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전통 상업거리 건축물의 색채 현황 비교 · 분석

        진로(Lu Chen),류지선(JiSeon Ryu),이진숙(Jin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지역문화를 가지고 있는 서울과 북경의 대표적인 전통 상업거리를 대상으로 각 대상지의 건축물 색채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비교·분석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배경과 목적에 따라 연구목표를 설정 후,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계획 방향을 모색하였다. 2) 대상지 선정 및 현황분석과 각 대상지의 색채 분석 방법을 설정하였다. 3) 선정된 대상지역 건축물의 색채현황 비교·분석 단계로 먼저 건축물의 색채를 주조색·보조색·강조색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지의 연속적 가로공간의 가로변에 입지하고 있는 인접 건축물간의 L*a*b*색차값을 추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각 대상지의 색채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 전통상업거리의 건축물이 중국 전통상업거리의 건축물보다 따뜻하고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색차분석 결과 한국 전통상업거리 건축물은 신구건축물 입면의 혼재와 외장재료의 다양화로 인한 색차의 기복을 보이며 통일감과 연속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안정감 있는 전통 상업거리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의미있는 색차를 상회하는 건축물의 입면 재료들을 다른 재료마감에 비해 색채변경이 용이한 재도장 혹은 마감재로 교체를 하여 주변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는 색채의 유효범위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환경이 다른 두 지역의 전통 상업거리 건축물 색채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1차적인 연구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한국과 중국의 전통 상업거리 관련 연구의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doing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lor used for architectures of the traditional commercial street i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color status analysis of traditional street architectures in Seoul and Beijing, which have traditional regional cultures, and its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1) After setting up the research objectives according to research background & purpose,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direction of research planning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2) Also, this study prepared the colors extracted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target areas, doing status analysis of target areas. 3)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lors of selected architectures, the color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dominant colors; supplementary colors; highlighting colors. Also, L*a*b* color difference values of adjacent architectures on the streets of target area with continuous horizontal spaces were extracted, analyzed, and compared. When the colo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architectures of Korean commercial streets created a brighter atmosphere than the Chinese commercial streets. When the color differences were analyzed, the architectures of Korean commercial streets lacked unity and continuity due to color differences. It was caused by a mixture of new architecture elevation and diversification of exterior materials. To create visually stable commercial streets, the following measure is necessary: replacing the elevation materials beyond meaningful color differences with repainting or finishing materials whose colors can be changed more easily than other materials. It will help create a color coverage compatible with surrounding architectures. This study set doing comparative analysis of colors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commercial street architectures of the two areas, whose environment differs from each other, as a primary research purpose, and it is thought that such a research as this will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traditional commercial streets of Korea and China for the time to come.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전통 상업거리 건축물입면·옥외광고물의 색채적용 특성 비교·분석

        진로(Lu Chen),류지선(JiSeon Ryu),이진숙(Jin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본 연구는 전통적 지역문화를 가지고 있는 서울과 북경의 대표적인 전통 상업거리를 대상으로 각 대상지의 옥외광고물 색채의 차이점과 건축물과 옥외광고물간의 색차에 대해 알아보고자 현황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대상지의 옥외광고물 색채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 전통 상업거리 옥외광고물이 중국 전통 상업거리 옥외광고물보다 다양한 색상들이 적용되었으며, 한국과 중국 모두 Y, YR계열이 주로 적용된 것으로 보아 따뜻하고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색차분석 결과 한국의 전통상업거리가 중국의 전통상업거리에 비해 통일성이 떨어지고, 연속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안정감 있는 전통 상업거리 가로 환경조성을 위해 건축물 입면과 옥외광고물간의 색채 조화와 가로변 건축물입면과 옥외광고물 색채에 대한 유효 색채범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환경이 다른 두 지역의 전통 상업거리 옥외광고물의 색채 현황과 건축물 입면과 옥외광고물간의 색차에 대해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한국과 중국의 전통 상업거리의 건축물입면과 옥외광고물간의 색차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부재하므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며, 앞으로 한국과 중국의 전통 상업거리의 색채 관련 연구의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doing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lor used for outdoor advertisement of the traditional commercial street i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color status analysis of traditional street architectures in Seoul and Beij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facade and outdoor advertisement by L*a*b* color difference, which have traditional regional cultures, and its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outdoor advertisement of Korean traditional commercial streets and the outdoor advertisement of Chinese used the same color hue just like Y and YR. But the outdoor advertisement of Korean traditional commercial streets used more color hue than the outdoor advertisement of Chinese. Next, the color differenc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raditional commercial streets in Korea fell behind the Chinese counterpart in unity, and failed to be equipped with continuity.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there should be the need to consider the harmony in color between the building elevation and outdoor advertisements, and the effective color range about the colors in the building elevation on the street, and outdoor advertisements in order to create the visually stable traditional commercial street. This study set doing outdoor advertisement of col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facade and outdoor advertisement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commercial street architectures of the two areas. This study thinks there is the significance in doing research on this as above because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building elevation and outdoor advertisements of the traditional commercial street of Korea and China.

      • 한국의 조선시대 전통 궁궐건축의 창호와 기둥 색채 현황분석

        진로(Lu Chen),류지선(Ji-seon Ryu),이진숙(Jin 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전통 건축색채의 종류와 양식을 통해서 그 나라의 풍습과 문화를 표현할 수 있다. 글로벌 시대 도래하면서 전통문화나 옛 것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통 궁궐의 색채는 우리의 전통 문화와 정체성을 가장 빨리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궁궐 건축색채의 특성을 찾기 위해 한국의 조선시대 전통 궁궐건축에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의 외관구성요소 중 창호와 기둥의 색채현황을 분석 하였으며, 색채현황 데이터는 NCS색채계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현대 상업가로 건축물의 입면 적용색채 분석

        진로(Lu Chen),류지선(Jiseon Ryu),이진숙(Jin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현대 상업거리를 대상으로 양국의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에 적용된 색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배경과 목적에 따라 연구목표를 설정 후,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계획 방향을 모색하였다. 2) 대상지 선정 및 현황분석과 각 대상지의 색채 분석 방법을 설정하였다. 3) 선정된 대상지역 건축물의 색채현황 비교 · 분석 단계로 먼저 건축물의 색채를 주조색 · 보조색 · 강조색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지의 연속적 가로공간의 가로변에 입지하고 있는 인접 건축물간의 L*a*b*색차값을 추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대상지의 건축물 입면 색채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YR계열과 N계열이 주로 적용된 것으로 보아 양국 모두 따뜻하고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한국과 중국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의 색조 분석 결과 적용된 전반적인 색조는 light-gray 색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양국 모두 건축물 입면에 사용된 재료와 색채들이 대부분 밝은 석재 · 금속 · 유리를 사용하여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각 대상지 건축물 입면의 L*a*b*색차 분석결과 중국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의 평균색차가 한국의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의 평균 색차가 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중국의 현대 상업건축물의 색채는 비교적 단조로운 느낌을 주는 반면 한국의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의 색채는 중국에 비해 다양성을 추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양국의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에 작용된 색채를 비교 ·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으로 분석 대상지가 4군데로 제한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This study mad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lors applied to façade of buildings in typical modern commercial avenues in Korea and China, and its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1)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direction of research planning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2) This study prepared the colors extracted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target areas. 3)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lors of selected architectures, the color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dominant colors; supplementary colors; highlighting colors. L*a*b* color difference values of building elevation on the streets were extracted, analyzed, and compared.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lors applied to façade of buildings in each avenue, the lines of YR and N were mostly applied both in Korea and in China, indicating that the warm and bright mood is favored in both of the two countries. Next, according to the tone analysis of façade of buildings in modern commercial avenues in Korea and China, the harmony of light-gray colors is mostly found as the overall tone. It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light-colored stone, metal, and glass were mainly used for façade of buildings for the bight atmosphere in both of the two countries. Last, the analysis of L*a*b* color difference for façade of buildings in each avenue suggested that the average color difference of façade of buildings in China’s modern commercial avenues is smaller than that in Korea’s. The building elevation color in Korean modern commercial street created diversity and lively feeling. The building elevation color in Chinese modern commercial street created single and stiff fe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colors applied to façade of buildings in modern commercial avenues in Korea and China. But the limit of this study is four places to analysis by Korea and China. In the next study, I will find more places to analysis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색채 이미지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평가 특성 연구

        진로(Chen, Lu),박지영(Park, JiYung),이진숙(Lee, JinSoo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4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visual difference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to perform image evaluation of the color palette of the streetscape composed of colorful building facade that is currently applied to target a typical commercial street of traditional and modern Korea and China. 1) The evaluation results of color image indicated that the image was classified as a total of 4 factor axes whiling showing a total of 65.441% explanation, thereupon, this study selected the representative image in Factor Ⅰ as the vocabulary of 「order•calm」 and Factor Ⅱ as the vocabulary 「warm」 and Factor Ⅲ as the vocabulary 「distinctive•impressive」 and at last Factor Ⅳ as the vocabulary 「traditional」. 2) 「Order•calm」axis was found that the more a diverse color was used, the lower Koreans were rating it in well-ordered & calm image comparing to Chinese, and that Koreans showed a big difference in well-ordered & calm image, whereas Chinese showed a little difference in well-ordered & calm image consequent on color. 3) 「Warm」axis showed that the more the color in Y groups and YR groups is used, the warmer and the more pleasant Koreans feel while the more the achromatic color is used, the lower they rate it in warm & pleasant image. 4) 「Traditional」axis showed that in case of Chinese, when multifarious color is applied to assort color and accent color although general dominant color is achromatic color(N groups), especially in the case where the more the color in R groups is applied, they tend to rate it more colorful and unusual. 5) 「Traditional」axis showed that hen dominant color is achromatic, Chinese rated that it gives a more traditional feel than Koreans rated. This study is that compared the visual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s and the Chinese color palette image of Commercial Street building and analysis. In the future progress needs to be undergoing research, including the type and texture of various elements of perception streetscape construction.

      • 조선시대 상류주택 건축과 명청시대 사합원 건축외관 이미지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진로(Lu Chen),홍룡일(Longyi Hong),이진숙(Jin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1

        본 연구는 한국-중국 두 나라의 전통문화특성이 담겨져 있는 주거 건축의 외관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자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같은 시기 전통주거를 대표하는 조선시대 상류주택한옥과 명청시대 사합원의 외관구성요소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제1단계는 조선시대 상류주택과 명청시대 사합원건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가대상을 수집하였다. 제2단계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전통주택 외관이미지를 표현하는 어휘를 수집하여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제3단계는 SPSS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및 요인득점 플로트도분석을 통해 두 건축의 외관이미지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두 나라의 전통문화가 담겨져 있는 주거건축의 외관이미지 분석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접근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수용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진로(Chen Lu),이동명(Dong-My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논문에서는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서비스 특성(즉시 접속성, 경제성, 보안성), 사회적 특성(주관적 규범, 이미지), 개인적 특성(자기 효능감, 개인 혁신성, 적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과 수용의도를 연구변수로 도입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서 최종 43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제기된 연구가설을 검증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서비스 특성, 사회적 특성, 개인적 특성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of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in China. Our research model includes the service factors(instant connectivity, economic and security), social factors(subjective norms and image), the user’s individual factors(self-efficacy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uitability),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with users who have had the actual using experience about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In this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by online survey, and in final analysis, 439 users’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empirical paper proves research hypothesis by using SPSS 22.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obile easy payment service factors, social factors and the user’s individual factors partially give positive effects to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gives positive to perceived usefulness. In additi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ve positive effects to on intention to use.

      • KCI등재

        선물의 역할(giver-receiver)에서 관계적 특성이 해석 수준(construal level) 선호도 차이에 관한 연구

        유인식 ( You In Sik ),이동명 ( Lee Dong Myung ),진로 ( Chen Lu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4

        선물의 선호도는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두가지 해석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첫 번째 해석 수준은 가치와 목적에 치중하는 즉 왜(Why)에 가까운 바람직성(desirability)이며, 두 번째는 사용 수단과 용이성에 치중하는 즉 어떻게(how)와 밀접한 실행가능성(feasibility)으로 구분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물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에 따라 어떠한 해석 수준의 선물을 선호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관계적 특성을 사회적 관계와 심리적 친밀도로 구분하여, 관계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해석 수준의 선물을 선호하는지를 추가적으로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선물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상황 별로 각 150명을 설문하여 유효 응답자 291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계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미국의 선물 문화에 대한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선물을 주는 사람은 바람직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으며 받는 사람은 실행가능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다. 둘째, 친밀도가 높은 가족, 친척, 친구의 관계에서는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 모두 실행 가능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다. 세 번째 친밀도가 낮은 사적인 관계인 경우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 모두 바람직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으며 이는 한국의 선물 문화에서 공동체의식과 체면 의식이 반영된 의무적인 선물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반면에 공적인 관계에서는 친밀도가 높은 경우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 모두 실행 가능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으며 친밀도가 낮은 경우 주는 사람은 바람직성이 높은 선물을 받는 사람은 실행 가능성이 높은 선물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관계 특성과 친밀도가 선물 해석 수준 선호도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였고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Gift preference depends on the construal level of two people, giver and receiver. 1st construal level depends on the value and the purpose. In other words, desirability close to why. 2nd construal level is about means of use and convenience. So, this study observes which gift is preferred depends on giver and receiver as per the level of interpretation of gift. Also, by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 of relationship depends on social relationship and emotional closeness, additional in-depth study on gift preference is done. Study on 150 of receiver and giver respectively, 291 responses were selected, and we have the following results. 1st, without considering relationship, similar to gift culture in the States, giver prefers a gift with high desirability and receiver prefers a gift with high level of feasibility. 2nd, within close family, friends and friends, both receiver and giver prefers a gift with high level of feasibility. 3rd, in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low closeness, both giver and receiver prefer a gift with high desirability. This seems to reflect Korean gifting culture where community spirit and respect for each other exists. In public relations, between giver and receiver who are close prefer a gift with high feasibility while who are not close prefer a gift with desirability. This study reveals the level of relationship and the closeness affects the interpretation of gift preference and provides the academical im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