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적 자본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조일현(Ilhyun Jo),조남신(Namshin Cho)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9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1 No.2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들의 사회적 자본이 지식공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지식경영과 학습조직 전략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을 구조적 차원, 관계적 차원, 인지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세 구성차원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23개 기업 229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결과 사회적 자본의 세 구성차원은 모두 지식공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자본을 통한 지식공유의 중요성과 경쟁우위를 위한 사회적 자본의 배양 및 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among the structural, relational, cognitiv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Nahapiet and Ghoshal(1998) identified thre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nd theoretically justified how each of these dimension facilitate the exchange and combination of intellectual capital. Through extending this framework, our current study developed a research model, formulated specific hypotheses to empirical test. The study utilized data on 229 respondents working at 23 companies in Korea and applied hierarchical regression techniques to test the hypothesis. The findings of research indicate that social network as structural dimension, trust as relational dimension, sharing vision as cognitive dimension of social capital had positive effects directly on the knowledge sharing. This article represents an attempt to move from a conceptual view of social capital to a more concrete understanding of construct and provides explicit empirical support for theoretical framework of social capita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 a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조직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일현(Ilhyun Jo)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3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상황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혁신행동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은 임파워링 리더십의 역할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의 핵심요소인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며 특히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을 연결하는 주요 경로로서 지식공유의 역할과 이 과정에서 창의적 조직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지식공유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궁극적으로 혁신행동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창의적 조직분위기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이를 통해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의 미치는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실증적 매커니즘을 파악한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34개 기업 589명 대상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은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식공유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조직분위기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지식공유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은 혁신행동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킬 뿐 아니라 지식공유의 증가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궁극적으로 혁신행동의 향상에 기여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창의적 조직분위기는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킬 뿐 아니라 지식공유의 증가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혁신행동의 향상에 기여하므로 기업현장에서 임파워링 리더십과 지식공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아울러 창의적 조직분위기에 따라 임파워링 리더십에 의한 지식공유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혁신행동을 위한 지식공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어떠한 조직적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혁신행동 창출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기업성장을 위한 리더십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 결론에서는 실증결과의 요약과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실무적 의의와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novative behavior is essential for leader’s excellent performance and effective organizational functioning and this important discretionary behavior is based on how they receive treatment from their lead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empowering leadership, innovative behavior, knowledge sharing, and organizational creative climate.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employee’s knowledge sharing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And also examined organizational creative climate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Based on theoretical constructs linkag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ereafter,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by postal mails or direct visits using a set of questionnaires. All of the research variables were measur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ranging from 1 = strongly disagree to 5 = strongly agree). This survey was administered to employees working in 34 firms, 589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n EFA & CFA for the validity test and Cronbach’s α test for the reliability test. And th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were used for testing hypothese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and mediating model analysis exhibited that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was partially mediated by knowledge sharing. We also found that organizational creative climate in organiz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such that empowering leadership is more positively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when organizational creative climate is higher.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 KCI등재

        고몰입작업시스템을 통한 조직 양면성 향상 : 사회적 자본과 혁신지향적 조직문화의 역할

        양재완(Jaewan Yang),조일현(Ilhyun J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2 인사조직연구 Vol.30 No.2

        최근의 경영환경 불확실성 속에서 조직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보유자원을 전략적 관점에서 관리하고 개발하며,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조직은 기존사업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활용(exploitation)과 새로운 사업 기회를 포착하는 탐색(exploration)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조직 양면성(organizational ambidexterity)의 확보를 통해 조직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를 효과적으로 창출할 수 있다. 조직 양면성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효과성 검증에 치중하고 있으며, 조직양면성의 원천이나 이를 확보하기 위한 과정적 측면에 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에서 조직 양면성의 원천으로 제시되고 있는 고몰입작업시스템과 사회적 자본에 관한 문헌을 조직 양면성 확보의 관점에서 통합하고 연구모델을 수립하여, 조직양면성 확보에 관한 보다 깊은 이해와 통찰력 함양에 기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고몰입작업시스템, 사회적 자본, 혁신지향적 조직문화가 어떠한 프로세스와 조직의 맥락을 형성하며 조직 양면성 확보에 기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1) 고몰입작업시스템이 조직양면성에 미치는 영향과 2) 사회적 자본이 고몰입작업시스템과 조직 양면성의 사이에서 가지는 매개효과, 3) 조직의 혁신문화가 사회적 자본과 조직 양면성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 기업패널자료(HCCP: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를 사용하여 427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고몰입작업시스템은 조직 양면성의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뿐 아니라 사회적 자본을 통해 조직 양면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 분석은 혁신지향적 조직문화가 사회적 자본과 조직 양면성의 긍정적 관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업성장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 분석결과에 관한 비판적인 시각과 추가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한층 더 강화하였다. In the current uncertain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s must manage and develop their resources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to achieve their goals and pursue continuous innovation. Firms can effectively pursue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which is indispensable to creat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by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the exploitation of existing business operations and the exploration of new business opportunitie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examining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rather than on finding the sources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or understanding the process and context necessary to acquire i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a better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by integrating the literature of high commitment work systems (HCWS) with the literature of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Specifically, we tested 1) the direct effect of HCWS o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2)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between HCWS and organizational ambidexterity,and 3) the moderating role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ambidexterity to understand how HCWS,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work together toward an organization’s acquisition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Our tests with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data (2015-2017) showed that HCWS enhanced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through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Moreover,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ambidexterity.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 양면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인적여유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진호(Jinho Park),조일현(Ilhyun Jo)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1 창조와 혁신 Vol.14 No.4

        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각종 자원을 개발하고 전략적 관점에서 관리하며, 혁신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은 현재의 보유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활용(exploitation)과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는 탐험(exploration)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조직 양면성 (ambidexterity)의 확보가 필요하다. 조직이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생존해가는 해법으로서 조직 양면성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조직 양면성이 기업의 재무성과와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한다. 특히 조직 양면성과 재무성과 및 혁신성과와의 관계에서 인적여유자원(HR slack)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하고자 한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 기업패널자료 (HCCP: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와 한국신용평가자료KIS: Korea Investment Service)를 통합 사용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 양면성은 기업의 재무성과와 혁신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여유자원은 조직 양면성과 재무성과 및 혁선성과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양면성이 기업의 재무성과와 혁신성과를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며 그 과정에서 인적여유자원은 조직 양면성과 재무성과의 관계에 부(-)의 조절효과를 가지며 조직 양면성과 혁신성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정(+)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 양면성의 성과창출 프로세스를 인적 여유자원과 함께 통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기업성장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설정하는데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 결론에서는 실증결과의 요약과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실무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Strategy management studies are rapidly growing to uncover the mechanism betwee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nd firm performance.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researches that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which affect firm performance, it is not easy to find the researches of integrated perspective generated by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This empirical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HR slack, financial performance and innovation performance. We investigated how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ctivities influence the increase in financial performance and strategic performance. In addition,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HR slack o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 strategy performance. To test our hypotheses, we used panel data by integrating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data(2009~2015) and financial data(KIS). As a result,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strategy performance. And HR slack have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an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are to identify the role of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HR slack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dentifies mechanism between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and financial performance/innovation performance.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