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상품화된 젓갈의 명칭과 범주: 곰소 젓갈시장의 사례 연구

        조숙정 ( Sook Jeong J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0 韓國文化人類學 Vol.43 No.2

        이 글은 곰소 젓갈시장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상품화된 젓갈의 명칭에 반영된 민속 분류체계를 인지인류학적으로 기술·분석하고 있다.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수산 동물을 소금에 절여 삭힌 음식의 범주를 지시하는 명칭으로 `젓`과 `젓갈`이 교체적으로 사용되는데, 그 사용 영역에서 일정한 구분이 있었고, 토착 명칭인 `젓`이 `젓갈`로 대체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젓갈의 상품명으로 사용되는 어휘적 명칭은 49가지, 젓갈 품목은 55종류가 파악되었다. 55종류의 젓갈들은 민속분류법을 이루는 의미관계로 조직되었는데, 판매 형태에 따라 `일반젓갈`, `무침젓갈`, `새우젓`, `액젓`, 그리고 `게장` 등 5가지 범주의 구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1990년을 전후로 판매 젓갈의 범주가 2개(젓과 새우젓)에서 5개로 세분화된 것은, 젓갈의 전통적인 용도와 소비의 편리성이 상품화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수용됨으로써 발생한 현상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젓갈의 원료와 절임원의 차원에서 일반젓갈이 젓갈 범주의 원형을 구성하였지만, 새우젓과 액젓, 무침젓갈의 판매량이 높기 때문에 젓갈업체에서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었다. 따라서 산업사회인 한국의 소매 중심 젓갈시장은 무침젓갈, 새우젓, 액젓 범주를 중심으로 구조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반찬용 젓갈인 무침젓갈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folk classification of commercialized Gomso Jeotgal (Korean salted-fermented seafoods), and proposes an ethnosemantic model which reveals a system of cultural knowledge corresponding to the lexical terms. Terms Jeot and Jeotgal are used to refer to the food categories of Korean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The semantic domain includes the Korean foods categorized as seafoods such as fish, shrimp, shellfish, squid, crab, and so on when salted and fermented. The terms are exchangeable, but are used somewhat more regularly in some different areas, and Jeotgal is used with a higher frequency than Jeot, a traditional or native term. In this research 55 kinds and 49 terms of commercialized Jeotgal were collected. All 55 categories of Jeotgal are encompassed into 5 superordinate categories, Ilban-Jeotgal(normal salted seafood), Muchim-Jeotgal(salted and seasoned seafood), Saewoo-Jeot(salted shrimps), Aek-Jeot(liquid of salted seafood), and Ge-Jang(soy sauce seasoned raw crab), all of which refer to sold forms. In other words, the semantic organization of food types is characterized by a folk taxonomy. Korean salted seafoods were sold as two forms of Jeot and Saewoo-Jeot in the retail market, which were subdivided into five categories since around 1990. This subdivision resulted from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food functions,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food consumption. Ilban-Jeotgal seems to be regarded as the most prototypic category of this food domain, but Muchim-Jeotgal, Saewoo-Jeot, and Aek-Jeot are the most frequently sold, so they are treated and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for marketers. Hence, the retail markets of Korean salted seafoods are organized around these categories. Of all the categories, Muchim-Jeotgal as a side dish is currently becoming more important and salient.

      • KCI등재

        흑산도 어류의 민족생물학적 분류에 관한 연구: 19세기 전통지식의 지속과 변화의 관점에서

        조숙정(Jo, Sook-Jeo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25 No.1

        이 글은 흑산도 어민들의 해양 지식에 관한 연구로서, 특히 흑산도 어류의 민족생물학적 분류 방식을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21세기 초 흑산도에서 수행한 경험적 자료에 대한 분석과 19세기 초에 저술된 『자산어보』에 대한 문헌 자료 분석을 비교 검토한다. 그럼으로써 조선 후기 흑산도 어류의 명칭과 분류에 대한 전통지식이 200여 년이 지난 현대 흑산도에서 어떻게 지속되고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21세기 흑산도 어류의 민족생물학은 놀라울 정도로 『자산어보』에 기록된 그것과 많은 부분에서 닮아 있었고, 변화가 상당히 느리게 전개돼 온 것으로 보인다. ‘괴기’란 물에 사는 동물로서 몸에 비늘이 있고 지느러미로 헤엄쳐 다니는 것으로 인지된다. 이 어류의 원형성을 토대로 고래류와 오징어류는 21세기에도 여전히 ‘괴기’의 범주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상괭이, 범고래, 돌고래가 ‘고래’로 인지된 것은 상대적으로 근래의 변화로 밝혀졌다. 한편, 원형성에서 먼 주변부에 위치했던 새우, 해파리, 해삼, 군소, 미더덕 등은 ‘괴기’ 범주에서 배제되었다. 육지에서 들어오는 외부 지식이나 과학지식은 일부 어류 분류의 토착지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해양환경의 변화는 섬사람들의 어로활동 및 어류 목록에도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arine knowledge of Heuksan islanders, especially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ethnobiological classification of Heuksan fishes. I compare the analysis of the empirical data conducted in the early 21st century in Heuksan Island and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data of Jasan Eobo written in the early 19th century. I examine how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the names and classification of the Heuksan fish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tinued and changed in the more than 200 years of modern Heuksando. Fish is conceptualized as an animal that lives in water and has scales on its body and swims in its fins. Based on the prototypicalty of fish, cetaceans and cephalopod are still included in the category of fish in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shrimp, jellyfish, sea cucumber, and sea hare which were located far from the prototype category are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fish. It is a relatively recent change that a finless porpoise, a killer whale, and a dolphin were recognized as a whale.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as well as the arrival of scientific knowledge and information coming from the land are also causing changes in the islanders’ fishing and fish list.

      • KCI등재

        바람에 관한 서해 어민의 민속지식

        조숙정(Jo, Sook-Jeo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21 No.2

        바람은 어민들이 바다에서의 항해 및 조업 가능성을 판단할 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날씨 조건이다. 이 글은 기후 환경에 대한 관심과 관련 어휘 분화의 발달 관계를 보여주는 민족지적 사례 연구로서, 어촌 사회에서 바람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명칭과 민속구분법에 초점을 맞추어 어민들의 민속지식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 바람에 대한 민속지식이 어로활동 및 바다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이해해 본다. 바람의 민속구분법이 보여주는 곰소만 어민들의 인지체계에서 눈에 띄는 점은, 시간상으로는 따뜻한 계절에 부는 바람이 그리고 공간상으로는 서쪽에서 부는 바람이 부각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지리적 특성상 동쪽으로 만입한 만내 연안 어촌인 연구지에서는 어로시기 및 어로공간과 바람의 관계에서 서쪽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대한 관심이 발달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고는 어민들의 바람에 대한 풍부하고 독특한 분류 지식이 특정 기후현상에 대한 높은 문화적 관심의 반영일 뿐만 아니라, 특히 어로시기 및 어로공간과 밀접히 관련되어 발달한 것임에 주목한다. The wind is the very important weather condition for the fishermen to consider whether they should go into the sea to catch fish. The advanced lexical elaboration of wind reflects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fishermen and climate. This paper explores the Korean fishermen’s traditional knowledge of wind. Especially it focuses on finding out the folk classification of wind and applies an ethnoscientific approach. This paper analyzes three aspects of ethnoclimatology, namely the folk classifications of wind in relation to eight directions, four seasons, and fishing situations. This folk classification of wind shows the relative salience of the warm wind and the west wind, which these categories mean the change of the sea as a fishing time and place.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fishermen’s traditional knowledge of wind must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ir livelihood of fishing and the local sea as their fishery.

      • KCI등재

        동해안 ‘해류’ 구분법과 ‘무대’에 관한 민속지식 - 서해안 ‘물때’와 비교의 관점 -

        조숙정(Jo, Sook-Jeong) 비교민속학회 2021 비교민속학 Vol.- No.73

        삼면이 바다인 한국 해양문화의 특징 중 하나가 조석현상에 관한 민간지식의 발달이다. 이 연구는 조석현상이 발달하지 않은 동해안 어민문화에서는 서해안 및 남해안의 ‘물때’에 대응하는 지역 고유의 해양환경에 대한 문화적 관심은 무엇인지를 발견하고, 한국의 해양환경과 어민문화의 다양성과 보편성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 글은 울진군 후포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해안 어민들이 ‘해류’틀 구분하고 인지하는 방식 및 ‘무대’의 개념을 밝힌다. 먼저 ‘물’의 명칭체계를 분석하여 물이 홀러가는 방위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해류’의 민속분류법을 찾아내고, 이것이 동해 해류의 특성 및 어로활동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물의 방향 및 세기와 관련된 바닷물의 흐름을 가리키는 ‘무대’의 개념과 특징을 네 가지 차원에서 ‘물때’와의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서해안 어민들이 밀물과 썰물을 구분할 때, 동해안 어민들은 설물과 맛물을 구분한다. 무대는, 물때와 달리, 비주기성을 특징으로 하는 바닷물의 흐름이며, 동해안 어민들의 어로활동은 이 ‘무대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조석의 유무 차원에서 서해안과 동해안 어민들이 처해 있는 바다 환경은 다르지만, 어업 생산성 및 안전 문제에서 항시 불확실성이 높은 바다에서 일하는 어민들에게 바닷물의 흐름과 그 속성은 중요한 공통의 관심사임을 보여준다. In Korean fishers’ culture, folk knowledge about tide has developed. It is the ‘multtae’(tide time) system that is passed down in the West and South Seas.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is the cultural interest of fishers in the East Sea for the regional marine environment that responds to the ‘multtae’, and to understand the diversity and universality of Korean marine environment and fisher culture. Focusing on the case of Hupo in Uljin-gun, this article clarifies how fishers in the East Sea classify and perceive ‘mul’(water), and examines the concept of ‘mudae’(water current). First, I analyze the terminology of ‘mul’ to find a folk taxonomy of ‘sea currents’ that are classifi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flows, and examine how this relat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currents and fishing activities. And I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dae’, which refers to the flow of seawater related to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water,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ison with the ‘multtae’ in four dimensions. When fishers in the West Sea distinguish between ‘milmul’(rising tide) and ‘sseolmul’(ebb tide), fishers in the East Sea distinguish between ‘seolmul’(water flowing north) and ‘matmul’(water flowing south). Unlike the ‘multtae’, the ‘mudae’ is a flow of seawater characterized by aperiodicity based on irregular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speed of seawater, and the fishing activities of East Sea fishers take place ‘along the mudae’. Although the sea environment in which fishers in the West and East Seas face is different in term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ide, the flow of seawater and its properties are an important common concern for fishers working in the sea, where there is always a high degree of uncertainty in terms of fishing productivity and safety.

      • KCI등재

        정약전의 흑산도 유배기와 『자산어보』에 대한 재검토

        조숙정(Jo, Sookjeo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7 島嶼文化 Vol.0 No.49

        본고는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새 사료와 해석을 보완하여 정약전의 흑산도 유배기와 『자산어보』에 대한 세 가지 논쟁점을 재검토한다. 첫째, 흑산도 유배기의 구분과 관련하여 우이도와 대흑산도에서의 거주와 이주의 시기를 살펴본다. 『자산어보』가 저술된 대흑산도기를 1806년부터 1815년까지로 제시한다. 둘째, ‘玆山’의 독음 관련 자산어보설과 현산어보설에 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하고 그 의미를 살펴본다. 이 독음 논쟁은 근본적으로 한국어의 역사에 서 비롯된 것이며, 유배인 정약전의 시대적 한계를 보여준다. 셋째, 『자산어보』 원본과 사본의 권수에 차이가 발생한 이유와 의미를 살펴본다. 이청이 원본에 문헌 고증과 새 생물 항목을 추가한 분량이 40% 정도를 차지한다. 현전하는 사본들은 정약전과 이청의 공동 저술인 셈이다. 그러나 『자산어보』 원본은 조선시대 해양생물의 분류 지식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시도였다는 점에서, 정약전의 학자적 우수함과 저술은 오늘날 조선시대 생물 분류 관련 전통지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서 재조명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This paper reexamines three points of dispute related to Jeong Yakjeon’s exile periods and his representative writing, Jasan Eobo. The first point is about classifying the periods of his exile. The period of the big Heuksando is from 1806 to 1815, and he wrote the book in 1814. The second point is whether to read the title of the book as Jasan Eobo or Hyensan Eobo. The argument is caused by the sad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going without its own written language until 1443, and by Jeong Yakjeon’s limitation as an exile. Lastly, the third point is why the original and the copies of the book differ in the number of volumes. Yi Cheong added annotations and new marine life to the original, increasing the quantity by 40% or more. From now on we need to review what the original shows as a valuable book related to a traditional biological knowledge of Joseon era.

      • KCI등재

        서해 어류의 민속 생물학적 분류와 변화: 곰소만 어촌의 민족지적 사례 연구

        조숙정 ( Jo Sook Jeo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8 韓國文化人類學 Vol.51 No.3

        본고는 한국 동식물이 개념화되는 문화적 방식을 규명하기 위해서 어류 분류를 중심으로 어민들의 민속 생물학적 지식에 주목한다. 곰소만 어민들은 바다 동물을 고기ㆍ두족류(頭足類)ㆍ게ㆍ새우ㆍ가재ㆍ조개ㆍ고둥 등 7범주로 구분하는데, 물속에서 지느러미로 헤엄치는 어류가 바다 동물의 전형적인 범주로 인지된다. 어류의 원형성을 통해 고래가 생물학적 분류와 달리 민간에서 물고기로 범주화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민속 명칭으로 인식되는 100개의 ‘괴기’ 종류는 2중간칭 53속칭 61종칭 분류군으로 구조화된 민속분류법으로 나타난다. 서해 어류의 심리적 원형은 조기였는데, 과거 조기잡이의 중심 어장이었던 서해안의 생태적ㆍ어업사적 배경에서 발달한 서해 어촌의 민족어류학적 특징일 것이다. 끝으로 어업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는 민속 분류 지식의 변화를 살펴본다. 곰소만 어민들의 어류 분류체계에서 나타나는 언어적ㆍ분류법적 변화 현상들은 어업 환경의 변화 및 새로운 지식체계와의 접촉 등으로 발생한 새로운 환경에 어민들이 그들의 민속 분류 지식을 조정해 나가는 문화적 역동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present my study of the folk biological knowledge by which fishermen classify fishes, illustra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animals and plants in Korean culture. Gomso Bay fishermen classify marine animals into 7 categories: fish, cephalopod, crab, shrimp, lobster, shellfish, and gastropod. The fish swimming in water and possessing fins are recognized as a typical category of marine animals, and the basis of a prototype. From the prototype of fish in the system of folk knowledge, Korean fishers logically categorize whales as fish in contrast to their phylogenetic classification by scientists. There are 100 kinds of fish that are recognized and represented by the folk taxonomy structured by 2 intermediate, 53 generic, and 61 specific taxa. The psychological prototype of fish in the West Sea is the croaker,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folk biology of the West Sea area and developed from its historical ecology as the center for croaker fishing in the past. Finally, I examine the dynamics of folk classification as knowledge which reflects the changes of the environment. The knowledge of fish classification by fishermen shows the adaptation to the new environment, not only reflecting the changes of the fishery environment such as biological distribution, fishery technology, market preferences and price change, but also contact with the new knowledge system that is transmitted from outside.

      • KCI등재후보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 현황과 과제

        조숙정(Jo, Sook-Jeo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8 民俗硏究 Vol.0 No.36

        이 연구는 2000년부터 안동대 민속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된 ‘마을민속’ 연구의 성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전망이라는 주제 아래 어촌 연구에 주목한다. 『민속연구』에 게재된 어촌 관련 민속문화 논문들을 중심으로 어촌 사회와 문화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전개된 논지는 세 가지다. 첫째. 한국 문화 연구에서 어촌 사회가 상대적으로 주변화된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둘째, 『민속연구』에 실린 논문들을 검토하여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다. 셋째, 어촌의 마을민속 또는 민속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토대로 연구 지역의 확대, 연구 주제의 다양화, 언어 연구의 강화, 총체적 이해에 기반한 마을 민속지의 지향, 그리고 최종적으로 지역 또는 해역 간 비교연구의 필요성 등 다섯 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에서 어촌의 해양문화적 특수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주제에 대한 연구 관심과 내부자적 관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folkloristic studies of fishing village cultures ba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Folklore Studies under the theme of critical review and prospect of the results of ‘village folklore’ studies. I develop the argument in three parts. First, I raise the problem that fishing communities have been relatively marginalized from Korean cultural studies. Second, I review the papers in the journal and examine the status of folk culture research in fishing villages. Third,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village folklore or folk culture of fishing villages, I suggest five tasks: expanding the research area, diversifying the research topic, strengthening the language research, orienting the village ethnography based on the holistic perspective, and the comparative studies among the sea areas. I emphasize an insider point of view and the research interest that can show the marine cultural specificity of fishing villages in the fishing village folklore research.

      • KCI등재

        조기의 민족어류학적 접근: 서해 어민의 토착 지식에 관한 연구

        조숙정 ( Sook Jeong J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2

        바다 생물, 특히 어류는 어민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중요한 생태환경이자 어로활동의 토대이다. 그런데도 한국의 어촌 연구는 어민들의 문화적 지식체계를 구성하는 의미 있는 개념적 범주로서 바다 생물에 미처 주목하지 못하였다. 더 나아가 어류를 포함한 동물의 의미영역을 민족과학적으로 분석한 민족지적 연구 사례를 찾아보기도 어렵다. 이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한국 사회가 경험 세계로서 동식물을 어떻게 바라보고 이용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는 하나의 민족지적 시도이다. 이 글은 어류와 관련된 서해 어민의 토착 지식에 대한 연구로서, 서해의 대표 어종인조기류가 문화적으로 개념화되는 방식을 민족어류학적으로 분석하고, 한국 문화에서 조기류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 글은 크게 4가지를 살펴보고 있다.첫째, 일종의``조구``(조기)로 인식되는 고기들의 토착 명칭을 파악하고 그 분류방식을 살펴보았다.``조구``범주는``조구``, 부세, ``반에``, 보구치,``황숭어리``로 명명된 5종의 어류를 포함하고, 속칭과 종칭이라는 2개의 위계적 등급으로 조직된 민속분류법을 이루었다. 둘째, 조기의 민속 분류를 민어과 어류의 과학적 분류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조기의 민족어류학적 분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다. 민어과 어류의 5속 6종이 어민들에 의해서 지각되고, 2속칭``( 조구``와``민에``) 5종칭으로 범주화되었다. 셋째, 조기의 토착 명칭들을 성분 분석 하였다. 5종의 조기는 7개의 의미대조차원에 의해서 구별되었는데,``조구``범주의 원형인 참조기가 비교 기준이 되었고, 몸의 색깔이 황금처럼 노랗다는 형태적 특징이 부각되어 인식되었다. 마지막으로, 어로공간인 바다의 생태적 변화와 관련하여 의례음식으로서 조기의 이용과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어족자원의 고갈로 큰 참조기와 부세처럼``반에``가 제사용 생선으로 격상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어류의 크기, 색깔, 맛이 재평가되고 생태적 습성이 자의적으로 재인식된 것으로 이해된다. Sea life, and especially fish varietie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are the base for the fishermen to earn their livelihood. Nonetheless, previous studies of Korean fishing villages did not pay attention to sea life as a significant conceptual category within the system of cultural knowledge of the Korean fishermen. Furthermore, ethnographic studies of Korean culture do not normally analyze the semantic domain of animals (including fish) by applying the ethnoscientific approach. This study provides data from an ethnographic case study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how does the Korean society look at and use plants and animals as the experience world?" This study reveals the fishermen`s folk knowledge in relation to sea animals in the West Sea of Korea.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ltural specificity of how various croakers (Family Sciaenidae) are conceptualized as the representative fishes in the West Sea and to apply an ethnoichthyological approach. This study examines four aspects of ethnoichthyology. First, folk terms were collected for any variety of fish which is recognized as a kind of jogu (croakers), and the folk taxonomy was revealed. Five kinds of croakers are recognized and classified into one generic taxon and five specific taxa. The category jogu is a polytypic generic taxon, and it means that the fishes are very important for the fishermen`s culture and for their conceptualization of the sea as the ecological environment. Second, by comparing the folk classification of the croakers as the generic taxon with the scientific classification of Family Sciaenidae, I tri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categorization that the fishermen apply to the Family Sciaenidae. The fishermen identified five genera and six species of Family Sciaenidae, and classified them into two generic taxa (jogu and mine) and five specific ones. The Korean fishermen do not identify the brown croakers (Miichthys miiuy) a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croakers. Third, by doing the componential analysis of the five folk terms for croakers, I tried to reveal the distinctive features by which the fishes are identified. The fishermen identified them according to seven dimensions of semantic contrast. Further, it is understood that the yellow croakers (Larimichthys polyactis) are the cognitive focus as the prototype of the category, and that the brown croakers are classified into the different folk generic taxon by the color and the size. Fourth, I examined the changes in use and in cognition of the croakers in relation to the ecological changes occurring in the sea and impacting the fishing grounds. The large-sized croakers like the yellow croakers (Larimichthys polyactis) and the large yellow croakers (Larimichthys crocea) have been utilized for the food assemblage on the Korean ancestral rites table. But they have disappeared in the fishing ground as least since 1970s. On the other hand, the fishermen can catch the yellow drums (Nibea albiflora) still in the sea. And so we can understand that the yellow drums have been revaluated as a fish appropriate for the rites according to the size, the color, and the taste, and now can be used in place of the yellow croakers.

      • KCI등재

        연구논문 : 김치와 문화적 지식: 전라도 김치의 명칭과 구분법에 대한 인지인류학적 접근

        조숙정 ( Sook Jeong J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7 韓國文化人類學 Vol.40 No.1

        This paper analyzes a case study of the folk classification of Jeollado kimchi, and applies an ethnoscientific model to reveal a system of cultural knowledge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catory terms. Kimchi is classified by the people of Jeollado using an elaborately developed native terminological system. The research began by collecting 35 kinds of kimchi and eliciting 84 terms including phonetic and/or morphological variants. All 51 categories of kimchi are semantically structured in hierarchical inclusion relation. In other words, the semantic organization is characterized by an elaborate folk taxonomy. Using the method of componential analysis, distinctive semantic components and significations of various kinds of kimchi are found to exist in the Jeollado taxonomy. A second finding of the research is that kimchi is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closely related to climate and natural environment, and 35 kinds of kimchi are perceived and divided into 4 seasons. Kimchang-kimchi is especially prominent in the seasonal classification of kimchi. Kimchi is also classified into 6 stages according to its degree of fermentation. This fermentation classification is characterized by relationships of stage and process. A third finding of this research is the ethnographic identification of a prototypic category of kimchi. In the native speakers` folk knowledge system, baechu-kimchi seems to regarded as the most prototypic category of Kimchi. A final interes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e intra-cultural variation of knowledge about kimchi, varying by gender and age. Cultural knowledge of kimchi is closely associated with women, especially married women, and the older generation has a more elaborate terminological system for kimchi than the younger generation. Hence, the native terminological system of kimchi is changing intra-cultural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