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ststructural Feminist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주연수,Joo, Yunsoo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5

        남성 중심적인 전통적 신학은 교회 내의 성차별과 불공정한 위계제도를 바로잡기보다는 오히려 정당화하는데 일조한 바 있다. 가부장적인 문화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교육 역시 억압적인 체제를 유지하는 데 종종 남용되었다. 여성신학자 레베카 춉(Rebecca Chop)은 현대의 서구 문화가 자기애적(narcissistic)이고 자기준거적(self-referentiality)인 이기주의를 강화하면서, 강자의 편에 서서 사회에서 소외된 주변인들을 더욱 침묵하도록 종용해왔다고 주장한다. 춉에 따르면, 기독교의 역할과 본질, 그리고 선교의 핵심은 진리와 자유의 말씀을 통해 억눌리고 갇힌자들에게 해방의 복음을 선포하고 세상을 변혁하는 데 있다. 춉의 후기구조주의적 여성신학은 언어, 문화, 정치 내에 스며들어 있는 차별, 편견, 배타성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사회-상징적(socio-symbolic) 질서(order)를 개혁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정의와 평등을 실현하는 사회변혁을 도모한다. 본 연구는 먼저 아시아-아메리칸(Asian-American) 부부와의 인터뷰를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그들과의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사회에 편만한 차별적이고 억압적인 남성중심적 헤게모니를 살펴본다. 한 부부의 인터뷰를 통해 일반화된 사회이론을 제시할 수는 없지만, 이는 여성에 대한 편견과 배타성을 영속화시키는 잠재적 메세지와 헤게모니를 드러내는 좋은 예가 될 것이며, 이 사례를 통해 왜곡된 관계를 회복하고와 모든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기독교교육의 역할을 성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해방적 변혁을 위한 기독교교육은 건설적인 개입을 통해 소외되고 억압된 자들의 의식화와 주관성을 회복하도록 돕고, 해방의 말씀선포를 통해 지금까지 배제되어왔던 주변인들이 사회 변혁을 위한 실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격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 church tradition, cultural misappropriation has often legitimized unjust hierarchy rather than to challenge it. Under the rubric of culturalism, Christian Education has served to justify the oppressive system and maintain status quo as well. A feminist theologian, Rebecca Chopp argues that the contemporary Western culture has intensified narcissistic individualism and self-referentiality and has supported the powerful, while forced the marginalized to be silent. Chopp insists that the role, nature, and mission of Christianity is to provide Word and words of emancipatory transformation. She advocates poststructural feminist theology and aims at renewal of the socio-symbolic order in society by criticizing assumptions underneath language, culture and politics. In this study, we will review the interview with an Asian-American couple and disclose the underlying assumptions and hegemony which have contributed to maintain the male domineering system. I suggest that Christian education for emancipatory transformation should encourage the oppressed women to reflect critically the existing order and to restore their own voice through constructive intervention facilitating "plurivociy" and "problem-posing" dialogue. Proclaimation of transformative Word can empower the marginalized people to revision the world alternatives to monotheistic patriarchal modernism.

      • KCI등재

        방관자 중심 집단따돌림 예방교육

        주연수(Yunsoo J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9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방관자들은 표면적으로 폭력을 행사하지 않았고 가해자와 피해자 어느 편에도 가담하지 않았으므로 집단따돌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방관자들은 폭력현장에서 침묵함으로써 암묵적으로 폭력을 용인하고, 결과적으로 가해자의 사회적 지위를 인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실제로, 집단따돌림과 같이 집단 역동이 크게 작용하는 상황에서는 다수를 차지하는 방관자의 태도와 행동은 집단따돌림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주요변인이 된다. 집단따돌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방관자로 머물러있던 다수의 학생들이 폭력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집단규준을 확립하도록 돕고, 피해자에게 공감적인 친사회적 행동을 보여줌으로써 집단따돌림 문제에 능동적으로 개입하는 방어집단으로 거듭나도록 인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방관자로 남아있던 다수의 학생이 집단의 문제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해결을 도모하는 강력한 방어집단이 될 수 있도록 집단규준 확립, 정서적 공감증진,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을 제안한다. 또한 뇌기반 학습 이론이 제시하는 학습 증진의 원리를 기초로 집단따돌림 예방교육의 학습과정은 통전적이고, 협동을 중시하는 관계지향적이며, 가치지향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main characters and approaches for educational program geared towards preventing school bullying,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role of the bystanders. In bulling, the bystanders may assume that they don’t play any role because they have not participated neither in bulling nor in defending behaviors. However, in actuality, the attitude of the bystanders is a major factor to drive the bulling situation to the certain direction. Since group dynamic plays a great role in group phenomena such as school bulling, the attitude and implicit rule among the majority function either to prevent or to aggravate it. In bulling prevention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awaken the bystanders to feel responsibility and to engage in solving the problem by demonstrating empathetic attitude and prosocial behaviors toward the victims. In order to be the active participants in preventing bulling, the bystanders need to learn the practical way to establish the group norm for non-violence and to facilitate empathetic atmosphere. They also need training programs to increase affective empathy and self-efficacy. In discussion with Brain-based education theor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educational process of bulling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wholistic, relational, and formational, promoting cooperation and value/meaning construction.

      • KCI등재

        HOLISTIC SPIRITUALITY IN THE ACADEMY

        JOO Yunsoo(주연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3

        기독교 영성학은 인간을 육체와 영혼, 마음과 의지, 감정과 행동이 상호작용하는 총체로 이해하고, 전인적 인간관을 바탕으로 개인의 영적이고 종교적인 체험을 통전적으로 연구하여야 한다. 인간 주체의 신체적, 심리적, 지적, 그리고 사회적 차원은 모두 영적 체험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학문의 한 분야로서 영성학은 궁극적 존재, 즉 하나님과 관련한 개인의 믿음, 신념, 정서, 그리고 행동의 모든 측면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철학과 신학에 만연하였던 이분법적 사고, 즉 영혼과 육체, 이성과 감정, 그리고 삶의 내면적 혹은 외면적 측면을 양립할 수 없는 상반된 영역으로 취급해왔던 경향은 인간과 영성에 대한 통전적 이해에 장애가 되곤 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 영성학을 인간의 육체적, 정서적, 실천적 영역을 통합하는 통전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며, 동시에 통전적 영성은 삶의 구체적 실천으로 구현되어야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최근 북아메리카와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영성”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산드라 슈나이더스(Sandra Schneiders)와 메리 프로리히(Mary Frohlich)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Spirituality is a holistic discipline concerned with one’s spiritual and religious experience as the whole person encompassing the body and spirit, mind and will, emotions and actions. The psychological, bodily, social, intellectual, and other dimensions of the human subject are integral to spiritual experience. As a discipline, spirituality explores one’s experiences as the whole including beliefs, convictions, emotions, and actions with respect to what is ultimate, or to God. However, an artificial dichotomy between soul and body, reason and emotion, and interior and public life has often impaired the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and thus holistic spirituality as well. This essay argues that the discipline of spirituality must seek for the integration of the emotional, material, and practical dimensions of humanity into one’s approach to Christian living. The holistic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should be deeply implicated in “real” life, because “right”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and “right” practice of it cannot be separated. Valid understanding is formulated by effective practice and good practice is guided by valid understanding. Holistic spirituality involves sound knowledge of God, a tender heart being compassionate to what God feels, a sincere desire to know God’s way, and a firm commitment to accomplish God’s will in daily life. A holistic notion of spirituality will lead Christians to seek to a faithful way of constructing reality to fulfill God’s will in the world at every level and area of life.

      • KCI등재

        놀이와 기독교 영성형성교육

        주연수(Yunsoo Joo)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1 신학논단 Vol.103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role of play and its implications within spiritual formation and education. The value of play and its significance have historically been underestimated in traditional Christian culture, which tends to emphasize diligent labor and persistent work as key virtues. However, play is an essential aspect of the human being. Dutch historian Johan Huizinga insists that play is the primary formative element in human culture and defines humanity as “Homo Ludens.” In the modern era, theologians such as Hugo Rahner and Jürgen Moltmann have reevaluated the role of play, and formulated a theology of play therein based on the term Deus Ludens who, in turn, justifies the existence of a Homo Ludens. Homo Ludens is existentially analogous to Deus Ludens, as beings whose spirit is truly free and radically detachable from Worldly values. Homo Ludens are capable of self-restrainment, complete self-surrender, and the transformation of disappointment into hope and joy. Play can help develop holistic, insightful, and creative knowledge beyond the lens of scientific and analytical rationale, and thereby contribute to comprehending the true, the beautiful, and the good lying beyond superficially visible phenomena. In the current study, we will examine the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nature of play and how it can contribute towards developing spirituality. Play is based on the ability to grasp symbolism and allegorical reasoning, which are prerequisites to understanding spiritual truth. This study also attempts to contrive ways of collaborating and integrating play within the educational process for spiritual growth, which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ly abstract and intellectual approaches to Christian Education.

      • KCI등재

        공감 증진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교육

        주연수(Yunsoo Joo)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6 No.-

        2005년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비율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은 크게 감소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저령화, 조직화 되고 폭력의 정도가 극심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Olweus(1993) 등에 의하면, 학교폭력을 주도하는 학생들은 특징적으로 공감 능력의 결핍을 보인다고 한다. 공감(empathy)은 비록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타인의 감정과 심리상태, 혹은 경험을 마치 나의 것처럼 이해하고 느끼며 표현하는 능력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심화시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공감은 갈등해결과 인간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고, 공격행동과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며, 이타적 도움행동을 동기화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어 왔다. 이러한 공감 능력을 증진시키는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꾀하고 이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Barrett-Lennard(1981)는 공감을 일회적으로 끝나는 현상이 아니라 인지적, 정서적, 의사소통적 차원이 연속적으로 전개되고 순환하는 과정이라 본다. Barrett-Lennard는 이를 5단계의 순환적 공감모형으로 이론화하였는데, ‘공감적 주의집중’(empathic attentional set), ‘공감적 공명’(empathic resonation), ‘표현된 공감’(expressed empathy), ‘지각된 공감’(re-ceived empathy) 그리고 ‘공감의 순환과정’이 그 다섯 단계에 해당한다. 그의 이론은 공감을 특정 구성요소로 축소하는 편향된 시각을 극복하고 통합적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Barrett-Lennard의 이론이 주는 통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통합적 공감교육 교수학습 모형이 갖추어야 할 다차원적 요소를 5단계로 구조화하여 제시 한다: 1)상황제시-공감을 위한 준비 단계; 2)공감적 상황에서 단서를 식별하고 해석하는 단계; 3)타인의 입장에서 상상하고 감정을 공유하는 단계; 4)공감을 표현하는 단계; 5)공감행동을 모색하고 실천의지를 다지는 단계. 본 연구가 제안하는 5단계가 통합적이고 실천적인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여 다양한 기독교 공동체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Violence within the Korean school system is becoming an in-creasingly serious problem. In the face of brutal acts of violence and bullying, we feel a deep responsibility and urgent need for greater systematic and synthetic educational approaches geared towards preventing it. Empathy is one of the key elements for solving this problem. Empathy is the ability to experience the inner states of others from their position. Since it enables a per-son to feel another’s troubles and sorrow together with them, it motivates pro-social and altruistic behaviors. Recently, scien-tific research focusing on the effect and function of empathy in the fields of psychology and education have verified that em-pathy has an effect on preventing school violence by decreasing aggressive behaviors from antagonists and modifying the indif-ferent attitudes of bystanders by facilitating their moral sensi-tivity towards helping victims. Improvement in empathic ability has also contributed towards better communication skills and resolving interpersonal conflict. School violence is not a matter limited to the school environment, nor can it be resolved alone within that context. It is a social phenomenon and the whole of society, including family-school-religious groups, should co-operate towards eradicating it. The Christian community can function as a focal point for this association. In particular, em-pathy and compassion are the virtues that God has abundantly granted to human beings throughout history, and we see its capstone embodied in Jesus Christ and his crucifixion.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develop systematically designed educa-tional programs dedicated towards improving empathic ability as part of an effort to address this problem within society. Empathy is a complex concept including cognitive, affective, and expressive factors. Barrett-Lennard’s empathy cycle that proposes five phases composed of the empathic attentional set, empathic resonation, expressed empathy, received empathy, and circulation within the preceding four phases effectively captures its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insight of his theory, I suggest five steps that empathy education should encompass in order to develop all sub-factors of empathy (cognitive, affective, and communicative elements) in a bal-anced and integrated way.

      • KCI등재

        영 · 유아기 자기조절력과 도덕성 발달을 위한 기독교교육

        주연수(Yunsoo Jo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8

        기독교교육은 인지적, 정서적, 사회 · 도덕적 측면의 조화로운 발달을 목표로 한다. 도덕성 함양은 아는 것과 믿는 것을 삶의 현장에서 바르게 실천하도록 돕는 전인적 기독교교육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Thomas Lickona(1983)에 따르면 도덕성발달은 ‘선을 아는 것(knowing the good),’ ‘선을 바라는 것(desiring the good),’ 그리고 ‘선을 행하는 것(doing the good)’의 세 가지 측면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도덕성의 통합적 발달은 영 · 유아기로 부터 시작되는 자기조절력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기조절(self-regulation)은 목표 지향적으로 행동을 계획하고 수정하는 인지조절과 감정을 억제하고 조정하는 정서조절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심리과정으로서 인지, 사회 · 정서발달, 긍정적 관계형성 등 전인적 성장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기제이다(Bronson, 2000). 두뇌발달의 관점에서 자기조절력은 전전두엽 피질이 주로 담당하는 뇌의 실행기능(excutive function)을 의미하는데, 1)행동계획, 2)행동모니터링, 3)정서인식 및 표현, 4)정서억제, 5)정서조정(양옥승, 2011; 2012; 2017)의 다섯가지 기능을 함축한다. 자기조절능력이 낮으면 대인관계에서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면을 보이며, 정서 · 사회적 적응력이 떨어지고, 부정적인 정서 경향이 높으며 나아가 폭력과 일탈 등의 반사회적 행동을 할 개연성이 높다(Eisenberg & Fabes, 1992; Goodman et. al., 1993; Caspi et. al., 1996). 영 · 유아기는 신앙적관점에서 보면 영적지형도(spiritual map)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며, 또한 자기조절력 발달에 있어 결정적인 시기이기도 하다. 영 · 유아기 도덕성과 자기조절능력 함양을 위해서는 1)양육자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2)건전한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형성; 3)자기언어화(self-verbalization)를 통한 사회 · 정서적 적응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이를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한다. Christian education aims for holistic growth in cognitive, affective, moral, and behavior dimensions of a person. Holistic approach to faith development inextricably encompasses moral aspect of a human. In Thomans Lickona(1983), moral refers to an integrate entity which involves three dimensions, that is ‘knowing the good,’ ‘desiring the good,’ and ‘doing the good.’ Moral development is closely connected with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indicates a comprehensive psychological process encompassing cognitive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elf-regulation is a core mechanism, which is related to one’s wholistic growth including cognitive-affective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Bronson, 2000). Low self-regulatory capacity predicts impulsive and offensive behavior, low social-adjustment ability, instable emotional reaction, and furthermore, anti-social behavior(Eisenberg & Fabes, 1992; Goodman et al., 1993; Caspi et al., 1996). From the brain science perspective, self-regulation is associated with executive functioning of prefrontal cortex(Yang, 2011; 2012; 2017). Executive functioning includes the following: 1)behavior planning, 2)behavior monitoring, 3)recognition of emotion, 4)emotional inhibition, 5)modulation of emotions. Infancy and early childhood is a critical period in self-regulation and moral development. During this period, 1) positive interaction with a primary care-giver, 2) healthy self-esteem or self-respect, 3) development of self-verbalization and social-emotional adjustment contribute to holistic growth of a child.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 person develops major adjustive functions and forms a spiritual map which guides a basic attitude toward life and the world. Christian education should not neglect the importance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in self-regulatory, affective, and spiritual development. In addition, Christian education should offer educational resources and support to the care-givers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