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념의 모호성과 처방의 획일성

        진재구 한국인사행정학회 2009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8 No.2

        우리 학계나 실무계에서 개념의 명확한 정의나 조작화를 생략하고 현상에 접근하는 관행은 학문적 정체성의 위기를 키울 뿐만 아니라 토착화를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시정되어야하는 관행이다. 본 연구는 개념의 혼란이나 모호성이 어디에서부터 출발하며 그것이 초래하는 결과는 무엇인지 밝혀보고, 개념의 혼란과 모호성을 치유하기 위한 실무적인 방법론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사례로서 선정된 ‘조직간 인사교류’에 대한 학계와 실무계의 접근방식을 분석한 결과,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조작화를 생략하는 관행 때문에 생겨난 개념의 모호성이 정책처방의 다양성보다는 획일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박근혜정부의 공무원연금개혁 : 문제점과 개선방안

        진재구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6 No.2

        공무원연금제도는 공무원이 퇴직, 사망, 또는 공무로 인한 질병·부상에 대해 본인 및 유족에 대한 적정급여를 통해 노후소득을 보장함으로써, 공무원의 장기재직과 성실근무를 유도하기 위한 인사정책적 목적과 사회보장적 성격을 공유하는 제도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도에 도입되었다. 공무원연금은 민간기업종사자의 경우 퇴직금(퇴직연금)과 산재보험, 국민연금 등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래 정부가 모범적인 고용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퇴직급여의 확보를 주목적으로 한 것이다. 공무원연금제도의 개혁은 1990년대 중반까지 공무원의 낮은 보수에 대한 보완적 처우 개선의 일환으로 연금지급률 인상, 급여신설, 제수당의 보수월액화 등을 통해 연금급여의 상향조정을 추진하였으나, 연금재정문제가 가시화된 1995년부터 지속적인 연금재정 안정화를 위한 개혁이 추진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무원연금재정의 불안이 계속되자, 박근혜정부는 최근 다시 공무원연금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절차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박근혜정부의 연금개혁과정은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우선 절차적 측면에서 보면, 공무원연금개혁이 매우 큰 정책대상집단(policy target group)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정책의 변경임에도 불구하고 핵심적 정책대상집단인 ‘피고용인으로서의 공무원’을 정책결정과정(공무원연금개혁안의 설계과정)에 전혀 참여시키지 않고 설계된 안을 강요하는 등 절차적 정당성을 결여하고 있으며, 잘못된 명제(공무원연금이 갖는 인사 정책적 기능과 성격을 고려하지 않고 공무원연금의 퇴직급여액과 국민연금 급여액을 단순 비교하여 많다고 결론내리거나, 정부재정보전금을 무조건 세금낭비라고 보는 등의 편향된 시각)에 근거하여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정치적 선전전에 집중함으로써 국민과 공무원간 새로운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 다음으로 내용적 측면에서 보면, 기본적으로 공무원연금제도를 보는 프레임이 잘못되었고, 공무원연금제도의 인사 정책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 또한 연금재정과 관련된 많은 개념과 정보가 왜곡되어 있으며, 무리하게 공무원연금과 국민연금의 형평성 제고를 공무원연금개혁의 목표로 삼으면서 정부재정절감효과도 단기효과에 그치고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재정 부담이 증가하는 허점이 많은 연금제도설계안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박근혜정부의 공무원연금개혁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공무원연금개혁의 필요성과 방식에 대한 사회적 합의 형성을 위한 정부와 집권여당의 노력이 필요하고, 정치 공학적 접근을 지양해야 하며, 연금관련 핵심 개념과 정보의 정확하고 투명한 공개와 판단의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이미 국회에 상정된 새누리당안은 폐기되어야 하고, 새로운 대안을 전향적으로 검토한 뒤 여러 대안간 비교를 통해서 공무원연금의 특성과 정부재정절감의 목표를 균형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adopted in Korea in 1960, is designed to achieve two goals, public personnel policy and social welfare: by guaranteeing a certain income for the government employee and his/her family after the government employee’s retirement, death, or work-related injury or illness, it seeks to encourage longevity in tenure and improvement in work performance of government employees.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serves the role of severance pay, workers’ compensation, and national pension, allowing the government to serve as a model employer by providing retirement income for government employees. Until the mid-1990s, in order to compensate for low wages of government employees, the government had raised pension payments by increasing the replacement rate, creating new benefits and allowances, and including sundry allowances in government employees’ monthly salaries. Nonetheless, after funding problems for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began to arise in 1995, the government has sought to reform the program to stabilize pension funding. Despite these efforts, funding problems continued, and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has renewed efforts for reform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These proposed reforms, however, contain several problems, from both procedural and substantive perspectives. First, from a procedural perspective, despite the fact that a reform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is a major policy change with a very large policy target group, the reform process lacks procedural legitimacy, as it has not involved participation of the government employees and has forced pre-designed plans on the affected government employe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created conflicts between citizens and the government employees by focusing on political marketing based on faulty premises (a biased view that concludes that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is excessive and that government subsidies to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is a waste of taxpayer money, based on a simple comparison to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policy goals that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services). From a substantive perspective, the reform process relies on a faulty view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and lacks an understanding of the policy aspects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Furthermore, much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funding status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has been distorted, and the proposed reforms would actually exacerbate the funding problems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in the long run by focusing excessively on making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comparable to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Therefore, in order to remedy these problems with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reform proposals, the administration and the ruling Saenuri Party must pursue social consensus on the need and the appropriate method for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reform and must avoid political approaches. In addition, the administration should ensure transparency and impartiality in release and evaluation of c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nsion. Based on these premises, the Saenuri Party’s proposed pension reforms, currently introduced in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abandoned, and the administration should proactively evaluate and compare alternative proposals and seek a reasonable alternative that can balance the unique policy aspects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Program with the goal of reducing government expenditures.

      • 새로운 정부조직제도 도입 실험의 의미와 정책적 시사점

        진재구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그 동안 정부가 국정관리 패러다임의 변화와 다양한 정부조직제도의 도입 실험을 너무 급격하게 추구함으로써 패러다임 변화방향의 적절성, 여러 조직제도간의 정합성, 각 제도들의 현실적합성에 대한 판단이 생략된 경우가 많았다는 반성에서 출발하여, 문민정부 이래 참여정부까지 도입된 정부조직제도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책임운영기관제도, 팀제도, 총액인건비제도의 도입에 따른 중간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효과적인 정부조직제도 설계의 방향과 관리의 전략을 모색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제도의 주관기관은 제도 적용대상 기관의 자율성 신장과 효율성 제고, 책임성 확보 등과 같이 병립하기 어려운 모순되는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려는 의욕을 접어야 한다. 이러한 의욕은 제도가 올바로 정착하기도 전에 다양한 형태의 사전적 통제장치를 마련하려는 노력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적용대상 기관의 피로감을 유발하고 제도 도입의 유인을 감소시킨다. 둘째, 특정한 정부조직제도가 토대로 삼고 있는 국정관리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둘러싼 환경을 개선해야 하고, 다른 제도와의 정합성 여부에 대한 분석과 해결책의 마련이 지속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performance of executive agency system, team system and total labor cost system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governance paradigm and to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the government.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must not pursue the contradictory goals difficult to coexist at the same time. The attempt to provide various types of control devices makes the fatigue of the organization that applied the new system and reduces the lure of the new system. Second, the government must improve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ystem in order to conform to the paradigm of governance. And the solutions for harmony between the existing system and the newly introduced system should be continued.

      • 정무직 인사검증제도의 발전방향

        진재구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7 No.2

        In order to realize their political philosophies, Korean presidents elected directly by the electorate since the 1990s (beginning with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have expanded the scope of political appointments for major governmental positions. However, this process has lacked an effort to secure substantive and procedural legitimacy for such political appointments. That is, although Korean citizens still have a strongly negative view of political appointments, development of methodologies to prove the efficacy of the political appointment process and to distinguish such process from patronage appointments has been overlooked. This study examines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practice of ex ante, opaque vetting of political appointees by the Office of the President. It seeks to present a basic framework for a political appointee vetting process that reflects the new social norms and changed expectations of the electorate. In particular,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 the vetting process on their views and experiences, this study focuses on the actual, behavioral aspects— as opposed to institutional aspects—of the political appointee vetting process. Based on its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four major problems with the current vetting process for political appointees: (1) distrust of the political appointee vetting process of the Office of the President and of the confirmation hearing system of the National Assembly; (2) inability of candidates to predict the outcome of the vetting process as a result of its opaqueness (such as nondisclosure of vetting standards, criteria, and weights); (3) lack of consideration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concerns and lack of role of a central personnel agency; and (4) insufficient cooperation between the vetting team at the Office of the President and other agencies.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five policy recommendations: (1) the President’s view of the political appointee vetting process and the National Assembly confirmation hearing process must change; (2) the personnel management functions of the Office of the President and the central personnel agency must be strengthened and professionalized; (3) accumulation of personnel information through ex ante, ongoing vetting is needed; (4) predictability of the outcome of the vetting process for candidates should be increased through prior disclosure of vetting standards and criteria; and (5) effectiveness of the vetting proess should be secured through prior cooperation with the political community. 1990년대 이후 직선제에 의해 선출된 한국의 대통령들은 자신의 국정철학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의 주요직위에 대한 ‘정치적 임용’을 확대하고 있으나, 그 정치적 임용행위의 내용적, 절차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노력은 게을리 하고 있다. 즉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정치적 임용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부정적 정서가 강함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임용행위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는 방법론의 모색에 매우 소홀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통령비서실의 정무직 임용후보자에 대한 사전적이고 비공개적인 인사검증 과정에 대한 현실적 필요성과 논리적 당위성을 검토하여, 새로운 사회규범과 변화된 국민정서 등을 반영한 정무직 임용후보자 인사검증제도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실제 인사검증과정에 참여한 집단들의 견해와 경험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제도적 측면보다는 인사검증과정에서의 행태적 측면에 집중하였다. 분석의 결과 1) 대통령의 인사검증제도와 국회인사청문회제도 등에 대한 불신, 2) 인사검증과정에서의 검증기준과 항목, 가중치 등의 비공개로 인한 임용후보자들의 예측가능성 결여, 3) 인사정책적 고려의 미흡과 중앙인사기관의 역할 부재, 4) 청와대 인사검증팀과 일선 검증기관간의 협력 미흡 등이 전반적인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1) 기본적으로 인사검증제도와 국회 인사청문회제도에 대한 대통령의 기본 인식이 먼저 바뀌어야 하고, 2) 대통령 비서실과 중앙인사기관의 인사기능 강화와 전문화가 필요하며, 3) 사전 및 상시 검증을 통한 인사정보의 축적, 4) 인사검증 기준과 항목의 사전 공개를 통한 후보자의 예측가능성 제고, 5) 정치권과의 사전 협력 강화를 통한 인사검증의 효과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