI등재

        기업 내 교육훈련의 경영성과 효과

        노용진(Yong jin Nho),채창균(Chang Kyun Chae) 한국노동연구원 2009 노동정책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기업의 교육훈련투자 행위를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기업 교육훈련의 생산성 및 수익성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생산성 지표로서는 매출액 외에 부가가치를, 수익성으로는 영업이익을 사용하였으며, 교육훈련 변수로는 1인당 교육훈련비를 사용하였다.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계모형은 2SLS모형과 1계차분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1인당 교육훈련비가 1인당 매출액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부가가치와 영업이익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교육훈련의 수익성 효과를 지지하지 않고 있으며, 생산성효과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만 지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ㆍ해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ductivity and profit effects of corporate training empirically in order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their training investment behaviors, utilizing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by KRIVET. As dependent variables, net sales per capita and value-added per capita are used for productivity, and operating income per capita is for profit. Training cost per capita is for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 To solve endogeneity problem, 2SLS and first-differenced fixed effect model are ado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raining cost per capita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most of the models. However, it does not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value added per capita or operating income per capita. Finally, the results are interpret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학자금 대출이 대졸자 직업탐색 기간에 미치는 영향

        정지운 ( Ji Un Jung ),채창균 ( Chang Kyun Chae ),우석진 ( Seokjin Woo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7 勞動經濟論集 Vol.40 No.2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를 이용하여 학자금 대출이 대졸자직업탐색 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정하였다. 특히 학자금 대출이 그 유형에 따라 대출의 보유자에게 상이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추정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학자금 보증 대출의 경우 비대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긴 직업탐색 기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원리금 상환을 고려하여 더 높은 임금을 제안받기 위한 선택일 개연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의 경우 비대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짧은 직업탐색 기간을 소비할 뿐만 아니라 역시 더 낮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은 이 대출의 보유자가 취업 시까지 납부할 이자는 유예되지만, 축적되는 이자 부담과 여타 학자금 대출 제도에 비해 상환 계획이 짧다는 점 등에 부담을 느끼는 심리적 부담에 의한 역기능이 발생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impact of student loan on job search duration, explicitly considering the type of student loa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study released by KRIVET. The survival analysis shows the following two patterns. First, the students who used the student loan with guarantee tended to have longer job search duration of job search. Second, the students with the income contingent loan tended to have shorter job search duration to end up with lower wage.

      • KCI등재

        EBS 수능강의 참여 실태와 효과 분석

        채창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 1차 조사와 2차 조사 자료를 결합하여 EBS수능강의 참여 실태와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EBS 수능강의 참여 실태를 보면 계층이나 지역의 차이와 무관하게 고른 시청 양상을 보인다. 가구배경이나 지역에 따라 사교육 참여 정도가 현저히 다르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EBS수능강의가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데 일조하는 긍정적 측면이 확인된다. 또 수능강의 시청 학생들의 수능성적이 비시청 학생에 비해 3∼4% 정도 높게 나타나는 등 수능강의의 수능성적 향상 효과도 적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EBS 수능강의가 사교육비를 절감하는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횡단면 분석에 의할 경우 EBS 수능강의 시청 학생들의 사교육비 지출 규모가 비시청 학생들에 비해 월평균 10만 원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DID 분석을 통해 내생성의 문제를 해결할 경우 EBS 수능강의가 사교육비 지출 규모를 줄이는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attending realities and effectiveness of EBS Lecture for Korea SAT, using KEEP data of KRIV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BS Lecture for Korea SAT has contributed to narrow the education gaps by family background and regions; second, SAT grade of students who was attending the EBS Lecture was three to four percents higher than students who was not; and finally, DID estimation showed that private tutoring cost of student attending EBS Lecture did not decrease, compared to students attending only usual private tutoring.

      • KCI등재

        기업규모와 청년층 노동이동

        채창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직업능력개발연구 Vol.9 No.1

        이 연구에서는 청년층의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으로의 취업과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의 노동이동을 위시한 기업규모간 노동이동 실태를 보다 명확히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동하는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 다시 말해 중소기업 취업 경험이 대기업 입사시에 유리한 경력으로 작용하는지 아니면 낙인(scar)으로 작용하게 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중소기업 취업이후 대기업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그다지 제한적이지 않고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 중소기업에서의 취업경력이 대기업 입사시 임금에 반영되어, 예를 들어 중소기업 취업경력이 1년인 졸업생의 경우미취업자보다5%내외의 임금을 더 받고 있다. 이는 미취업 상태에서 대기업 취업을 기다리기보다는 눈높이를 낮추어 중소기업에 취업해서 경력을 쌓은 후 이동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Moving from a job at a small- or medium-sized enterprise (SME) to one at a large firm is not rare, but, rather, it takes place quite frequently. Among those large firm employees who graduated from college 1 year ago, 27.6% had the experience of working at SMEs. This figure increases to 48.5% among those graduated from college 3 years ago. These results show that moving from a SME to a large firm is not restricted, but quite open. In addition, those who have worked at a SME for 1 year earn 5% more compared to those who have no work experience at a firm, other things being constant. This implies that it will be more rational for graduates to fimd a job at a SME and gain experience before moving to a large firm rather than staying unemployed to enter a large firm.

      • KCI등재

        청년실업의 실태 및 원인 분석

        채창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e Korean youth unemployment is serious and what factors bring about the unemployment problem. I found discouraged workers effect in young people in their twenties. It means that the youth unemployment might be more serious than the unemployment rate index shows. An economic downturn is the main cause of the Korean youth unemployment. Relative size of youth cohort is found to increase the youth unemployment. However,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does not seem to be affected by relative wages of youth cohort or the minimum wages. The inadequate education which has not met the demand of business side does not seem to raise the youth unemployment rate greatly. Also,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industrial or occupational structure and the youth unemploy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