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piritual Discernment and Paul Ricoeur’s Theory of Hermeneutics

        주연수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0

        Spiritual discer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ristian life. Christian spiritual discernment connotes multi-layered tiers of meanings and involves multiple dimensions within its complicated processes. God’s will cannot be searched in an only universal way. In addition, spiritual discernment has a dimension beyond empirical observation, and thus cannot be analyzed nor explained with scientific evidences or proofs. Moreover, nobody is absolutely free from self-deception, distorted ideology or diabolical illusion.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meaning can be anything, or that any interpretation is equally valid in understanding God. Ricoeur’s theory of hermeneutics, especially his idea of repeated dialectic engagements between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distanciation and appropriation, and the hermeneutics of faith and of suspicion, can guide a discerner within the interpretive process to arrive at less distorted and more valid interpretation of realizing a way and call from God. For valid discernment, both accurate evaluation of context and insightful self-understanding as a discerning subject are necessary prerequisites. Ricoeur also indicates that the goal of interpretation is to disclose an alternative world and a new mode of being through discourse with the text, rather than to simply capture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author. The discernment process may involve moments of uncertainty and of doubt, as the message of the infinite and transcendent Being is never self-evident within the finite nature of humanity. However, the transitory deconstruction of old schemes of faith and uncovering the cultural and personal distortions with suspicion during the discernment process will disclose a way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God’s will, a deeper apprehension of the world, and a new possibility of self. In this sense, spiritual discernment is a growing self-formative process.

      • KCI등재

        기독교교육과 종교적 상상력의 기능

        주연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Imagination is “an ability to form images of things,” which can expand and associate the various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by interaction of reason and emotion. In the dichotomous approach of traditional philosophy, imagination is often misunderstood as entity opposite to reason and rationality. However, imagination is different from illusion or delusion. Rather, imagination is an ability to reconstruct experiences in the past and to recreate the images or features of previous perceptions flexibly in consonance with the given context. Revelation is constructed by symbols and images which represent truth beyond physical and sensible world. Imagination is required to comprehend the profound meaning illustrated by metaphor and analogy. Through imagination, believers can realize calling of the invisible God through Scripture, and then respond to it in their everyday life. Christian education is more than simple transmission of superficial knowledge about the divine or doctrine. I claim that imagination can contribute profound, existential, and creative learning in Christian education. 상상력은 이성과 감성이 상호작용하면서 대상을 확장하고 연계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정신기능(an ability to form images of things) 이다. 전통 철학의 이분법적 접근법은 종종 상상력을 이성이나 합리성과 상반되는 허상이라 폄하해 온 바 있다. 그러나 상상력은 허구나 망상이 아니라 가상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과거의 경험을 재구성하고 재창조할 수 있는 지각, 사고, 이성, 정서, 창의성을 포괄한 정신활동이다. 본 연구는 상상력의 함양이 기독교교육을 단순한 지식전수 차원의 피상적인 교육이 아닌 심층적, 실존적, 창조적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공헌한다고 주장한다. 기독교교육의 바탕이 되는 계시(revelation)는 주로 이미지와 은유, 상징으로 구성된다. 계시가 한 객체(objects) 또는 사건(events)의 본질을 이미지와 상징으로 표현한다면, 상상력은 상징과 이미지의 여러 차원을 다양한 각도에서 심층 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독교 교육적 차원에서 상상력은 물리적이고 가시적인 차원에서는 감추어져있던 진리를 발견하게 하고, 현재 눈앞에서 벌어지는 사태들을 계시적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 또한 상상력은 계시를 실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상상력을 통해 학습자들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이 지금도 역사가운데 일하고 계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현재 진행 중인 하나님의 구원 행위에 대해 지금-여기서 응답할 수 있다. 인식주체는 상상적 활동 가운데 독립된 대상을 시·공간적, 역사적, 사회적 맥락 안에서 종합 적으로 인식하고, 과거와 현재의 경험, 객관적 인식과 주관적 인식을 통합하여 파악할 수 있다. 기록된 계시와 역사 가운데서 실존적-주체적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상상력의 기능은 곧 삶을 새롭게 해석하고 실존양식을 개조할 수 있도록 인도 한다. 자율적이고 역동적인 상상력은 신앙인들이 과거에 고착되지 않고 미래와 미지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며, 재창조의 신념이고, 새로움을 향한 비약을 가능케 하는 존재 생성의 힘이다. 기독교교육은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을 단순히 전수하고 축적하는 수동적인 활동이 아니다. 기독교교육은 학습자가 참여를 통해 영적 지식의 새로운 차원을 발견하고 존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삶을 구성해 가도록 돕는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이다. 기독교교육은 학습자의 상상적 활동을 격려하고 촉진함으로써 획일적인 틀에서 벗어나 성경이 담고 있는 무궁한 의미와 잠재적 가치를 심도 있고 창조적으로 파악해 갈 수 있도록 인도하여야 한다.

      • KCI등재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Emotion and Holistic Approach to Christian Education

        주연수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1 No.-

        Christian education should promote holistic growth of believers integrating multiple dimensions of the experience of faith including the domains of the intellect, emotion, and behavior. However, traditional emotion-reason dualism has denigrated its holistic task into the fragmented act of narrow intellectualism, overly emphasizing the acquisition of doctrinal concepts and the memorization of biblical facts. However, learning how to respond emotionally to God and to others in a way consistent with Christian beliefs and values is as important as attaining an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God. The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emotion in recent philosophy, neuro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suggests that emotion is inextricably linked with cognition and conation. This demonstrates their complex and complicated interaction and cooperation in multiple dimensions of various regions of the brain. Such studies lead us to a renewed appreciation of emotion not only in anthropology, but also in theology, challenging the traditional notion of an “unmoved mover” or “divine apathy.” With the renewed construal of emo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hristian education process should include emotional dimensions. The adequate cultivation and discipline of emotional responses on the basis of Christian belief will promote believers toward holistic progression by assisting them in making a right judgment, vividly responding to God, and motivating them to carry out Christian values in daily life.

      • KCI등재

        정서의 인지이론과 기독교적 정서 형성 교육

        주연수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40 No.-

        This article reviews recent study on affect in brain 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and then explores how to formulate and cultivate the Christian value and belief laden affective system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cognitive neuroscience and Christian education. In 1960s, appraisal theory of emotion which emphasizes influence of cognitive appraisal on emotion has been systematically developed. Moreover, since 1980s, the dramatic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includ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electroencephalography (EEG) has enabled scientists to uncover the fundamental interaction between affect and cognition. Cognitive neuroscience demonstrates that affect and cognition are inextricably interrelated: cognitive faculties such as values, goals, motivation, and interpretation deeply impact the elicitation and the regulation of emotion. The cognitive-appraisal theory of emotion views the cognitive appraisal of objects or events as crucial to determine the type, intensity, and duration of emotional response. Emotions are based on interpretive perceptions, moral norms, and values. Christians have a distinctive value system. A change in value and motivation leads to a different appraisal of an emotion-evoked situation that, once set, tends to play on different sensitivities, and thus on different modes of emotional expression. What we love, what we hate, when we rejoice, and how and what we fear, speak of who we truly are. Robert C. Roberts insists that Christian maturity and virtue should be demonstrated in affective responses such as empathy, gratitude, hope, peace, joy, contrition, and compassion. In certain situations, Christians may feel differently than non-believers because of their faith, beliefs, and values. Christian affective response can be learned and transformed through intentional and conscious edification grounded in Christian belief and value. I argues that fostering an affective disposition based on Christian values and beliefs contributes to growth in faith by connecting cognitive knowledge and practice. Christians need to learn what to fear, when to feel shame, and when to show compassion. The development of persistent Christian values and of persistent readiness to pursue emotional goals based on value is a crucial aspect in Christian formation and education. 본 연구는 최근 뇌 과학과 인지심리학에서 진행되어 온 정서(affect)에 대한 연구들을 고찰하고 기독교적 가치체계를 반영한 정서(affect) 양육의 필요성을 재고하며 이를 위한 기독교적 형성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1960년대 이후 인지적 평가가 정서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관점이 강조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정서의 인지이론이 체계적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PET),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fMRI), 뇌전도(EEG)등 의학 기술의 도움으로 정서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현대 인지신경과학은 정서가 주의집중, 의미 만들기, 정보처리과정, 기억이나 의사결정 과정, 그리고 행동조절에 밀접히 연계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감사(gratitude), 희망(hope), 평화(peace), 기쁨(joy), 뉘우침(contrition), 공감(compassion) 등 정서적 성숙과 실천을 성령의 열매로 여기는 기독교 교육 분야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인간은 천성적으로 의미를 추구하는 유기체로서, 자신의 가치와 목적에 따라 인생의 사건을 해석하고 상황을 평가하며 의미를 부여한다. 기독교인은 인생에 대한 고유한 믿음(belief)과 가치체계(value system)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특정상황을 어떻게 해석할 것이며 어떤 정서를 어느 정도 강도로 느낄 것인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Robert C. Roberts는 기독교적 성장과 덕목은 정서적 영역에서의 성숙과 직결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성령의 열매와 기독교적 인격의 성숙은 공감, 연민, 감사, 배려, 평화, 사랑 등 적절한 정서적 표현과 실천으로 드러나야 하며, 기독교적 가치관에 기반을 둔 올바른 정서 반응은 거듭난 기독교인의, 더 나아가 성화된 기독교인의 표징이다. 바른 교리교육이나 성경적 지식 전수가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부분이고 의식적인 교육행위를 통하여서만 성취될 수 있듯이, 기독교 가치-믿음 체계와 조화를 이루는 정서 반응 양식의 형성 역시 체계적으로 학습되고 양육되어야한다. 언제 기뻐하고 언제 분노하며 무엇을 수치스러워해야하는가를 습득하고 내면화하는 기독교적 정서체계의 형성은 기독교교육의 필수적인 한 영역이다. 기독교 가치관과 신념에 기초한 정서 학습은 기독교교리와 가치의 인지적 학습과 실천을 매개하는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분노와 공격성 조절을 위한 감정코칭

        주연수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7

        최근 분노와 공격성 조절에 실패하여 자행된 일련의 폭력적 사건들은 한국 사회 전체의 염려를 자아내며 정서 교육과 인성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금 절감하게 한다. 기독교교육학은 오래 전부터 신앙에 있어 인지, 정서, 실천적 측면이 통합된 전인적 성장을 교육목적으로 인식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수-학습 과정은 지나치게 인지 중심적인 내용에 치중한 나머지, 정서적-행동적 측면을 간과해왔다. 전통적 기독교교육의 교수-학습과정은 교리와 성경적 지식을 전달하는 데 집중한 반면, 감정과 충동성의 조절, 믿음의 가치에 따른 욕구와 행동의 규제 등 기독교인으로서의 인격적 성숙에 필수적인 실제적 지도와 훈련을 등한시해온 경향이 있다. 조절되지 않은 분노와 공격성이 초래하는 파괴적인 결과를 우려하며, 본 연구는 분노와 공격성의 원인과 유발에 대한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이론들을 고찰하고, 실제적인 기독교교육학적 훈육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John Gottman의 감정 코칭 5단계를 재구성하여, 다양한 신앙공동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독교적 가치와 믿음 체계를 반영한 분노와 공격성 조절을 위한’ 5단계 대화법을 고안하여 소개한다. 분노와 공격성 조절을 위한 5단계 감정코칭법은 1)공격성을 촉발하는 분노 등의 부정적 정서가 위험천만의 위기로 치닫기 전에 자신의 정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2)이 순간을 감정코칭의 기회로 포착하여, 공격적 행동을 유발하는 과도한 공격적 해석 혹은 인지 왜곡을 바로 잡는다, 3)공감적 반응을 통해 자신의 정서 상태에 대해 충분히 대화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자신의 정서에 친숙해지고 이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인도한다, 4)본인의 부정적 정서를 인정하고 적절히 표현한다, 5)분노를 인식하되 이를 파괴적이고 폭력적인 형태로 표출하는 대신, 건설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공격적인 행동이 사회적 관계에서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궁극적 목표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 아님을 깨닫도록 도와줌으로써, 이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건설적인 해결책이 무엇인지 스스로 찾아내도록 인도하는 것이다. 이상의 분노와 공격성을 조절하는 감정코칭 5단계 훈련과정은 분노나 공격성을 무조건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잘 조절하고, 적합하게 표출하며, 자기 통제력 아래 순응적으로 사용하여 건설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기독교 교육적 감정 코칭은 인지-행동적 측면과 정서 반응이 잘 협응하는 일반적 조절 뿐 아니라, 이에 더하여, 기독교적 가치와 신념, 하나님과의 관계성과 신앙적 자아정체성이 일상생활에서의 정서 반응과 잘 통합되도록 돕는 것이다. 기독교적인 정서적 성숙은 정서의 유발과 표출이 자아 통제력 아래 있을 뿐 아니라 하나님의 통치 아래 있어서, 일상생활에서 하나님의 뜻대로 정서를 조절하고, 목적 지향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서적 성숙은 일상에서의 영성 함양, 나아가 기독교적 앎과 삶이 일치하는 통전적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socio-psychological theories of anger and aggression, and suggests methods of nurturing and helping Christians to cope with and manage such effects so as to create constructive results in daily living. Christian Education has aimed to promote holistic growth within the faith of individuals by encompassing and integrating multiple dimensions of self, including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Real world educational processes have concentrated excessively on the intellectual aspect, however, while neglecting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omponents of faith. As crime rates and violence increase as a result of failed anger management,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on the necessity of character and emotion education throughout Korean society. Mature Christians are expected to manage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according to Christian values and Scriptural teachings. In order to facilitate concrete emotional maturation, this essay suggests five steps for Christian anger and aggression management within the framework of John Gottman's emotion coaching method.: Step 1, Become aware of child/teen's emotion, Step 2, See it as opportunity for intimacy and teaching, Step 3, Listen empathetically, validate feelings, Step 4, Help child/teen find words to label the feeling, Step 5, Set limits for acceptable behavior and expression of emotion, while generating options for problem-solving. While Gottman's theory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parental guidance in educating their children, I have revised it to be of use in any mentoring and nurturing relationship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Once children learn to trust their feelings, regulate their emotions and solve problems by themselves, it will also contribute for building high self-esteem, constructive conflict-resolution and positive social relationship. Concrete Emotion Coaching process leading to the integration of emotion, cognition, and practice can facilitate the holistic growth of the individuals in faith, becaus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s inextricably linked with spiritual development.

      • KCI등재

        영‧유아기 영성함양을 위한 기독교적 형성교육

        주연수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58

        Since late 20th century, study to revision spiritualty has been flourished in North America academic field. The 'spiritual theology' in traditional context of Christianity has often been fragmented by dichotomy between spirit and body; reason and emotion; the sacred and the secure; and the private and the public area of life. Recently reformulated academic approach toward spirituality, namely, 'the study of spirituality' attempts to explore spirituality in integrate and holistic manner by embracing whole aspects of human person and real life. Agreeing with holistic and integrate approach of the study of spirituality, this essay endeavors to comprehend features of relational, affective, and spiritu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of early stage. In current study, we understand Christian spirituality as transcendent and relational consciousness in relation with triune God, that is initiated by work and grace of God. In order to assist a person to construct relational consciousness of personal God and to imitate the life of Jesus Christ revealed in history by responding to God's calling to participate in divine life, Christian formation and education of spirituality should be offered during the entire life time, from birth to death. Thr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brain science, psychology, and theology, this research examines how relational and affective experiences of children influence on formation of spirituality and suggests Christian way of facilitating spirituality in early childhood. 20세기 후반부터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영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영성을 학문적으로 재정립하려는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기독교 전통에서 영성을 탐구해오던 기존의 영성신학은 영과 육, 이성과 감정, 성과 속, 삶의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이라는 경직된 이분법적 견해를 극복하지 못하였다는 지적과 함께 몇 가지 교리적 원칙을 기계적으로 삶에 적용하는 편협한 접근에 머물렀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최근 다시 영성을 학문적으로 재정립하려는 연구에서는 영성을 보다 전인적이고 통전적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차이를 강조하며, 셀드레이크(P. Sheldrake)는 전통적인 영성에 대한 탐구를 ‘영성신학’이라 부르는 반면, 최근의 영성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영성학’이라 명명하며 두 접근법을 구분 짓는다(Dreyer & Burrows, 2005). 기독교 영성은 창조자이고 궁극적 실재이신 하나님에 의해 주도되는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초월적 의식이며 관계적 연합의 의식이다. 기독교 영성형성교육은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인간이 자기를 초월하여 하나님과 인격적 관계를 맺고, 역사가운데 계시된 예수그리스도의 인격을 닮아가며,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여 신적 삶에 동참하도록 탄생부터 죽음까지의 전 생애 과정을 통해 이루어져야한다. 본 연구자는 영성학의 통합적 연구방법에 동의하면서, 뇌과학, 심리학, 신학과의 교차학제적 대화를 통해 영·유아기 초월적·관계적·정서적 경험의 특징과 영성 형성과정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어린이 영성을 함양할 수 있는 기독교적 실천방안을 모색해보도록 하겠다.

      • KCI등재

        기독교적 가치관에 기초한 정서조절과 기독교인성교육

        주연수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5 기독교교육논총 Vol.44 No.-

        In order to address the increasingly severe issues of school violence, adolescent misbehavior, and rising suicide rates, the Department of Education has distributed new policies with regards to character education within Korean school systems. Evaluations of preexist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with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suggest the importance of a wholistic approach between and through the home, school, and local community. Within this context, the Christian community may contribute an ideally accessible educational venue to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Based on neurological research concerning the interaction of affect, cognition and behavior, this essay discusses the influence of affect on attention systems, information processing, meaning generation, and behavioral control systems. Emotion is closely linked to moral development, while emotion regulation is a prerequisite to the pursuit of core Christian educational virtues: that is, love, joy, peace, patie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 control. Using the f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formulated by James Gross and Ross Thompson (situation selection, situation modification, attention development, cognitive change, and response modulat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ir application to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terweaving examples from the Biblical narrative. Furthermore, it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emotional development via learning and practice, based on the concept of Brain Plasticity and potential supporting evidence in the form of experimental results concerning neural structural changes generated by spiritual practice by neuroscientists Newberg, Davidson, and Kabat-Zinn. 학교폭력, 청소년 비행, 급증하는 자살률 등 날로 심각해지는 사회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교육부는 인성교육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며인성교육 계획안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보면 성공적인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학교-가정-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한 총체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생-교사-학부모 교육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기독교 공동체는 총체적 인성교육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필자가 주장하는 기독교 인성교육은 하나님 형상의 회복을 목적으로 하며, 정서교육, 가치교육, 도덕교육을 포괄하는전인교육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최근 뇌 과학이 규명한 정서와 인지/행동과의 상관관계, 특히 정서가 주의집중, 정보처리과정, 의미 만들기 및행동조절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정서의 기능과 기독교 인성교육에 있어 정서조절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정서는 도덕성 발달과도 밀접히 연계되어 있으며, 정서 조절은 기독교 인성교육의핵심 덕목인 사랑, 희락, 화평, 오래 참음,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등을 함양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능력이다. 본 연구는 Gross와Thompson이 제안하는 정서 조절의 다섯 가지 방략―상황선택(Situation Selection), 상황수정(Situation Modification), 주의배분(Attention Deployment), 인지전환(Cognitive Change), 반응조정(Response Modulation)―이 기독교 인성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성경의 가르침 및 사례와 연관 지어 고찰해 보겠다. 또한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포함한 정서 발달이 학습과 훈련을 통하여 촉진될 수 있는가의 가능성을 ‘뇌의 유연성’(Brain Plasticity) 개념을 토대로 살펴보고, Newberg(2010), Davidson(1997; 2003; 2004)과 Kabat-Zinn (1990; 2003)의 실험을 통해 보고된 영적 수련을 통한 뇌 신경구조의변화를 실례로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코로나세대 공적 기독교교육의 방향성 연구 : 언캐니(Uncanny)와 성육신적 연대

        주연수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3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hristian public practice in the post-COVID era, seeking to overcome the uncanny feeling caused by increased division and exclusion during the pandemic period. Firstly, we will investigate the unequal impact of COVID-19 on the labor market and examine ways to achieve economic justice in the post-COVID era. Subsequently, we will deliberate the role of Christianity in establishing publicness in the digital world and virtual spaces. Finally, viewing COVID-19 as a catastrophe caused by an anthropocentric worldview and exploitation driven by greed, we will explore the tasks of Christianity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Anthropocene. Christian public practice should fulfill its mission of care and stewardship not only in social context but also in an ecological dimension. The author proposes “planetary citizenship education” for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human species and the Earth they inhab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