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란초기 해전의 실상과 조선수군의 전력

        조원래 조선시대사학회 2004 朝鮮時代史學報 Vol.29 No.-

        Looking into the tendency of existing study on naval battle during Imjin-War, the previous studies were primarily focused on the research of the personal activities of Yi Sun Shin, thus the situation in the war and the main cause of the defeat were not properly explained by scientific analyses. It is true that there were no comparisons between two nation's naval forces. Of course, a partial research was once made about how both the battle lines and firearms were formed between the two but not comprehensively. It is a fact that many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centered on the research of the naval activities of the famous Admiral Yi Sun Shin. As a result, there have been no comprehensive investigations about what the detailed-situations were like and why the Choson navy was overwhelming while Japanese navy was defeated. With this regard, this study was launched to compare and assess the each nation's naval forces by analyzing both the whole situ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navy in Imjin year (1592). By analysing this, we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prove not only the cause of the Choson navy's triumph but the Japanese's defeat. Hence, we first examined the previous study of Imjin-War, and then contemplated the two countries' naval movement, positions, whole situation as well as the procedure of Choson navy's defeat and its results. After that, for the ways to compare the two nations' naval forces, we examined the navy arrangement systems and military organization at that time, and later we examined the battle line and firearms of the two countries. By assessing this, we verified that a big gap was laid between two nations' naval forces and whole military forces. That is to say, it was revealed that, for the Japanese navy, they started Imjin-War in the condition without both official naval forces and preparation for the battle lines at sea.

      • KCI등재

        임란 초기 전라좌의병과 임계영의 의병활동 - 전라도 근왕의병의 활동 사례 -

        조원래 조선시대사학회 2011 朝鮮時代史學報 Vol.57 No.-

        임진왜란시 전국적으로 봉기하여 일본군과 싸운 의병의 주류는 鄕保義兵이었다. 전라도를 제외한 전국이 일본군의 침략을 받은 상태에서 자연히 출신지역별 의병전투가 전개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전라도의 경우엔 북부의 일부 산간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보전되었다. 따라서 임진왜란을 극복함에 있어서 나라에서 믿는 바는 곡창 전라도의 물력과 인력 뿐이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당시의 전라도는 7년전쟁의 병참기지 역할을 수행하였고 도내에서 일어난 의병 또한 향토방위전이 아닌, 국토방위전의 활동을 펼쳐야 했었다. 도성수복을 위하여 경기도로 북상하여 침략군과 싸우거나, 적세가 치성한 경상도에 진군하여 失地恢復을 위한 의병전투를 전개하였다. 이른 바 勤王義兵의 활동을 펼친 뚜렷한 예가 전라도 의병이었다. 1592년 7월 전라도 보성과 장흥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임계영 휘하의 전라좌의병은 최경회 휘하의 전라우의병과 함께 연합전선을 이룬 가운데 경상우도에 진군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이들의 主攻戰線은 거창․성주․개령․선산지역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성주 개령지역에서 계속된 전투에서 거둔 전과는 매우 컸다. 개전 초부터 毛利輝元(모리 테루모토)와 桂元綱(카쓰라 모토츠나) 휘하의 일본군 주력부대가 소굴을 이루고 있었던 성주 개령일대를 수복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임진년 12월 14일에 벌어진 성주대첩에서는 성내에 진치고 있던 일본군을 들판으로 유인한 후, 현지의 관군과 향보의병이 모두 전투를 기피한 상황에서, 전라좌의병 독력으로 적병을 거의 섬멸하였다. 당시 이 지역에서 세운 전라좌의병의 뚜렷한 전공은 현지의 의병지도부와 비변사의 평가에도 잘 나타나 있다. 전라좌의병장 임계영은 16세기 전라도 사림파 가문의 일가였던 장흥임씨가의 인물로서 선조 초에 문과에 급제하여 진보현감을 지낸 전직문관이었다. 그는 65세의 노령에 의병을 일으켜 천리 밖에 떨어진 경상우도의 산간지역에서 의병활동을 계속하였으며, 성주와 개령지역을 탈환하였을 때는 66세의 고령이었다. 특히 그가 이끈 전라좌의병의 작전기간이 겨울 추위가 한창이던 때, 설한의 동토에서 진행된 악전고투의 의병항쟁이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임란 초기 전라좌의병과 임계영의 의병활동을 통해 본 근왕의병의 활동여건은 향보의병에 비하여 큰 차이가 있었다.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서 펼친 군사활동이었다는 점에서 먼저 군량조달과 병력충원의 여건에서부터 현지 향보의병과는 크게 달랐고, 매우 불리하였다. 뿐만 아니라 의병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갖가지 어려움이 뒷따른 가운데서 경상우도의 실지회복에 공헌했던 것이 전라좌의병의 근왕활동이었다. 아울러 전략전술면에서 독특한 전법을 구사한 것도 전라좌의병 지휘부였다. 군사행정과 전투지휘를 문관출신의 의병장과 무재가 뛰어난 副將이 각기 분담하여 의병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것이다. 즉 실전에서는 항상 부장 張潤이 정예병 수백명을 이끌고 신속하게 적진을 공격하는 형태를 취하였고, 노의병장은 전투현장에서 가까운 본진에 위치하여 군수보급과 행정업무를 총괄하였다. 이것은 곧 민병조직의 비정규군이 갖는 취약성을 보완, 의병의 전투효과를 극대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임란 초기의 의병활동에서 보여준 독특한 유형의 의병전략이었다는 점에서 주목되 ...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loyal troops who uprose and fought against Japanese army were mostly local loyal troops (鄕保義兵: protecting the local area). Since all of the national territory except Jeolla-do was invaded, it was natural to have local battles by loyal troops. However, most areas were protected except for a part of the northen mountainous areas in Jeolla-do which was the breadbasket. The nation was relying on material and human powers of Jeolla-do in order to overcom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During the war for 7 years, Jeolla-do served as a logistics base, and the loyal troops of honam area did not only serve as local troops but protected the nation. They came north to Gyeonggi-do to fight the capital back or advanced to Gyeongsang-do where enemies were vigorous to recover the lost lands. The only national loyal troops (勤王義兵 : protecting the whole nation not just the region) were honam loyal troops. Jeolla left loyal troops (全羅左義兵 : loyal troops in the left Jeolla-do area) under Im Gye Yeong(任啓英) uprose based on Boseong and Jangheung area of Jeolla-do in July 1592 built the united front with Jella right loyal troops (全羅右左兵 : loyal troops in the right Jeolla-do area) under Choi Gyeong Hoi(崔慶會) to advance to right Gyeongsang-do(慶尙右道) and fought with the Japanese army. Their major front was Geochang, Seongju, Gaeryeong and Seonsan area, and especially the result of the battle in Seongju and Gaeryeong area was great because they recovered those areas where the major Japanese troops under Mori Terumoto(毛利輝元) and Katsura Mototsuna(桂元綱) were domina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outbreak of the war. Especially in Seongju Great Battle(星州大捷) on December 14, 1592, Jeolla left loyall troops independently destroyed almost all enemies by luring the Japanese army that were inside the castle to the field without the help of local royal forces and loyal troops. This clearly distinguished service of Jeolla left loyal troops in war is well recorded in the evaluations of local loyal troops leadership and bibyeonsa (the Office of Border Defense). Im Gye Yeong, the commander of Jeolla left loyal troops, is from Jang Heung Im family which was a Sarim group of Jeolla-do in 16th century. He was a former civil servant who was once jinbohyeongam(眞寶縣監) after passing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in the early Seonjo Dynasty. He gathered the loyal troops at the old age of 65 and continued resisting the Japanese army in the mountainous right Gyeongsang-do area about 390km away. When he recovered Seongju and Gaeryeong areas, he was 66. It is worth of notice that the battle time of Jeolla left loyal troops lead by him was in the middle of winter to make the resistance battles tough fights. The activities of Jeolla left loyal troops and Im Gye Yeong during the earl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activity tendency of loyal troops serving the King is very different from it of local loyal troops. Since they carried military activities in geographically remote places, they had difficulties of food supplies and reinforcing very much unlike local troops. Against all difficulties that can collapse the morale of loyal troops, Jeolla left loyal troops served the King by fighting to recover the right Gyeongsang-do. Also, the command of Jeolla left loyal troops showed unprecedented battle strategies. The commander who was a former civil servant in age 65 and the young general with great martial arts skills each directed military administration and direction of actions to lead successful activities of loyal troops. In other words, at the battle sights, General Jang Yun lead 200 or 300 elite soldiers to attack the enemy's position quickly, and the old commander stayed in near military headquarters to handle military supplies and administration affairs. It fundamentally supplemented weaknesses of militia irregular troops and maximi...

      • 이충무공과 해상의병

        조원래(趙湲來)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

        임진왜란 당시 조선왕조는 상비군으로서의 관군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였다. 물론 수군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작전 기능상 육상군과는 차이가 있었던 수군의 경우 기본적으로 바다에 익숙하지 못하거나 선박에 적응하지 못한 군사라면 수군일 수 없고 해전에 참전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므로 수군은 산간 내륙지방에 거주하는 군사들과는 무관했던 반면에 평소 바다에 익숙한 연해지역 출신의 군사들로 편성되게 마련이었다. 따라서 乱前부터 軍政不実에 기인하여 제대로 정규군이 갖추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해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당장 두가지 조치가 선행되어야 했다. 하나는 행정력을 동원하여 군적에 오른 軍役 대상자를 捜括함으로써 정규군을 확보하는 일이었고, 다른 하나는 연해지역 士民들이 자발적으로 해전에 참전하거나 후방지원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수군전력을 보강하는 것이었다. 전라좌수군이 실전을 주도하여 거듭 승첩할 수 있었던 요인의 하나가 바로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7년의 전쟁과정에서 무엇보다도 중시했던 것이 이 두가지 문제였으니 그의 장계와 난중일기의 내용이 그 같은 사실을 입증한다. 그런데 자발적인 참전이나 후방지원을 의미하는 것이 바로 의병활동인데 임란 당시 해전에 있어서는 의병활동이 없었는가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이에 대한 관심을 갖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수군실체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였다. 주로 수군지휘부의 전쟁능력만을 강조해 왔을 뿐이다. 따라서 임란의병은 육상에만 존재한 것으로 인식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전에서도 전라좌수군과 결합된 의병이 존재하여 활동했던 것이 사실이다. 즉 정규군이 아니면서 자발적으로 일어나 육상에서 싸운 군사를 의병이라 하듯이, 이와 구별하여 연해지역에서 봉기하여 전라좌수사 이순신의 지휘를 받으면서 해전에 참전했던 군사들을 해상의병이라 부른다. 이것은 반드시 해상전투에 참가한 의병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해상전투와 연계되어 해안지역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했던 군사들 역시 해상의병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진왜란사 인식의 문제점과 연구과제

        조원래(Jo. Won-rae)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6

        The most critical flaw i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Imjin-War is the erroneou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materials, which is the biggest reason that has hindered the progress of research on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most needed materials in terms of historiography are not dispersed evenly over Korea, Japan and China, as it is commonly speculated, but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found in historical documents of the Chosun Dynasty in Korea. Therefore, based on extensive collection of historical documents and diverse war journals compiled at the time by the Chosun Dynasty and court records in Seonjo-Sillok, there should be comprehensively re-examination of and new researches o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addition, what is most critical for proper understanding of Imjin-War is to accurately ascertain the reality of the 7 year war. Why did militia lead the battle during the early period of war, not the regular forces of the court? Why was Japanese navy defeated battle after battle by the Chosun navy? What was the objective of Jeongyu Reinvasion by Japanese force? How was it different from the first invasion? There must be proper answers to these questions. In the early phase of the invasion, Japanese captured the capital city of Seoul only after 18 days after the completely lopsided victories over Chosun forces in a series of battles. The primary reason was absence of regular standing army of Chosun. They did have what was called government force , but it was not an army of trained soldiers. They were just soldiers comprised mostly of farmers conscripted by government official at the outbreak of war. They were not very different in terms of quality and composition from the army of militia led by Seonbi, Chosun scholars during the war. The Chosun Dynasty of the 16th century did not have the standing army of trained soldiers, which rendered them helpless during the early phase of Japanese invasion and therefore the privately organized militia led the war. Another issue that should be critically re-examined in the study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s that Japanese invaders had started a reckless war without being properly equipped with battle ships and weapons of naval warfare despite the fact that they were crossing the strait to invade Chosun. In addition, there should be more systematic research on how Chosun navy came to have such a powerful traditional naval power incomparable to that of Japan, the reality of Chosun's navy organization and Panoksun battle ship with firepower. In addition, the stories of naval battles between both countries must be recorded in history textbook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at the Chosun Dynasty was a traditional naval power in East Asia. Because there has been almost no study on Jeongyu Reinvasion, proper understanding of how brutal the effect of war was at the time was not achieved. Joengyu Reinvasion was retaliation against Imjin Invasion that occurred prior. It devastated the entire region of Jeolado province, the fertile agricultural ground. However, due to lack of researches on the reality of the reinvasion, it has been understood only in terms of the Great Naval Battle of Myeongrang, which occurred at the very end of the war. There has been little awareness of how brutal the outcome of the reinvasion was as a result of thorough retaliation. There should be more thorough studies on how Jeongyu Reinvasion was an invasion with utter cruelty and brutality unprecedented in history of wars in the world, and that Japanese invaders committed indiscriminate slaughter of ordinary people-old or young, man or woman- according to the order of Hideyoshi, cutting off nose and ears from the dead and from even living people without discrimination. 기존의 임진왜란사 인식의 맹점 가운데, 가장 먼저 지적되어야 할 것은 바로 그릇된 사료인식의 문제이다. 잘못된 사료인식이야 말로 충실한 임진왜란사 연구를 저해한 요인으로 작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사 연구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사료들은, 흔히 생각하고 있는 것처럼 한 중 일 3국에 공히 분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조선측의 1차사료들이 집적된 한국의 문헌들이다. 따라서 당대에 이루어진 조선측의 방대한 문집자료들과 다양한 전쟁일기류, 그리고『선조실록』중심의 관찬사료들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여 새로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올바른 임진왜란사 인식을 위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7년전쟁의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문제이다. 이를테면, 왜 조선측에선 정규군이 아닌 민병이 전투를 주도하였으며, 일본군은 해전에서 왜 조선수군에게 연전연패를 거듭하였는가? 그리고 정유년 일본군의 재침목표는 무엇이었으며, 당시의 전쟁양상은 1차 침략시와 어떤 차이가 있었는가? 이와 같은 물음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개전 초기에 조선측이 일방적인 패퇴 끝에 불과 18일만에 수도 서울을 내놓았던 원인은 훈련된 정규군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관군이란 것이 있었지만 이것은 평소에 훈련된 국군이란 뜻이 아니었다. 관군이란 전쟁이 발발한 후에야 관리가 농민들을 모집하여 지휘했던 군사들이었을 뿐이다. 즉 비관인 출신의 선비들이 지휘했던 민병(의병)이란 것과 성분상 차이가 전혀 없었던 것이 당시의 관군이었다. 16세기의 조선왕조는 훈련된 상비군을 보유하지 못했던 상황에서 임진왜란을 당하였고, 따라서 민간에서 일어난 비정규군, 즉 의병이 전쟁을 수행했었다. 한편 섬나라 일본의 침략군은 바다를 건너 쳐들어오면서도 사전에 제대로 된 군선과 해상무기조차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무모한 침략전쟁을 일으켰으니, 이 또한 임진왜란사 연구에서 깊이 재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와 함께 조선수군의 전통적인 해상전력이 일본군과는 비교될 수 없을 만큼 막강했던 배경과 수군의 조직실체, 판옥선과 함재화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양국의 해전실상들을 역사교과서에 기술하여 조선왕조가 전통적인 해상강국이었음을 새롭게 인식시켜야 함은 물론이다. 정유재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로 인해 당시의 전쟁피해가 얼마나 참혹하였는가에 대한 역사이해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정유란은 임진년의 제1차 전쟁에 대한 보복전쟁의 성격을 띤 재침전쟁이었고, 곡창지대인 전라도 전역을 초토화시킨 전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침의 전쟁실상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 못함에 따라 명량해전이 오직 대첩으로만 이해되었을 뿐, 그 결과가 철저한 보복으로 이어져 최악의 전쟁피해를 불러왔다는 사실을 알 수 없게 하였다. 정유재란은 세계전쟁사상 유례가 없는 잔혹한 침략전쟁이었다는 사실, 히데요시의 작전명령에 따라 일본의 침략군이 조선의 부녀자와 노약자들까지 잔인하게 살륙하였을 뿐 아니라 닥치는 대로 귀를 베고, 코를 절단하는 만행들까지 자행된 구체적 사실들이 밝혀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