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콩 재배시 식이유황 처리에 따른 생육 및 수량성 평가

        채세은,오승가,조영손,심두보,전승호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7 No.1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developing an environmentally safe cropping system for high-quality soybean. However, there hasbeen little research investigating soybean production associated with non-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s. Here, we aimed to determinehow effective methyl sulfonyl methane (MSM) was as a source of organic sulfur fertilizer to improve soybean growth and seed yield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ver the two years, with the treatments that received 1) one, two, and three times of top dressing(TD) in 2020 and 2) top dressing at 50%, 100% (300 g MSM/10a), and 200% levels with and without basal fertilization (BF) in 2021. The BF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NDVI at the R1 and R2 stage (flowering). At the R6 stage(after the TD treatments), MSM increased the stem diameter and Fv/Fm of soybean, respectively, especially when applied BF followedby three times of TD in 2020. Also, similar effects were found in 2021. Plant height, plant length, the number of branch and Fv/Fmwere 97.9 cm, 17.2 mm, 7.44 and 0.802, respectively, when applied BF followed by three times of 200% BD. These tended to bereduced due to decreased MSM applications. At harvest, the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the number of grains per pod increased as the times and rates of MSM application increased. The highest yields were 225 kg 10a-1 for three times of TD only and 228 kg10a-1 for the BF and two times of TD in 2020, and 382 kg 10a-1 for BF and three times of 200% TD in 2021. The BF and threetimes of TD increased the yield by up to 21.8% compared to chemical fertilization onl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oybean’s growthand yield components both could be improved with MSM applications. Therefore, MSM application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its large-scale safe production. 본 시험은 콩 안정생산 재배법 확립을 위한 Methyl Sulfony Methane (MSM) 시용방법별 생육특성 및 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2020∼2021년에경상국립대학교 내동 부속농장에서 ‘대원콩’을 국립종자원으로부터 분양받아 수행하였다. 본 시험의 MSM 처리는 2020년에 MSM 시용시기에따라, 100% 농도로 하여, 기비(BF, basal fertilizaton)+추비1회, 기비+추비2회, 추비1회, 추비2회, 추비3회, 무시용구로 처리하였고, 2021년에는2020년도에 선발된 시용시기에서의 MSM 시용량에 따라, 기비+추비 50%, 기비+추비 100%, 기비+추비 200%, 추비 50%, 추비 100%, 추비200%, 무시용구로 설정하였다. 2020년 생육특성 조사에서는 추비시용 전 R1∼2기에 MSM을 기비한 처리구에서 초장, 경태 및 NDVI 값이높게 나타났고, 2021년 초장에서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비시용 후 R6기의 2020년 초장은 무처리구 및 추비1회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가, 경태는추비3회 처리구 및 기비+추비2회 처리구가, Fv/Fm 은 기비+추비2회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2021년 또한 기비+추비3 200% 처리구에서 초장97.9cm, 경태 17.2 mm, 분지수 7.44 개, Fv/Fm 값 0.802 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다. 또한, 수량구성요소는 2년간 MSM 시용의 증가에따라 주당협수 및 협당립수에서 차이를 보여, 종실수량에서도 2020년에 추비3회 처리구 및 기비+추비2회 처리구가 각각 225, 228 kg·10a-1로가장 많은 수량이 나타났고, 2021년에는 기비+추비3 200% 처리구에서 382 kg 10a-1로 수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년간의시험에서 MSM 시용의 증가에 따라 수량도 증가하여, 기비+추비3 200% 처리구에서 최대 21.8%의 증수효과가 나타났다.

      • KCI등재

        콩의 MSM (Methyl Sulfonyl Methane) 처리 방법에 관한 연구

        채세은,오승가,조영손,심두보,윤동경,전승호 한국작물학회 2024 한국작물학회지 Vol.69 No.1

        본 연구는 콩 재배시 최적 MSM 농도설정을 위한 MSM 처리 방법에 따른 콩의 생육, 수량 및 품위 특성을 알아보았다. 1. 2022년 생육 특성 조사에서는 처리 농도가 50%~200% 로 증가함에 따라 생육 특성인 초장, 경태 및 분지수가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에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농도가 가장 높았던 기비+추비3회 200% 처리구에서 협수가 가장 많아, 수량 또한 355 kg·10a-1로가장 많았다. 2. MSM 처리 농도 200% 이상의 최적 농도설정을 위한 연구에서의 생육 특성은 초장 및 분지수에서 400% > 200% > 800% 경향이 나타났으며, 기비+추비3회 400% 처리구에서 각각 106.7 cm, 6개로 가장 길고, 많았다. 3. 종실 품위에서도 기비+추비3회 400% 처리구가 종실 직경 6.7 mm 이상의 비율이 6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수량구성요소인 협수, 입수 및 백립중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기비+추비3회 400% 처리구에서 각각 90.0개, 1.95 개 23.0g으로 가장 많고, 무거웠으며 종실 수량 또한374 kg·10a-1로 가장 많아 무처리구 대비 최대 23.4% 증수하였다. 5. 따라서, 콩의 고품질 안정생산 재배를 위한 MSM 최적처리 방법으로는 400% 농도로 기비 후, 수확 전 30일간격으로 추비 3회 처리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판단된다.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affiliated farm of the Suncheon University from 2022 to 2023 to investigate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s based on the treatment method of Methyl Sulfony Methane (MSM) for the establishment of stable production practices. In the initial investig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in 2022, an increasing trend in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height, stem thickness, and branching index was observed as the treatment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50% to 200%. Yield components also followed the same trend, with the basal fertilization + top dressing 3 times at 200% treatment showing the highest yield at 355 kg·10a-1, with the highest number of pods. In the subsequent study to determine the optimal concentration exceeding 200% in 2023, growth characteristics showed a trend of 400% > 200% > 800%. The basal fertilization + top dressing 3 times at 400% treatment exhibited the longest plant height (106.7 cm) and the most branches (6). In terms of seed quality, this treatment also had the highest proportion (66.9%) of seeds with a diameter over 6.7 mm. Additionally, in yield components such as pods, seeds per pod, and 100-seed weight, the basal fertilization + top dressing 3 times at 400%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values, resulting in a maximum yield of 374 kg·10a-1, representing a 23.4%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Therefore, for the optimal production of high-quality soybeans, it is recommended to apply the treatment of basal fertilization + top dressing 3 times at 400% concentration, with top dressing occurring at 30-day intervals before harvest.

      • 간척지 토양에서의 시비처리에 따른 케나프 생육특성

        채세은(Se Eun Chae),김상윤(Sang Yoon Kim),전승호(Seung Ho Jeo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우리나라 간척지 면적은 총 13만 5,100 ha 정도로, 이를 농업에 활용할 수 있다면,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수 있는 미래 농업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케나프(Hibiscus cannabinus L.)는 토양 염농도 4.2 dS/m 이하에서 밭 수량의 80% 이상 수확이 가능한 비교적 높은 내염성을 가지고 있는 작물로, 친환경작물, 제지 펄프 원료, 의류 소재, 부직포 원료 및 생분해 플라스틱 제조에 이용되는 등 다양한 상업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간척지 토양에서의 N, P, K 시비량에 따른 생육 및 건물중을 알아봄으로써, 케나프의 안정적인 재배생산을 위한 효과적인 시비량을 선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전남 고흥의 간척지 논토양(미사질양토)을 1/2000a 와그너포트에 11 kg 채운 후, ‘장대’를 육묘이식(5엽기)하였고, 시비처리는 표준시비량(N-P₂O<SUB>5</SUB>-K₂O=9.7-10.2-5.8 ㎏/10a)의 N, P, K 각각 0, 50, 100, 200% 수준(외 시비량 100%)으로, 기비:추비=50:50 으로 분시하였다. 이 결과, 초장에서는 P-50%처리구에서 300cm 로, 가장 짧았던 무처리구 대비 38cm 차이를 보이며, 가장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태 및 엽수는 N-200%처리구에서 각각 9.79 mm, 33.3 개로 가장 두껍고,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얇고, 적었던 무처리구 대비 각각 4%와 32% 차이를 보였다. NDVI 값은 P-200%처리구에서 0.68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지상부건물중에서는 P-50%처리구가 120 g 으로 나타나, 80 g 으로 가장 적었던 무처리구와 50% 차이로 더 많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P-50%처리구에서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가장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초장과 지상부건물중이 각각 300cm, 120 g 으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나, 남부지역 간척지토양에서 케나프 재배시, N-P₂O<SUB>5</SUB>-K₂O=9.7-5.1-5.8 ㎏/10a 시비하는 것이 높은 생산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비방법일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보리 대용차 소재 개발을 위한 식이유황(MSM) 시용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

        조영손,채세은,오승가,심두보,전승호 한국차학회 2022 한국차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는 국산 보리의 대용차 저변확대를 위해 보리 재배시 식이유황 시용 방법에 따른 보리의 생육 및수량특성을 알아봄으로써, 보리차의 생산성 향상 및 품질 특성을 위한 기술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이유황 추비전인 분얼기 생육특성 조사에서는 기비한 처리구에서 초장, 엽색도, Fv/Fm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추비 시용 횟수에 따른 수확기 생육특성 조사에서는 추비 횟수가 가장 많았던 기비+추비3회 처리구에서 간장과, 분얼수가 74.9 cm, 5.60으로 무처리구 대비 가장 길고 많았다. 또한, 식이유황 처리방법에 따른 보리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서도 추비 시용 횟수가 가장 많았던 기비+추비3회 처리구에서 이삭수가 448개로 가장 많았으며, 가장 적은 무처리구 대비 28.0% 더 많았다. 이에 수량에서도 이삭수가 가장 많고, 추비 횟수가 가장 많았던 기비+추비3회 처리구에서 254 kg/10a로 가장 많았고, 수량이 가장 적은 무처리구 대비16.5% 증수로 식이유황 처리방법에서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따라서, 대용차 소재인 보리 재배시 기비+추비3회 처리 할 경우 수량 증대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사막토양 환경에서 벼 재배시 관개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특성

        정기열,이상훈,정재혁,전현정,채세은,김상윤,전승호 한국작물학회 2022 한국작물학회지 Vol.67 No.3

        본 연구는 사막기후에서 벼 재배시 관개방법 및 관개량에 따른 벼의 생육 및 수량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적정 관개량 선정 및 사막기후환경에서 벼 관개시설 재배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개방법별 총 관개량에서는 스프링클러 > 지표점적 > 지중점적 순서로 관개량이 많았고, 지중점적 FC80% 처리구에서 627 ton/10a로 관개량이 가장 적었으며, 관개량이가장 많았던 스프링클러 FC120% 처리구 1,584 ton/10a 대비 60.4% 더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개방법에 따른 쌀수량에서는 지중점적 > 지표점적 > 스프링클러 순이였으며, 그 중 지중점적 FC120% 처리구에서 665 kg/10a로 관행구대비 88.1%로 관수방법에서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따라서, 사막기후환경에서 벼 재배시 지중점적관개로 FC120% 처리 할 경우 물의 이용효율을 높이면서, 작물 수량증대에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관수 및 배수 처리에 따른 콩의 생육 및 수량특성

        정기열,공동혁,이상훈,전현정,채세은,전승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콩의 한해 및 습해에서의 안정생산 재배법 확립을 위한 물관리 방법별 생육특성 및 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2021년과 2022년 2년에 걸쳐 무처리, 무굴착 땅속배수, 지중점적 관개 및 무굴착 땅속배수 + 지중점적 관개(관·배수 통합) 4처리로 수행하였다. 연차간 토양수분함량 및 토양수분장력은 관·배수 통합 처리구에서 토양 수분 장력 변이가 낮고, 안정적 토양수분 유지가 가능했으며, 2021년 생육특성 조사에서는 관·배수 통합 처리구 초장이 57.1㎝로 가장 길게 나타나, 가장 짧은 무관개 43.1㎝ 대비 32.5% 더 길게 조사되었으며, 2022년 초장 또한 같은 경향으로 관·배수 통합 > 지중점적관개 > 무굴착 땅속배수 > 무관개 순서로 길었다. 수량구성요소에서도 생육특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에 수량도 수량구성요소가 가장 높았던 관·배수 통합 처리구에서 연차간 각각 409, 346 kg/10a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관개량 및 물 이용효율 평가에서는 관·배수 통합 처리구가 지중점적관개 처리구 대비 일평균 관개량 203.1 ton/10a 더 많을 뿐만 아니라, 물 이용효율에서도 45.6% 더 낮게 나왔기 때문에 추후, 기후변화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물관리와 한정된 농업용수 사용을 최대화로 할 수 있는 관개량에 따른 더 세부적인 연구가 추가된다면, 현재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범지구적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환경에서 보다 더 물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고, 안정적인 콩 물관리 재배기술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levels of underdrainage, subsurface drip irrigation, and integrated irrigation and drainage to find out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quantity by water management method to establish a stable production cultivation method in drought injury and water injury of soybean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As for soil moisture content and soil moisture tension between years, the soil moisture tension variation was low in the integrated irrigation and drainage treatment area, and stable soil moisture was maintained. In the first-year growth characteristics survey, the plant height in the integrated irrigation and drainage treatment group was 57.1 cm, which was 32.5% longer than the shortest 43.1 cm without irrigation. The second-year plant height was also longer in the order of integration of irrigation and drainage > subsurface drip irrigation > underdrainage > no irrigation with the same trend. The yield components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as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us, the yield was highest in the integrated irrigation and drainage treatment area, which had the highest yields component, with 409 and 346 kg·10a-1, respectively, between years. However, in the evaluation of irrigation amount and water use efficiency, the integrated irrigation and drainage treatment group not only showed 203.1 ton·10a-1 more daily average irrigation amount than the subsurface drip irrigation treatment group, but also showed 45.6% lower water use efficiency, so that it will be more efficient in the climate change environment in the future. If a more detailed study is add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rrigation that can maximize efficient water management and limited use of agricultural water in climate change environments, water efficiency will be higher than in environments where global water shortages appear due to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able soybean water management cultivation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