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 위험 임신에서 태아 제대 적혈구 조혈 인자

        김석원(Seock Won Kim),김사진(Sa Jin Kim),이귀세라(Gui Se Ra Lee),권인(In Kwun),이재동(Jae Dong Lee),이형근(Hyung Gun Lee),박정희(Jung Hui Park),진기홍(Gi Hong Jin),신종철(Jong Chul Shin),김수평(Su Py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6

        목적 : 고위험 임신 산모에서 제대 동맥혈 검사값과 적혈구 조혈 인자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방법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12월 까지 가톨릭 대학교 성가병원에 내원하여 제왕 절개술을 시행한 88명에서 제대 동맥혈검사 값과 방사 면역 측정으로 얻은 적혈구 조혈 인자를 검사한 정상 대조군 39예(쌍태아 12예), 45예의 고 위험 임신, 미 분류 4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통계학적 분석은 단측 t-검정과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결과 : 제대 동맥의 산도와 적혈구 조혈인자는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는 역 상호 관계를 보여 주었으며, 임신성 당뇨와 자궁내 태아 발육 부전 군에서 정상 군 보다 의의 있는 적혈구 조혈인자의 증가를 보여 주었으나 태아 긴박증이나, 전자간증에서는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학 적인 의의는 없었다. 결론 : 증가된 제대 동맥의 epo 농도는 태아의 저 산소증과 연관성이 있으며, 자궁내 태아 발육 부전과 임신성 당뇨에서 epo의 의의 있는 증가는 만성 저산소증에 대한 임상적 지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mbilical plasma erythropoietin(epo) concentrations and umbilical cord pH in high risk pregnancies. Methods: We measured epo concentrations and gas in 103 cases of cord blood obtained from 88 cesarean section (15 of twin) composed of 39 cases of normal control (12 of normal twins), 45 cases of high risk pregnancies and 4 cases of unclassified group using an RIA kit from december,1998 to December, 1999.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tudent's t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P 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Umbilcal plasma epo concentrations revealed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P<0.05) with umbilical acidosis and cord blood epo levels, and i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DM and IUGR than normal pregnancies (control: 1.60 1.15, n=39 versus GDM: 7.78 7.18, n=11 versus IUGR: 64.77 90.57 n=10, p<0.05), but 11 cases of fetal distress and 13 cases of preeclampsi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umbilical plasma epo of normal control. Conclusions: Elevated epo concentrations in cord blood indicate fetal hypoxia and It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IUGR and GDM, these findings show that cord blood epo may serve as a clinically useful marker for chronic fetal hypoxia.

      • KCI등재

        태반 조기 박리에 대한 임상적 고찰

        강병채(Byung Chae Kang),김사진(Sa Jin Kim),이귀세라(Gui Se Ra Lee),허수영(Soo Young Hur),이초희(Cho Hee Lee),진기홍(Gi Hong Jin),박정희(Jung Hui Park),정대영(Dae Young Chung),이영(Young Lee),신종철(Jong Chul Shin),김수평(Soo Pyung Ki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태반 조기 박리의 임상 양상을 기존의 다른 연구와 비교, 분석하여 신속한 진단 및 처치를 통해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의 가톨릭대학교 중앙 의료원의 3개 병원에 입원하여 태반 조기 박리로 진단된 369예의 임상 기록지를 관찰,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태반 조기 박리의 빈도는 0.51% 이였으며, 연령별 분포는 25세에서 35세 사이의 산모가 79.6%를 차지했으나 그 발생률에 있어서는 40세 이상에서 가장 높았고, 35세에서 39세 사이와 20세에서 24세가 그 다음이고, 30세에서 34세에서 가장 적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98.4%가 37주 이전에 진단되었고 28주미만에 태어난 아이의 84%는 생후 1달 이내 사망하였다. 알려진 원인으로는 임신성 고혈압이 가장 많았고, 그밖에 조기 양막 파수, 자궁 근종, 다태 임신, 외상 등이다. 임상 증상으로는 질 출혈과 자궁 압통 및 복부 압통이 대부분이였고, 조기 양막 파수, 유도 분만 중 태아 긴박증이 있거나 기 제왕절개로 제왕절개 시 우연히 발견된 경우도 있었다. 합병증으로는 Couvelaire uterus, 범발성 혈액응고증, 급성 신부전등이 발견되었으며, 기타 자궁파열과 뇌색전증 및 폐의 색전증이 동반된 경우가 1예가 있었다. 산모의 사망은 없었고 태아 사망은 73예에서 발견되었고, 이중 41예가 태내 사망이었다. 신생아 유리질막증은 24예에서 관찰되어 이중 18예가 사망하였다. 태반 조기 박리는 대부분이 37주 이전에 심한 질출혈과 자궁 압통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조기 진단 및 처치로 태아 사망과 부작용이 줄어들기는 했으나 여전히 산모와 태아에 중대한 합병증을 일으킨다. Objective: To evaluate for the clinical analysis on abruptio placenta, we examined its incidence, diagnostic methods, symptom and sign, perinatal mortality, and recurrence rate.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396 cases of abruptio placenta among 72.580 deliveries, from Jan. 1, 1990 to Dec. 31, 1997, at St. Mary, Kang Nam St. Mary, and Holy Family Hospital of Catholic University. Results: The total incidence of abruptio placenta was 0.51%, the incidence plotted by age from 1993 to 1997 has shown that the age incidence was higher in 20-24years old(0.7%), and over 35years old (0.8%). 42.5% of the case occurred between 32 to 37weeks of gestational age, 39.6% was over 37weeks. 38% of the patient was diagnosed before delivery with ultrasonography and the most common complaint was vaginal bleeding. The complication of abruptio placenta is as follows, Couvelaire uterus occurred in 26cases(7.0 %), DIC in 10cases(2.7 %), ARF in 4cases (1.1 %), and uterine rupture in 1case(0.3 %). Perinatal mortality including 41cases of stillbirth was 19.9 %(73cases) but no maternal death was noted. A history of abruptio placenta increased risk of a similar incident in a subsequent pregnancy by 19 cases(4.6 %: 9.0 fold)complicated with 13 cases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76.5 %).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bruptio placenta plotted by age have shown higher in 20-25years old and over 35 years old, hypertensive women experienced abruptio placenta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graded recurrent rate in subsequent pregnancy, and abruptio placenta is major obstetric bleeding disease causing serious maternal and fetal com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