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스페인의 스마트시티 산업 특성 비교

        조성수(Sung Su Jo),이상호(Sang Ho Lee) 한국지역학회 2022 지역연구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스페인의 스마트시티 산업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각 국가의 특성은 스마트 산업의 점유, 침투, 생산경로,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비교되었다. 연구의 자료는 1995년과 2015년의 한국 및 스페인의 투입산출표이며, 8개와 25개 산업으로 재분류되었다. 분석모형은 Smart SPIN Model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이 스페인보다 IT 제조업에서 점유율과 침투율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스페인은 한국보다 IT 서비스업과 지식서비스업이 점유율 및 침투율 모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산경로 측면에서는 한국이 IT 서비스업과 지식서비스업이 스페인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스페인은 IT 제조업 분야가 더 많은 생산경로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한국의 스마트 산업은 전통 산업에 종속되어있으며, 스마트 산업이 독자적으로 발달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페인은 스마트 산업의 대부분이 하나의 산업 클러스터로 나타나고 있어 독립적인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한국은 IT 제조업 기반의 스마트시티 산업 특성을 가지며, 스페인은 IT 서비스와 지식서비스 기반의 스마트시티 산업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시티 부문에서 있어 우리나라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및 정책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mart city industry focused on Korea and Spai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dustries were compared focusing on share, penetration, impact path and network clustering of smart industries. Research data used input-output tables established by Korea and Spain in 1995 and 2015, and industries were reclassified into 8 and 25 industries. The analysis model is the Smart SPIN Model. The key finding as follows: It was analyz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city industry between Korea and Spain. Firstly, It is analyzed that Korea has a larger share and penetration rate of IT manufacturing than Spain. On the other hands, Spain has a higher share and penetration rate in the IT service and knowledge service sectors than Korea. Secondly, Korea had many production paths for the IT service and the knowledge service. On the other hands, Spain included more production paths in the IT manufacturing sector. Thirdly,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Korea’s smart industry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is difficult to develop independently because it is dependent on traditional industries. In Spain, most of the smart industries were included in one industrial cluster, and it was analyzed to have an independent form.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Korea has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a smart city based on IT manufacturing. Spain has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city industry based on IT service and knowledge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smart city promo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smart city policies in Korea.

      • KCI등재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 STIM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조성운(Sung Woon Jo),이상호(Sang Ho Lee),조성수(Sung Su Jo),임윤택(YounTaik Lee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는 문헌고찰, 평가지표 구축, 평가지표 가중치 분석, 지자체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 결론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는 다층형 스마트시티 모델(Multi-Layered Smart City Model)의 STIM 구조(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Management Layered Architecture)기반으로 구축되었다. 평가지표는 스마트시티 개념, 사례,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구축되었고, 전문가 AHP 설문을 통해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연구의 공간 범위는 서울 등 7대 광역시이며, 시간 범위는 2017년~2019년이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KOSIS, KISDISTAT 등의 공공데이터이다.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시티 서비스, 기술, 인프라, 관리의 수준은 수도권인 서울과 인천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영남권인 부산, 대구, 울산이 비교적 중간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며 충남권과 호남권인 대전과 광주가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STIM 종합순위 또한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수도권과 그 외 권역의 스마트시티 수준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스마트시티 수준 격차를 줄이기 위해 균형발전 전략이 필요하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계획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mart city for major cities in Korea. The assessment indicators are based on the STIM structure (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Layer Architecture) of the Multi-Layered Smart City Model. Assessment indicators are established through smart city concepts, case analysis, big data analysis, as well as weighted through expert AHP survey. For the assessment, seven major metropolitan cities are selected, including Seoul, and their data such as KOSIS, KISDISTAT from 2017 to 2019 is utilized for the smart city level assessment. The smart city level results show that the 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levels were relatively high in Seoul and Incheon, which are metropolitan areas. Whereas, Busan, Daegu, and Ulsan, the Gyeongsang provinces are relatively moderate, while Daejeon and Gwangju, the South Chungcheong region and the Jeolla provinces, were relatively low. The overall STIM ranking shows a similar pattern, a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rt city level outperforms the rest of the analyzed areas with a large difference. Accordingly, balanced development strategies are needed to reduce gaps in the level of smart cities in South Korea, and respective smart city plans are nee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is paper will follow the literature review, assessment index establishment, weight analysis of assessment index, major cities assessment and result in analysis, and conclusion.

      • KCI등재

        도시유형별 스마트도시서비스 비교분석

        김희영(Hee Young Kim),조성수(Sung Su Jo),이상호(Sang H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규모와 쇠퇴양상 등 도시유형에 따라 스마트도시계획에 제시된 서비스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도시 서비스유형화, 도시유형화, 국내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경향성 분석, 도시유형별 스마트도시 서비스 비교분석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분석자료는 유시티법이 제정된 2008년 이후 수립한 전국 지자체 스마트도시기본계획(36개)을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test 등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도시 조성에 앞서 계획단계에서부터 지역의 특성을 얼마나 반영하였는지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행정, 교통, 환경/에너지/수자원, 보건/의료/복지, 방범/방재 분야와 같이 도시 운영 및 관리와 연계된 기본 서비스 빈도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육, 주거 분야와 같이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 및 관리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와 물류, 근로/고용, 기타(산업) 분야와 같이 산업계 관련 서비스의 적용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도시규모 및 쇠퇴양상에 따른 스마트 도시 서비스 비교분석 결과, 국내 스마트도시계획은 도시의 유형과 관계없이 기본서비스(행정, 교통, 보건/의료/복지, 환경/에너지/수자원, 방범/방재, 시설물관리 등)에 초점을 두고 수립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자체 스마트도시계획 수립 시 지역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arry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mart city services presented in smart city master plans according to city types based on characteristics, such as urban size and declin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equence: classification of smart city service type, classification of city type, trend analysis of smart city service,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mart city service centered on city typ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smart city master plans established by 36 local governments after the Ubiquitous City Act which classified cities according to urban size and decline types. This study used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the trends in smart city service planning and investigated these to comparatively analyze smart city services based on thei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urban size and decline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smart city services were focused on elementary service plans such as administration, transportation, and health/medical/welfare services without considering the city types viz. urban scale and urban decline. Also, content development/management services such as knowledge services and industrial services were observed to be relatively less important in smart city master plans. Secondl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mart city services according to urban size and urban decline showed a focus on elementary services such as administration and transportation services, regardless of the city type and its characteristics. Thirdly, services requiring continuous maintenance and management (e.g. culture, sports and education), and industry-related services (e.g. distribution, labor/employment, and other industrie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inadequately addressed in smart city pla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directions to enable smart city plans developed by local governments to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 KCI등재

        시민참여 기반의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 설정

        최민주(Min-Ju Choi),이상호(Sang-Ho Lee),조성수(Sung-Su Jo),정예진(Yae-Jin Jung),조성운(Sung-Woon Jo)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지역·사회 문제 해결방안으로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적극적인 활용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 · 사회문제 해결의 답은 시민과 현장에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참여 기반의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 외 리빙랩 방법론과 사례 분석을 통해 시민참여 기반의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4P-SCLLM)을 설정하였다.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인 4P-SCLLM의 체계성 · 구체성을 평가하기 위해 최근 스마트시티 리빙랩이 적용된 부산시 리빙랩 프로세스와 비교검토를 하였다. 분석한 결과, 각 단계별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부산시 리빙랩의 민간부문은 4P-SCLLM과 매우 유사한 진행 프로세스를 보였다. 이와 반면 공공 및 민간부문 협조/지원체계가 4P-SCLLM 모델 보다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술 및 방법론에서는 4P-SCLLM 모델이 신기술을 도입한 리빙랩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P-SCLLM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째, 참여자와 이해관계자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협업하면서 적극적인 참여와 소통이 필요하다. 둘째, 공공기관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서비스의 지속적인 시민체감 검증이 필요하다. 넷째, 시민들의 지속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사점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로 4P-SCLLM을 제안하였다. As a solution to local and social problems, the active use of smart city living lab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answer to solving local and social problems lies in the citizen and th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mart city living lab model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In this study, smart city living lab model(4P-SCLLM)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living lab methodology and case analysis. In order to evaluate the systemicity and specificity of the 4P-SCLLM, a smart city living lab model, we recently compared it with the living lab process in Busan where smart city living lab is appli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alysis shows similar trends in each stage, and Busans private sector showed a similar process to 4P-SCLLM On the other hand, public and private sector cooperation and support systems were found to be less than the 4P-SCLLM model And In technology and methodology, the 4P-SCLLM model is analyzed to have a living lab process that incorporates new technologies. In order to maintain the 4P-SCLLM continuously, first, participants and stakeholders need to participate actively and communicate while collaborating on the whole process from start to finish. Second, public awareness needs to be improved. Third, continuous citizenship verification of services is needed. Fourth, citizens constant participation is needed. Through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d 4P-SCLLM as a smart city living lab model suitable for the domestic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