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청주시립미술관의 전시 기획 변화 연구

        조혜령(Cho Hye ryeong)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21 박물관교육연구 Vol.- No.26

        청주시립미술관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달리 전시와 관람을 위해 다른 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을 고민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한정된 공간과 일정 안에서 효과적으로 전시를 보여주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전시 방법을 기획했다. 구체적으로 미술관의 내부 현황과 전시사례를 살펴보았고, 비대면 시대 전시용 실감콘텐츠 서비스의 필요성 및 소장품을 포함한 미술 작품과 자료를 가지고 공간을 활용해 구성한 디지털 전시 방법을 도출했다. 또한 미술관 공간에 맞는 실감형 전시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이는 미술작품을 실제 볼 수 없는 상황에서 감상과 경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대적 상황에 적합한 대안이라 할 수 있다. Cheongju Museum of Art (CMOA) has deliberated on the use of new media for exhibitions and viewing experiences that differ from those presented before the COVID-19 pandemic. Accordingly, an exhibition method involving digital media was devised to provide effective exhibition viewing experiences within a limited space and time frame. Specifically, the state of the museum interior and example exhibitions, as well as the need for immersive content services designed for exhibitions of the remote era were examined. A methodology for digitally exhibiting artworks from the CMOA collection and elsewhere was devised alongside referential materials that utilize the museum space. Immersive exhibition programs suited to the museum space were also proposed. At a time when artworks cannot be viewed in person, this response can be seen as proposing appropriate alternatives and solutions for remote art appreciation and experiences.

      • KCI우수등재

        영국 정원문화의 대중화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 - 19세기 왕립원예협회(RHS)의 활동을 중심으로 -

        조혜령,성종상,Cho, Hye-Ryeong,Sung, Jong-Sa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3

        영국은 정원의 역사와 문화가 대표되는 국가로서, 크고 작은 비영리 단체 및 자선단체들이 활동을 하고 있다. 이 중 RHS는 영국의 정원문화 및 산업의 저변확대에 큰 영향을 준 핵심단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RHS의 등장 배경과 전개 과정을 통해 전문 자선단체로서의 정원문화 대중화에 기여한 전개 양상과 그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세기 빅토리안 시대의 식물 수집에 대한 열정은 협회 창립의 배경이 되었으며, 영국의 시민정원문화와 관련이 깊다. 19세기 RHS의 전개양상과 정원문화 대중화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19세기 식물사냥꾼들의 해외 파견을 통한 이국적 식물의 전문적인 도입은 수집과 표본작업, 기록 등을 통해 전문적인 식물연구를 지원하는 단체로 발전되었으며, 이는 영국 내 원예기술의 발달, 묘목업의 성장 등의 결과로서 정원문화가 대중화되기 위한 기반 틀을 마련하였다. 둘째, 원예 및 가드닝의 전문서적의 출간은 로우든의 협회 가입 시점으로부터 실천적인 정보와 내용들이 편집됨으로써 대중적(특히, 여성과 중산계층) 독자 폭을 넓힐 수 있었다. 그리하여 생산 활동에 소외되어 있던 여성들의 가정적 원예활동은 새로운 정원 양식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셋째, 식물수집 전시를 통해 회원들과 소통하고자 했던 협회의 활동이 여러 형태의 축제로 변형되어 이어져 오다 지금의 첼시플라워쇼를 탄생시켰다. 첼시플라워쇼는 현재까지 세계 정원문화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영국 정원문화의 아이콘이다. 넷째, 이러한 RHS의 활동의 과정과 19세기 영국의 근대성은 독특한 영국만의 대중적 정원양식을 이끌어 냈으며, 이는 매우 실천적인 정원술을 요하는 영국 중산층 가정 정원의 형태로서 대중적이면서도 영국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RHS의 역사와 활동들은 결국 정원의 나라로서의 국가적 위상과도 연결되며, 우리에게 시민 중심의 정원문화 정착을 위해 지향해야할 가치 및 실천방안의 단서를 제시해 준다. RHS is a core organization with huge influences on the expansion of the base for the garden culture and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rofessional charity's role through the appearance background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RHS. The passion for plant collection in the Victorian Age of the $19^{th}$ century became the background of establishing the society. Such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root of the society are deeply related to the British civil garden culture. The consideration of the forming process of RHS and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professional introduction of exotic plants by plant hunters was developed into an organization supporting professional plant research through collection, sampling, and records,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horticulture techniques, growth of plant nursery businesses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civil garden culture in the UK. Second, after John Loudon was involved in RHS, inspired by the press editing more practical information contents, middle-class and women became new patrons to gardening. Therefore, the care of gardens became a source of agreeable domestic recreation, especially to the female sex. Third, $19^{th}$ century plant collection and exhibition was seen in the Chelsea Flower Show which a key role beyond the UK garden culture. Fourth, those acts of RHS and modernity in $19^{th}$ developed British middle-class domestic gardens which have the character of the ordinary and national garden style in the UK. Such history and activities of RHS are connected to the national status as a country of gardens, which suggests clues to practical measures and values we should aim for in order to settle citizen-centered garden culture.

      • KCI우수등재

        코티지 가든에 표상된 영국성

        조혜령,Cho, Hye-Ryeong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1

        오늘날 대중들이 만드는 일반적인 화단의 형태나 식물 가꾸기 및 가드닝 활동은 영국의 코티지 가든(Cottage Garden)의 원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코티지 가든은 근대 영국에서 발생된 대중적 정원양식으로 민속성(Ethnic sense), 토착성(Vernacular)을 비롯하여 특유의 영국성(Englishness)을 함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0여 년 간의 영국의 근대적 움직임을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 속에 출현한 코티지 가든의 발생 배경과 그 특징 고찰하여 코티지 가든이 내포하고 있는 영국성을 읽어 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며,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자유와 풍경을 사랑하는 영국인의 자연관은 애국주의 핵심요소로 작동하여 전원적 잉글랜드의 보존과 연결된다. 이러한 시골에 대한 영국인들의 이상(Ideal)은 다양한 문학 및 예술적 산물로부터 영국인의 전원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식물수집과 공급의 활성화와 함께 새로운 정원의 형태인 코티지 가든을 발생케 했다. 둘째, 초기 코티지 가든의 형태는 도시화에 따른 중산계층의 교외 이주로 인하여 채원이 존재하는 자급농원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나, 다양한 근대사회의 상황과 맞물려(공예진흥 운동, 유적보호 및 고건물복구운동) 예술성과 지역성, 토착성, 생태성을 겸비한 정원의 형태로 진화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된 와일드가든은 영국의 야생들판과 숲을 재현한 정원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정원디자이너들에게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영국성이 투영된 코티지 가든은 도시계획, 플라워쇼의 주제로 등장하며, 영국을 상징하는 문화로 존재한다. Gardening activities, plant raising, and general flowerbeds the public makes today can be found in the original form of cottage gardens in the United Kingdom. A cottage garden is a popular garden style of modern Britain, implying unique Englishness including ethnic sense and vernacular.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odern movement in the United Kingdom in the past 200 years and read Englishness of cottage gardens through style differentiation and background of occurrence of cottage gardens appearing in this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view of nature of the Englishman loving freedom and landscape acts as a key part of patriotism and is connected to the preservation of idyllic England. For this ideal of the Englishman of the country, idyllic British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various literatures and artistic fruits; cottage gardens, that is a form of new garden, were made with invigoration of supply and collection of plants. Second, an early form of cottage gardens was the domestic garden, in which there is a vegetable garden by middle-class move to a suburb according to urbanization, but evolved into a form of garden having both artistry and regionality, vernacular,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situations of modern society(handicraft promotion movement, preservation of remains, and ancient building restoration movement). Wild gardens occurring in this process are a type of garden realizing wild fields and forests in the United Kingdom;they have made a big impact on many garden designers up to now. Cottage gardens, reflecting a variety of Englishness, is a subject of city planning and flower shows and is a culture symbolizing the United Kingdom.

      • KCI등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원도시 개념의 변천과 함의에 관한 연구

        박재민(Park, Jae-Min),성종상(Sung, Jong-sang),조혜령(Cho, Hye-Rye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7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8 No.2

        과거의 개념이며 이론으로 여겨졌던 정원도시가, 최근 세계 곳곳의 도시와 국가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원도시의 이론과 사례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하는 현대도시에 제공하는 함의와 시사점을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정원도시는 도시산업화에 따른 트라우마의 ‘치유’, 자연과 고향에 대한 ‘향수’, 정원과 같은 아름다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시민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기위한 아름답고 안전한 도시 구현에 상응하는 소망의 경관이라 할 수 있다. 초기 정원도시는 하워드의 사회적 공동체 도시에서, 미국식 자본주의적 기능도시로 발전하여, 최근에는 정체성으로서의 정원도시로 진화하였다. 이러한 변천과정을 토대로 살펴보면, 정원도시는 이상적 삶의 환경을 의미하는 ‘상징’, 도시의 그린인프라와 건강, 복지를 위한 ‘기능’, 그리고 시민 참여를 통한 ‘실천’을 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정원도시를 통해, 최근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 및 그린인프라 계획, 시민참여 방안 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Garden City that used to be considered as a theory of the past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again from cities and states in the world. By analyzing the theory and cases of garden city, this study shows the value and implications for modern city seeking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arden city was started to provide ‘healing’ of trauma caused by the early industrialization, ‘nostalgia’ for nature and hometown, and beautiful ‘environment’ like garden, which could be the landscape desired by people for the realization of a beautiful and safe city where citizens can enjoy happy life. On the other hand, Garden city has been developed from Howard’s social community city to the sub-urban city, which has been recently evolved to Garden city as identity. Based on such a transitional process, garden city was pursuing the ‘Symbol’ meaning of the ideal life and environment, ‘Function’ for green infrastructure of city and recent health/welfare, and ‘Action’ through citizens’ participat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of measures for the recent urban regeneration, green infrastructure plan, and citizens’ participation, through garden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