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음 측정을 통한 에어컨 실내기 자기음 검출 및 진단

        지효근,정호제,김정현 경성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2012 공학기술연구지 Vol.18 No.-

        This paper presents the detection and diagnosis of air-conditioner electromagnetic sound through noise measurements. Electromagnetic sound originating from the motor is an unpleasant source of unwanted noise that should be detected at the manufacturing stage. A detection system using sound measurements was built and a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FFT analysis is presented. Soun measurements are preferable over direct vibration measurement because it is non-contact and low cos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sound measurement system can detect electromagnetic sound effectively compared to using vibration measurements.

      • KCI등재

        한미동맹 결속력 변화 추이에 대한 연구

        지효근 육군군사연구소 2015 군사연구 Vol.- No.140

        In this research, alliance cohesiveness is defined 'as the degree of cooperation between alliances in security policy. The 'alliance security culture 'is the core variable which affects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alliance cohesivenes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alliance cohesiveness can be changed when the alliance security culture reevaluates the threat recognition and interest of alliance. This study anticipates the cohesiveness of ROK-U.S. Alliance based on the indices such as military power and armament of the United States Forces in Korea(USFK), pledges of leaders, and the degree of alliance institutionalization. As a result, discoveries show that it was the authoritarian period and the conservative administrations under the president Lee and Park in 2000s that alliance cohesiveness between ROK and U.S.was the solidest. In addition, democratization era was the weakest in the alliance cultural era of conflictive alliance norm. Keywords : ROK-US alliance, alliance security culture, alliance cohesiveness, alliance norm,alliance security identity 방위조약의 평균 수명이 약 10년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1954년 11월 발효된 한미동맹은 60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이는 기존의 동맹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으로 새로운 동맹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이 논문은 이를 토대로 동맹의내적 변화,즉 결속력 변화를 가져오는 변수가 무엇인지 한미동맹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맹결속력을 동맹국간 동맹정책에 대한 협력정도로 정의하여 그변화를 살펴보았고 변화의 핵심변수로 ‘동맹안보문화’를 상정하였다.국가가 갖고있는 동맹안보문화가 위협인식과 동맹이익에 대한 재평가를 가져오고 이것이 동맹정책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서 결국 동맹결속력이 변화된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주장이다. 동맹결속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본 연구에서는 주한미군의 병력과 장비,지도자의 공약,동맹의 제도화 등을 상정하여 한미동맹의 결속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순응형 동맹안보문화가 유지되었던 권위주의 정권 시기와 2000년대 이후보수 정권 시기의 동맹결속력이 상대적으로 강했고 민주화 직후 시기의 동맹결속력이 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맹의 속성상 동맹간 의존과 협력이 필요한 반면,비대칭동맹의 약소국인한국이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자주적 동맹안보정체성 형성과 동맹규범에 대한 갈등적 태도가 복합된 동맹안보문화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이 갖는 이론적 함의는,동맹결속력 변화가 현실주의와 자유주의가 제시한 물질적 변수보다 관념적 변수에 의해 더 영향을 받는다는 점과 동맹결속력을 분석하는 변수로 문화와 같은 국내정치적 요소가 국제체제적 변수보다 더 중요하다는것이다. 주제어:한미동맹,동맹안보문화,동맹결속력,동맹규범,동맹정체성

      • KCI등재

        군사혁신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 미군의 공지전투와 다영역작전 사례를 중심으로

        지효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9 국가안보와 전략 Vol.19 No.4

        군사혁신에 대한 연구는 언제, 왜 일어나는가 하는 것보다 어떤 조건에서 성공하는가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군사혁신 그 자체보다 그것이 가져오는 결과, 즉 성공여부에 따라 국가안보의 성패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군사혁신의 대표적 학자인 포젠은 군대에 대해 변화를 원하지 않는 관료적 속성을 가진 조직으로 간주한다. 그 결과 군 내부적인 군사혁신은 어려우며 정치지도자의 개입을 통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때 정치지도자는 군사에 관련된 정보접근이 제한되기 때문에 군내 소수의 개혁세력들을 통해 혁신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로젠은 외국의 군사적 행동이나 정치지도자의 개입이 군사혁신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훨씬 적다고 본다. 오히려 군지도자의 미래전에 대한 인식변화를 통해서 군사혁신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 전시의 혁신이 훨씬 더 용이하지만, 시간의 제약 때문에 면밀한 검토 없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평시혁신에 더 치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군사혁신을 전투수행방식의 완전한 변화로 정의하고 군대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의 균형에 의해 군사혁신이 성공할 수 있다는 대안적 분석틀을 제시한다. 민주주의 국가일수록 군대는 정치의 통제를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치지도자의 지원 속에 군지도자의 미래전 인식변화와 군내 개혁세력의 구축이 군사혁신의 성공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변수간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미군의 공지전투와 다영역작전을 사례연구하였고, 결론적으로 대안적 분석틀에서 제시한 내적요인, 즉 군지도자의 미래전 인식변화와 군내 개혁세력 구축, 그리고 외적요인인 정치지도자의 지지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음을 확인했다. Research on military innovation should be more concerned with the conditions under which it succeeds than when and why it happens. This is because the success of national security depends on the outcome of its success rather than military innovation itself. Posen, a leading scholar of military innovation, regards the military as an organization with bureaucratic properties that does not want to change. As a result, he argues that military innovation within the military is difficult and possible through the intervention of political leaders. Rosen, on the other hand, sees that the impact of foreign military action or political leader's intervention on military innovation is far less than expected. Rather, he argues that military innovation is possible through a change in the military leaders' perceptions of future wars. This study defines military innovation as a complete change in the way of warfighting, and suggests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military innovation to succeed by balancing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order to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 case study was conducted of the US military AirLand Battle and Multi-Domain Operation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 factors presented in the alternative analysis framework, that is, the change of military leaders' perception of the future war, the establishment of reform forces in the military, and the support of political leaders, which are external factors, played an important role.

      • KCI등재

        미국의 새로운 전투수행 개념 발전과 한국군에 대한 함의

        지효근 육군군사연구소 2019 군사연구 Vol.- No.147

        Since the September 11, 2001, the United States has recognized the war on terror as a new threat and has been in the war for more than 18 years. As a result, during this period, the warfighting concept was focused on irregular warfare. While the United States concentrated on the war on terrorism, Russia, China and other revisionist states became a threat to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States was not prepared for it. In 2017, the Trump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which emphasized the threat of the revisionist states as a key threat. After that, it is developed a new concept, Multi-Domain Operation(MDO), which is an operational art that overwhelms enemies in all domains such as the land, maritime, air, space, and cyberspace. In order to pursue successful MDO,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warfighting concept more precisely and obtain necessary capabilities timely. To this end, the U.S. created the Army Futures Command, which operates eight Cross Functional Teams(CFTs) to develop the warfighting concept and to timely secure the six key capabilities set by the Army. Such efforts for the future of the U.S. have many implications for the ROK military in areas such as expanding the threat perception to neighboring countries beyond North Korea and preparing for it, establishing military strategy in cooperation with interagency, making an unit to be specialized in the future warfare. 9.11 사태 이후 미국은 테러를 핵심위협으로 인식했고 지금까지 18년 이상 테러와의 전쟁에 매달려왔다. 이 시기 동안 미군의 전투수행 개념은 일종의 비정규전에 집중되었다. 문제는 미국이 테러와의 전쟁에 집중하는 동안 러시아, 중국 등 수정주의 국가들이 급성장하면서 미국에 대한 위협세력이 되었고 미국은 이에 대한 준비가 부족했다는 것이다. 2017년 트럼프행정부는 국가안보전략서 발표를 통해 수정주의 국가들의 위협을 핵심위협으로 상정했고 이에 대한 대비를 시작했다. 그 결과 등장한 것이 다영역작전(Multi-Domain Operation)인데, 이것은 지상, 해상, 공중, 우주 및 사이버 등 모든 작전영역에서 적을 압도하기 위한 작전술이다. 다영역작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전투수행 개념의 발전과 전력 구비가 필수적이다. 미국은 미래사령부를 창설하여 이와 같은 미래 업무를 총괄하도록 했다. 미래사령부의 핵심임무는 미래 전투수행 개념을 구체화하면서 육군이 설정한 미래 6대 전력을 현대화하는 것이다. 미래사령부는 이를 수행할 조직으로 8개의 교차영역기능팀(Cross Functional Team)을 편성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미래전 대비 노력은 한국군에 많은 의미를 던져주고 있는데, 먼저 북한을 넘어선 주변국 위협에 대한 대비의 필요성, 두 번째, 군사전략 수립 및 실행을 위한 범정부적 협업의 필요, 마지막으로 미래전을 준비하는 전담부대의 필요성 등이 그것이다.

      • KCI등재

        한반도 미래전쟁에 대한 연구

        지효근 육군군사연구소 2016 군사연구 Vol.- No.141

        Studies on the war of future on the Korean Peninsula are mainly focused on the future of war. The future of war is how the military forces will fight with and it is usually about the changes in weapon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war of future is about who the enemy is, why the fights must go on, and how the pictures of war will change. Judgement of the wars of future will be done precisely when political environment and battlefield environment are put into a consideration together. Political environment is the result of the changes in the balance of power and the wars of futur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target North Korea as a main enemy and 3 countries from north and 3 countries from south will enter the war by forming "blockfied international war." Also in terms of the battlefield environment, which is geographical and atmospheric phenomena, and the military strategy and the power of North Korea, shows that the war of futur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target areas around metropolitan region and result as a "limited extent of quick all out attack." Due to Korean Peninsula's mountain regions, expanding city areas, and North Korea's inability to keep the war ongoing for a long time, the war is most likely to end quick in North Korea's battle scenario. Also, North Korea will target metropolitan areas without spending any of its military forces to end the war quickly. In this process, North Korea will utilize its nuclear weapons as a last resort. If North Korea is forced into a corner, it will threaten to use nuclear weapons to make the situation favorably. Surely, North Korea will use nuclear weapons as a key to lead the war in its hands. As a result, if North Korea starts a war, South Korea will have to prepare for an international and a short war. Therefore, we need stategies and capabilities for the exclusion of China and Russia's engagement from the war, the elimination of th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the elimination of Kim Jeong Un and the head executives of North Korean government. Without any deep consideration of the enemy, only to pursue the acquisition of the expensive weapons but to lack of efficacy should be the last one to choose.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에서 미래전쟁의 모습이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것을 살펴보는 것이다. 한반도에서 미래의 전쟁에 대한 연구는 전쟁의 미래에 치우친 경향이 있다. 전쟁의 미래는 무엇을 갖고 싸울 것인가 하는 것으로 주로 무기체계의 변화에 대한 것이다. 반면 미래의 전쟁은 싸워야 할 적이 누구인가 하는 것과 왜 싸우는가 하는 것, 그리고 전쟁의 모습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군사기술적 측면의 전쟁의 미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미래의 전쟁은 정치적 환경과 전장환경을 모두 고려할 때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정치적 환경은 세력균형의 변화로 인한 결과이며 이를 고려했을 때, 한반도에서의 미래전은 북한을 주적으로 하면서 북방 3개국과 남방 3개국이 개입하는 ‘블록화된 국제전’의 형태가 될 것이다. 또 한반도의 전장환경, 즉 지형과 기상, 북한의 군사전략과 군사력을 고려했을 때 한반도 미래전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국지적 범위의 단기 총력전’이 될 것이다. 한반도의 산악지형과 점차 확대되는 도시지역, 그리고 북한의 열세한 전쟁지속능력으로 인해 장기전보다는 단기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북한은 전쟁의 목표를 수도권에 집중함으로 전력의 분산 없이 신속하게 전쟁을 종결시키려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북한은 핵무기 사용 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다. 궁지에 몰릴 경우 직접적인 사용도 불사하겠지만, 한국의 반격, 미군의 증원 등 전쟁이 불리하게 돌아갈 경우 적극적인 핵무기 사용 위협을 통해 전쟁을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려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북한이 전쟁을 일으킨다면 한국은 국제전, 단기전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중국, 러시아 등 주변국의 개입을 차단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 제거, 그리고 김정은을 포함한 전쟁지도부에 대한 제거작전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전략과 능력 구비가 필요하다. 싸워야 할 적에 대한 고려 없이 값비싼 무기체계 확보에만 열을 올리는 ‘최첨단 무기체계 신드롬’은 가장 경계되어야 한다.

      • KCI등재

        헤즈볼라의 정치군사적 발전에 대한 분석과 전망: 제1, 2차 레바논전쟁을 중심으로

        지효근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0 전략연구 Vol.27 No.2

        Founded during the First Lebanese War in 1982, Hezbollah has grown from a simple terrorist group to a leading anti-Israel resistance forces representing the Arab world and a key political force in Lebanon. Nevertheless, there is a view of Hezbollah regarding it as a terrorist group only. This hinders a correct understanding of Hezbollah and makes false predictions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in Lebanon, the main stage of Hezbollah, and more broadly about the Middle East fu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ezbollah properly. In this paper, I examined Hezbollah's behavior change. Hezbollah maintained a complex military-centric behavior through the First Lebanon War, and its political role was relatively weak. However, through the Second Lebanon War, Hezbollah's military role was weakened relatively but political role was strengthened. It can be said that the support of the people through victory in the war and effective post-war restoration projects played a large role. Hezbollah will expand its role as a key political actor while maintaining its role as a resistance force. However, because terrorism can negatively affect its role as a political and resistance force, it can be predicted to decrease. And also Hezbollah's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namely, th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in Iran and Syria, which is the sponsor of Hezbollah, and changes in domestic political support, will be important variables in the change of Hezbollah’s behavior. 1982년 제1차 레바논전쟁 중에 창설된 헤즈볼라는 단순한 테러조직에서 이제는 아랍세계를 대표하는 대 이스라엘 저항군, 그리고 레바논의 핵심 정치세력으로 성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즈볼라를 테러조직으로만 보는 시각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것은 헤즈볼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방해하고 헤즈볼라의 주 활동무대인 레바논의 정치상황, 더 크게는 중동지역의 정치상황에 대해서도 잘못된 예측을 하게 만든다. 따라서 헤즈볼라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헤즈볼라의 정치군사적 발전과 전망에 대해 살펴보았다. 헤즈볼라는 제1차 레바논전쟁을 통해 군사중심적인 행태를 보였으며 정치적 역할은 상대적으로 약했다. 그러나 제2차 레바논전쟁을 통해 정치적 역할이 강화되었다. 여기에는 전쟁에서의 승리와 효과적인 전후 복구사업 등을 통한 국민들의 지지가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헤즈볼라는 레바논의 핵심 정치세력으로서 역할을 확대할 것이고, 저항군으로서의 역할도 계속 유지할 것이다. 그러나 테러는 정치 및 저항군으로서의 역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그 역할은 줄어들 것이다. 다만 헤즈볼라가 처한 대내외적 상황, 즉 헤즈볼라를 후원하는 이란 및 시리아의 상황전개, 헤즈볼라에 대한 국내정치적 지지 변화 등이 향후 헤즈볼라의 역할변화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국방무관의 외교적 역할과 발전방안 연구: 레바논 주재 국방무관단 사례분석

        지효근 한국국방연구원 2023 국방정책연구 Vol.39 No.3

        본 연구에서는 레바논 주재 국방무관단 분석을 통해 한국군 국방무관의 발전방안을 검토하였다. 레바논 주재 국방무관단의 특징은 복수무관부 위주 편성, 재파견, 주재국 통용언어 숙달, 위기상황에 기초한 활동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한국군 국방무관 시스템의 정책적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위기상황을 고려하여 국방무관의 임무를 부여한다. 둘째, 현재의 단수무관부 위주 편성을 복수무관부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셋째, 무관 전문화 및 성과증진을 위해 재파견제도를 활성화한다. 넷째, 무관의 현지어 역량 등 어학능력을 집중적으로 증진시킨다. 다섯째, 무관 선발 이후의 파견교육과정에 국제관계 분야를 확대한다. This study suggests how to develop the Korea defense attache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foreign defense attache group in Leban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ense attache group in Lebanon can be summarized as the organization of plural attaches, repeated dispatch, proficiency in the common languages of the host country, and activities focused on various crises. Based on these, the author recommends these as a development plan of the Korea defense attaché system, first, attaché’s activities focused on various crises, second, organization of plural attaches, third, repeated deployment of attachés, fourth improvement of the language skills, and lastly, training focused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field for the defense attachés

      • 1970년대 한미동맹 결속력에 관한 연구 : 동맹안보문화의 영향을 중심으로

        지효근 한국군사학회 2013 군사논단 Vol.73 No.-

        In this research, I define the alliance cohesiveness as the degree of cooperation between alliances in security policy. The "alliance security culture" is the core variable which affect on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alliance cohesiveness. I argue that the alliance cohesiveness can be changed when the alliance security culture reevaluate the threat recognition and alliance interest. In this study, I estimate the cohesiveness of ROK-U.S. Alliance based on the indices such as military power and armament of the United States Force Korea (USFK), pledges of leaders, the degree of alliance institutionalization and ROK-U.S. Joint Drills. In conclusion, the alliance cohesiveness has been changed by alliance security culture consists of alliance norm and alliance security identity.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rc derived from above discussion. First of all, the United States should accept and admit the change of alliance security culture of South Korea in order to strengthen the ROK-U,S. Alliance. For this, it requires that the interpersonal exchange between policy makers involved in the alliance policy should be activated as well as legitimized to understand the mutual alliance culture. Secondly, ROK has to consent to the necessity of the stationing of U.S. military in Korea without any sentimental access for "independent or equality" until ROK develop enough military power. The development of public awareness and the growth of economic capability after the Cold War have increased requirement of autonomy in military policy. However, it is desirable that alliance conflict should be minimized by the formulation of alliance security culture for "independent cooperation" type. At last, it demands every effort to establish the regional security council of ROK-U.S. Alliance, The Republic of Korea can easily resolve such hot issues as the defense cost-sharing, relocation and deployment of the USFK, SOFA and the restriction of wartime operation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