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의 사회통합적 기능에 관한 연구

        차승주 ( Seung Joo Cha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1 글로벌정치연구 Vol.4 No.1

        이 논문은 북한의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이 사회통합기제로서 가지는 역할과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북한 최대의 근로단체이자 사회단체인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은 1946년 1월에 결성되었다. 북한은 청년들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조직인 청년동맹을 당, 군과 함께 체제유지를 위한 3대 보루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 청년동맹이 수행하고 있는 사회통합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기능으로 청년동맹에게 요구된 가장 우선적이고도 중요한 과제는 김일성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과 김정일에 대한 대를 이은 충성이다. 이러한 요구는 자연스럽게 군사적인 측면의 역할 기대로 이어지게 된다. 둘째, 경제적 기능으로 청년동맹에게는 정치·군사적 기능 이외에 경제적 기능 역시 강조되고 있다. 현재 북한에서 청년들은 군대와 함께 노력동원의 핵심이고, 청년동맹에게 요구되고 있는 경제지원활동은 그 범위와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셋째, 사상·문화적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청년동맹에 대해 언급할 때 가장 먼저 제기되는 것은 바로 사상교양단체로서의 역할이다. 청년동맹은 생활총화나 학습 등을 통해서 동맹원들에게 당과 수령에 대한 충실성교양, 혁명교양, 계급교양, 사회주의 애국주의 교양, 공산주의 교양 등을 실시하고 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s and features of ``Kim Il Sung Socialist Youth League`` as a mechanism for social integration. It was found on January, 1946. The North Korean government recognizes that it is a bastion of controlling and survival of North Korea. Contributions that the ``Kim Il Sung Socialist Youth League`` make towards social integration of North Korean societ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gue brainwashes its youth members to accept the statuses and roles imposed upon them by the regime as the major players in the future in the form of ``reserve forces for the communist party,`` ``successors of the revolution,`` and ``faithful servants`` to the Kims as ``guardsmen tirelessly loyal to the party`` and ``bombs that boldly guard the General,`` always appreciating the love and generosity of the Supreme Leader and the Honorable General. Second, the members of the League almost automatically accept the practice of social-economic mobilization as something routine and natural. They would plant trees, crops, and flowers, collect rabbit leather, idle and waste matters, or even composts. Third, The central goal of the ``Kim Il Sung Socialist Youth League`` is to inculcate in the minds of the younger generation from their relatively early childhood Kim`s juche ideology of North Korea and societal values intended to uphold their unique socialist orientations.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 교육부문에서의 대중운동

        차승주 ( Seung Joo Cha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통일과 평화 Vol.8 No.1

        최근 북한은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의 성과적인 실시와 학교교육의 정상화 및 양적ㆍ질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교육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한편, 전 사회적으로 교육부문에서의 대중운동을 유도하고 있다. 현재 북한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실시되고 있는 교육부문에서의 대중운동은 북한교육 전반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쳐 향후 북한교육의 변화와 발전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먼저, ‘모범교육군(시, 구역)칭호쟁취운동’으로 대표되는 북한의 교육부문 대중운동은 교육조건과 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 교육내용과 방법에 있어서도 변화와 개선을 시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북한 교육의 양적.질적 성장과 학교교육의 정상화에 일정 부분 기여할 것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지역 간, 학교 간 교육격차가 더욱 커져 교육의 불균등화가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불균형을 정부가 제대로 해소해주지 못할경우 인민들의 불만이 야기될 가능성이 높다. 다음으로 교육 사업에 대한 운영과 책임이 상당 부분 지방과 각급 교육기관으로 이관되면서 향후 교육부문에 있어서 국가와 당 이외의 교육주체들이 가지는 역할과 권한이 강화될 수 있는 여지가 생기고 있다. 앞으로 국가와 당은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학생, 학부모, 교원, 지역사회를 포함한 교육주체들의 요구에 이전보다 더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향후 초보적인 형태로나마 교육의 지방분권화와 사적 자율성 확대를 위한 여건의 조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Recently, North Korea is creating a social atmosphere of emphasizing educatio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mprehensive 12-year compulsory education, normalization and quantitative·qualitative improvement of school education while socially encouraging mass movement in education. The mass movement in education implemented extensively in all parts of North Korea would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overall education to become an important variable of future chang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in North Korea. First, the movement in education, which is represented by ‘Achieving the Exemplary Education District Title Movement’, woul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quantitative·qualitative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to a certain degree.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of worsened inequality in education due to the enlarged education gaps among regions and schools. Next, considerable portion of operation and responsibility will be transferred to the countr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of various levels. This would strengthen the function and power of educational agents other than the government and the party, which would possibly lead to the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 even in an elementary shape.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 교육의 변화에 관한 소고: 1970년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차승주 ( Seung Joo Cha ) 북한연구학회 2013 北韓硏究學會報 Vol.17 No.1

        1972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제5기 제2차 회의에서 발표된 "전반적 10년제 고등 의무교육과 1년제 학교전 의무교육을 실시할 데 대하여"와 1977년 9월 5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5기 14차 전원회의에서 발표된 ``사회주의교육에 관한 테제``를 바탕으로 형성된 북한의 교육 체계는 현재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1970년대는 북한 교육의 근간이 형성된 시기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북한 교육과 북한 사회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사를 제공한다. 이런 의미에서 1970년대는 현재 북한의 교육을 이해하고 북한 교육의 미래를 전망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시기이다. 향후 북한의 교육은 어떤 식으로든지 결국 1970년대로부터 물려받은 교육 유산의 지속과 변화 또는 계승과 혁신이라는 과제 속에서 발전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이는 1970년대 북한의 교육이 북한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유용한 교훈과 경험을 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논문은 1970년대 북한의 교육과 현재 북한의 교육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40년 만에 개편이 이루어진 의무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전반적 11년제 의무교육`` 제도가 마련되었던 1970년대와 이를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으로 발전적으로 계승한 북한의 현재 상황을 비교해 보고 이를 통해 최근 북한이 교육 부문에서 시도하고 있는 일련의 변화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Grounded upon "About the Implementation of a Universal 10-year Compulsory Higher Education and a 1-year Compulsory Preschool Education" released on April 9, 1972 at the 2nd Meeting of the 5th Supreme People`s Assembly and "Theses on Socialist Education" issued on September 5, 1977 at the 14th Plenary Meeting of the 5th Central Committee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North Korea`s education system has so far been kept intact without notable changes. In this regard, the 1970s can be construed as forming the basis for North Korean education. This offers enormou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education and the North Korean society as a whole. Against such backdrop, the 1970s has multifaceted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of North Korean education and envisioning the future of North Korean education. Going forward, North Korean education will eventually make progress anyhow within the following context-preservation and change or inheritance and innovation of educational legacy of the 1970s. It implies that North Korean education in the 1970s can manifest useful lessons and experiences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North Korean education. In this respect, this paper intends to look at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education compared with the 1970s. With a particular focus on North Korea`s compulsory education system that is overhauled 40 years after the 1970s, it tries to compare the 1970s when ``A Universal 11-year Compulsory Education`` was launched with the present when the above system is progressively inherited in the form of ``A Universal 12-year Education,`` thereby having a good grasp of a series of educational changes recently attempted by North Korea.

      • KCI등재

        교과서에 나타난 통일담론에 대한 고찰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차승주 ( Seung Joo Cha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최근 ``다문화``, ``세계화`` 등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중요한 담론으로 자리 잡으면서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탈(脫)민족주의론``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통일``을 이루지 못한 상황에서 민족주의는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하고 중요한 담론일 수밖에 없다. 이에 중·고등학교 「도덕」 교과서에도 통일의 의미를 ``민족``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통일과 민족적 대단결을 도모하기 위한 초보적 조치로서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민족공동체 형성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지금까지 통일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근거가 되어왔던 것은 남과 북이 혈연과 언어와 문화를 같이하는 하나의 민족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론이 대두되고, 우리 사회에 결혼이주자, 외국인노동자 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우리의 순혈주의적 민족주의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통일교육은 이념상으로 분단 상황을 고려할 때는 민족주의에 기반을 두는 한편, 다문화 사회의 현실을 반영한 다문화주의 또한 수용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학교 통일교육에 반영된 민족주의 담론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민족주의의 의미와 한국 민족주의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학교 통일교육에 반영된 ``민족주의``의 내용을 분석한 후에, 통일담론으로서 ``민족주의``의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민족공동체`` 형성을 위한 학교 통일교육의 과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With the establishment of multiculturalism and globalization as important discourses dominating South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criticism of ethnonationalism and the theory of trans-ethnonationalism have received attention. In a situation where national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has yet to be achieved, however, ethnic nationalism cannot but be a discourse that is still useful and important to the country. Consequently, middle and high schools ethics textbooks likewise explain the significance of reun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thnicity and stress the recovery of ethnic homogene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formation of an ethnonational community as initial measures to promote reunification and ethnic cohesion. For North and South Koreas thus to overcome mutual hostility and differences that have accumulated over a long time and to form an ethnonational community surely is the role assigned to ethnonationalism as the ideology of reunification. The strongest ground for explaining the validity and necessity of reunification hitherto has been that the people of North and South Koreas are a single ethnic group, identical in blood, language, and culture. With the rise of theories critical of ethnonationalism and the dramatic rise of immigrant spouses and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however, Korea`s ethnonationalism, which is based on ethnic purism, has been problematized. Consequently, reunification education today is in a situation where it must at once be based on ethnonationalism ideolog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national division and embrace multiculturalism in reflection of the reality of a multicultural society. To achieve this, ethnonationalism must be discussed in a direction where it can, as a discourse of reunification, respect the basic rights of members of the ethnic group, pursue coexistence with other ethnic groups based on tolerance for and harmony with heterogeneity and diversity, and aim at the vale of peac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seeks to examine ethnonational discourse reflected in re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s and, based on thi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tasks of re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s. To achieve this, the present study will first examine the definitions of ethnonation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thnonationalism, analyze the contents of ethnonationalism as it is reflected in re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s,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ethnonationalism as a discourse of reunification. In addition, based on such discussion, it will consider the tasks of re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s for the formation of an ethnonational community.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정일 시대 북한의 학교 통일교육 중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차승주 ( Seung Joo Cha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2 북한학연구 Vol.8 No.2

        북한의 교육에서 통일에 대한 논의가 어떠한 형태로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북한의 통일 담론을 이해하는데 의미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이에 북한의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통일’에 관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북한에서 ‘통일’이 가지는 의미와 위상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북한 중학교 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통일 관련 내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문제를 이해함에 있어서 북한은 분단과 그로 인한 문제점, 통일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한 모든 원인과 책임을 미국과 남한에 전가하고 있다. 또한, 통일의 공동 주체인 남한을 대등하고 공정하게 인식하지 않고 온정주의적인 입장에서 해방을 시켜주어야 할 대상으로만 가르치고 있다. 통일의 당위성에 대해서도 혁명적, 민족주의적 관점에 치우친 설명이 많아서 보다 균형 잡힌 시각이 요구되고 있다. 둘째, 남한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남한은 미국에 예속되어 고통을 강요받고 있는 미(未)해방지구로써 철저하게 왜곡된 모습으로 교과서에 묘사되고 있다. 이는 학생들에게 통일에 대한 객관적인 생각을 가질 수 없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통일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장애물로 작용할 위험이 크다. 셋째, 통일을 위한 노력으로 북한에서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자세는 지도자에 대한 충성, 당과 조국에 대한 헌신, 반미투쟁의식 고취, 북한 체제와 통일방안의 우월성에 대한 인식 등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또한, 통일을 이룩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으로 조국통일 3대원칙의 실천과 연방제 통일방안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연방제의 실현 과정이나 통일조국의 미래상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있지 않다. An examination of the ways in which discussions on national reunification is expressed in North Korean education is expected to provide a meaningful clue to understanding the reunification discourses of North Korea.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North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related to reunification in terms of the keywords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reunification”, “understanding of South Korea”, and “efforts for reunification”, thus grasping the significance and position of reunification in North Korea. First, in understanding the problem of reunification, all causes and responsibilities for national division and its consequent problems as well as difficulties to emerge in the reunification process are shifted o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In addition, instead of being seen equally and fairly as a joint subject of reunification, South Korea is taught solely as an object that must be liberated from a paternalistic viewpoint. Likewise, as for the obvious necessity of reunification, many explanations are biased towards a revolutionary and nationalistic viewpoint, thus requiring a more balanced perspective. Second,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South Korea has yet to be achieved. South Korea is described in textbooks in a thoroughly distorted way, as an unliberated region subjugated by and suffering under the United States. This is likely to prevent students from having objective ideas about reunification, thus eventually acting as an obstacle in the process of realizing reunification. Third, as the attitudes demanded of students as a part of efforts for reunification, Loyalty to North Korean leaders, dedication to the Workers` Party of Korea and the homeland, instillation of a spirit of struggle against the United States, and a perception of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reunification plan can be cited. In addition, as the wisest method of achieving reunifica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Three Principles of Unification and the federal reunification plan is emphasized. On the contrary, there is no detailed explanation o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federal plan or the future of the reunified homeland.

      • KCI등재

        북한의 환경담론

        차승주(Cha Seung J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9

        북한은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환경보호를 위한 법과 제도를 갖추어 나가기 시작했고, 환경문제에 대한 북한의 관심과 그 해결을 위한 노력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환경문제는 하나의 생태계를 쓰고 있는 남북이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환경 분야에서의 남북한 간 교류와 협력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의 환경실태와 환경문제에 관한 인식, 환경정책과 법제, 환경윤 리 및 환경보호사업의 현황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북한의 법․제도 적, 사회․윤리적 노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남북한 환경협력과 한반 도 평화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는 한편, 우리가 지향하고 함께 만들어가야 할 통일 한반도의 비전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자 한다. North Korea has equipped themselves with laws and institutions to protect the environment in earnest since the mid-1980s. Efforts to resolve North Korea's interests and those of environmental issues has been continued to the present. Environmental issues are one of the inter-Korean issues that must be addressed jointly by the which is being used by the ecosystem. Thus, the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environmental sector should be promoted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To this end, the North's environmental problems and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issues, environmental policy and legislation, and environmental ethic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needs to understand enough about the status of projects. In this paper, the problem with such an awareness of how to resolve the North Korean environmental issues and institutional, society and examine the ethical commitment. This allows to browse the implications for North and South 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peace-building. On the other hand, we are directed to think about and want to go on the peninsula created with the vision of unity.

      • KCI등재

        남북한 '평화통일' 인식 비교

        차승주(Cha Seung J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2

        남북한 간에는 '평화통일'에 관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남한에서 인식하고 있는 '평화통일'의 의미는 "평화적 절차에 의한 통일" 즉, "국민적 합의에 기초해 민주적이고 평화적인 방법에 의해 점진적·단계적으로 이루어 나가는" 통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평화통일'을 실현하기 위해 남북한의 평화적 교류와 협력을 바탕으로 남북한 간의 동질 성과 신뢰를 회복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에 북한에서 인식하고 있는 '평화통일'은 주로 통일의 원칙과 방향, 또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히 "자주, 평화통일, 민족대단결"의 3대원칙을 통해 서술되고 있다. 북한은 그동안 '평화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남북 간에 체결된 기존의 합의들을 철저하게 준수할 것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선군정치를 '평화통일'을 위한 기본 노선이자 실현 방안으로 포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남과 북은 그동안 서로 다른 '평화통일'을 지향하면서 각자만의 방식으로 그 실현을 추구해 왔다. 따라서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리의 대북 및 통일정책을 개발하고 적극 구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북한이 주장하는 '평화통일'을 이해하고, 남북한 간에 '평화통일'의 의미와 실현방안 등에 대해 합의를 형성해 나가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 There exist various differences about the 'peaceful reunif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meaning of 'peaceful reunification', which is recognized by the South Korean is "reunification by peaceful procedures", ie, "outgoing done gradually, step by step on the basis of consensus by democratic and peaceful means". And it has emphasized the need to restore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affinities of the two Koreas on the basis of peaceful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order to realize '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 has recognized the 'peaceful reunification' with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r ways of unification. North Korea has emphasized that thorough compliance with the existing agreements concluded between the far north and south as a way to achieve 'peaceful reunification'. However, in recent years it has paved the military-first policy as the default route and realize plans for 'peaceful reunification'. Thus,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been pursued in the way of its realization but self-oriented and far different 'peaceful reunification'. Thus, efforts are needed to shape a consensus on the meaning and ways of realizing peaceful reunif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order to achieve a peaceful reunification.

      • KCI등재

        “민주주의”에 대한 남북한 인식 비교

        차승주 ( Seung Joo Cha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50

        남과 북은 추구하는 이념과 정치·경제체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민주주의`` 체제임을 표방하고 있다. 물론 ``민주주의``의 개념에 대해서 남북한 간에는 물론이고, 남한 내에서도 커다란 인식 차이가 존재한다. 남한은 ‘자유민주주의’를 통일교육의 목표이자 통일 한반도가 지향해야 할 가치이며, 남한의 정치체제로 강조하고 있다. 반면에 북한은 ‘사회주의적 민주주의’를 정체로 주장하고 있다. 또한, 남한은 북한의 민주주의에 대해 부정하고 있고, 북한은 남한의 민주주의를 ‘부르죠아민주주의’로 규정하고 있다. ``민주주의``에 대한 남북한 간의 상이한 인식은 통일과정 및 통일 이후에 남북한이 함께 ``민주주의``를 구현하고 발전시켜가는 과정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것이 우리가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논의하기에 앞서 남북한의 민주주의를 반성적으로 고찰해 보고 발전을 모색해야 하는 이유이다. ``자유민주적 기본질서``가 구현되는 민주주의는 통일 한반도의 이상적인 정치체제로서의 의미를 넘어 통일 한반도가 지향해야 할 핵심적인 가치이자 목표이고, 한반도 통일의 중요한 이유이면서 동시에 마땅히 따라야 할 방법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이라는 어렵고 복잡한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난한 과정을 이끄는 가장 큰 동력이자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줄 것이다.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ir ideologies and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both South and North Korea claim that they have a “democratic system.” There is, naturally,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emocracy, not only between the two Koreas but also within South Korea itself. Whereas South Korea places emphasis on its liberal democratic system which serves as the aim of the South Korean education for unification as well as the ultimate goal of a unified Korea, North Korea calls for a political system based on “social democracy.” Furthermore, South Korea is rejecting the North Korean democracy while North Korea defines the South Korean democracy as a “bourgeois democracy.” The different perception of democracy between the two Koreas may act as an obstacle during the unification process and after unification, as both sides attempt to realize and develop democracy in the unified Korea. Therefore, it is pivotal to conduct a reflective inquiry on the North and South Korean democracy before moving on to the discussions on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democracy with liberal democratic order is not only an ideal political system for the Korean peninsula. It will also serve as the core value, the main purpose, the ultimate goal and the means to reach it in a unified Korea. A clear definition of democracy will also become a motivation and a source of support for the difficult and complicating process of reaching peace between the two Koreas.Some problems of the 7th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have been raised. Especially,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moral education and

      • KCI등재후보

        북한의 교육문화에 영향을 준 요인 고찰

        차승주(Cha Seung-joo) 한국통일교육학회 2017 통일교육연구 Vol.14 No.1

        북한의 교육문화는 삼국시대 이후 우리 민족 교육의 핵심을 이루어 온 유교 교육과 36년간의 식민 지배로 인한 일제 식민지 교육의 영향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또한 북한은 기본적으로 사회주의 국가이다. 따라서 사회주의권 교육이론 역시 북한 교육문화의 성립․ 발전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소련의 교육이론과 학교제도는 1945년 이후 주체사상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1960년대까지 북한 교육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1980년대 이후 소련을 중심으로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이 붕괴하면서 개혁․개방을 추진하고 있는 중국은 정치․경제․사회의 많은 부분에서 북한에게 역할모델이 되고 있다. 이는 교육 분야도 마찬가지이다. 현재 북한이 개혁․개방의 모색과 함께 시도해보고 있는 교육정 책이 많은 부분 중국의 그것에서 영감을 얻었음을 부인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 지난 50여 년 동안 북한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로 사회 모든 분야에서 절대적인 기준으로 작용한 주체사상의 영향이 오늘날 북한 교육문화의 배경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교육이 가지는 다양한 역사적 경험과 교육 문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유교 교육, 일제 식민지 교육, 사회주의 교육이 북한의 교육문화에 반영되고 있는 모습을 고찰할 것이다. Every study is affected by it s social environment and cultural heritage. North Korea s educational tradition and legacy have an effect on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North Korea s pedagogy. Accordingly it s useful to put the pedagogy s organization into order for comprehension of North Korea s educational tradition and legacy. First of all Confucian education and Japanese imperialism s colonial policy on education have had a strong influence on North Korea s pedagogy. In the next place Socialistic pedagogy have also exerted influence on North Korea s pedagogy. Especially the Soviet Union s pedagogy had enormous influence on North Korea s education from 1945 till appearance of the Juche ideology in 1960 s. On the other hand China has exercised various influence on North Korea s education since decline in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s Socialism and China s open-door policy in 1980 s.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tries to study the formative base of North Korea s pedagogy through comprehending various educational culture and legacy of North Korea s pedagogy. This research tries to study that Confucian education, Japanese imperialism s colonial policy on education and Socialistic education are reflected in North Korea s pedagogy. Finally this researcher looks forward to this study assisting deep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s pedagogy.

      • KCI등재

        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분단’

        차승주(Cha, Seung-Jo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2 No.-

        본 논문은 남과 북이 교육을 통해 ‘분단’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으며 재생산하고 있는지 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분단’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남북의 교과서에 ‘분단’이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남과 북이 교육을 통해 ‘분단’을 어떻게 다르게 또는 비슷하게 가르치며 재생산하고 있는지 남북한의 도덕과 및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남한 교과서에는 분단의 원인과 과정이 주로 대외적인 변수를 중심으로 소개되고 있다. 또한 오랜 분단으로 인한 여러 폐해에 대한 설명이 주로 남한 주민과 사회가 감당하고 치러야 할 분단비용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적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하지만 분단이 북한 주민과 사회에 미치고 있는 폐해들에 대한 설명은 부족하다. 북한에 대해서는 우리에게 협력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경계의 대상인 이중적 존재라고 설명한다. 한편, 북한의 교과서는 국토가 양단되고 민족이 분열된 원인이 미국을 위시한 남한의 친일 · 친미파와 민족반역자들에게 있다고 일관되게 진술하고 있다. 분단의 원인과 과정을 설명하면서 북한에서 특히 강조하고 있는 점은 해방 후 북한은 마지막 순간까지 통일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평화적인 방법으로 노력하였으나 미국과 남한의 제국주의 세력들이 이를 거부하고 남한에 식민지 단독 정부를 세운데 이어 침략전쟁을 도발하였다는 내용이다. 분단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미국을 한반도에서 몰아내는 것이라는 논리와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된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South and the North educate and reproduce ‘division’ through education, focusing on the ‘division’ in the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 I will examine how the South and the North are teaching and reproducing the ‘division’ differently or similarly through the education by examining how the ‘division’ is described in the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 focusing on the moral and social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 In South Korean textbooks, the causes and processes of division are mainly introduced with external variables. In addition, the explanation of the various disasters caused by the long division is described in a relatively detailed manner focusing mainly on the division costs to be paid by the residents and the society of the South. However, there is a lack of explanation about the harmful effects of the division on the North Korean people and society. As for North Korea, it explains to us that it is a dual entity that is both a target of co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a target of vigilance. On the other hand, the textbooks of the North consistently state that the cause of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nd the division of the nation is the “South Korean strength of the US”. And South Korea"s pro-Japanese, pro-American and ethnic traitors, including the US are responsible for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nd the division of the nation. While emphasizing the cause and process of division, North Korea emphasized in particular that after the liberation, North Korea tried to establish a unified government until the last moment in a peaceful way, but the imperialist forces of the US and South rejected it, And provoked the war of aggression. This perception of division is naturally connected with the logic that the only way to overcome division and achieve unification is to drive America out of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