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TV 프로그램의 ‘대중화(大衆化)’ 개혁

        조복수(Cho, bok soo)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5 문화와 정치 Vol.2 No.1

        본고는 2000년대 이후 대표적인 강연류 프로그램 <백가강단>에 대한 개혁사례 분석을 통해, 오늘날 중국 텔레비전의 대중화 된 모습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제작진 교체, 강연자의 경쟁력 확보, 대중매체에 대한 인식의 전환 등이 이루어지면서 프로그램은 초창기와는 확연히 달라졌고 학술스타라는 문화상품을 생산하는 체제를 갖추게 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개혁이 중국 텔레비전에 가지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함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텔레비전은 시장의 이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상의 <백가강단>에 대한 분석에서도 나타나는 바, 시장의 이념은 제작 관련자들의 의식에서부터 프로그램의 내용까지 개혁과정의 전면에 흐르고 있다. 둘째, 프로그램은 소비문화상품으로서의 속성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다른 프로그램과의 차별화를 위하여 개성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수용자들의 주목을 받기 위해 전략적인 소통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백가강단>은 제작진은 개혁의 과정에서 강연자의 개성화를 요구했고, 강연테마의 집중화, 강연의 서사화 전략을 사용했다. 셋째, 텔레비전은 대중미디어로서 본질적인 기능을 찾아가고 있다. 이것은 중국 텔레비전이 시대와 소통하고 대중과 소통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비록 시대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모습은 아직 두드러지지 않지만 고급 학술지식과 정보를 일반대중들과 공유하고 있다. This article will examine Chinese television’s popularization reform, focusing on a lecture show <Baijiajiangtan>. This reform makes this program different from initial one by producing star scholar. These reforms have some implications for Chinese television. First, Chinese television adopts market logic. <Baijiajiangtan> also shows that market logic affects producers and the content of the show. Second, the show clearly has attribution of cultural product for market. Shows need individualization using strategic communication method. In <Baijiajiangtan>, lecturers were required to be individualistic and the show used strategies of centralization and narration. Third, Chinese television regains an essential function as mass media. It means that Chinese television starts to reflect changes of the times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lthough Chinese television does not seem to be remarkably changed, it does share advanced knowledge and information with the public.

      • KCI등재

        중국 드라마 < 달팽이집(蝸居) >에 나타난 여성

        조복수 ( Bok Soo Cho ) 한국드라마학회 2012 드라마연구 Vol.- No.38

        Many people say, the mass media reflect the era. Naturally, Popular culture that produced by mass media reflect the era, too. In this sense, Analyzing popular culture will be a good method to understand today`s people`s everyday life. This paper will examine chinese everyday life and woman in TV drama woju. This work is appraised that it reflected today`s chinese everyday life, realistically. The reason why this drama was picked is a transitional work that TV drama go back to people`s everyday life, and The author was placed on the agenda of woman`s life in this work. Therefore, this paper will consider today`s chinese everyday life, first and based on this, sample various woman`s life in the drama. TV drama woju reflected a fierce today`s chinese everyday life and agenda so good. There is estate price soar to the sky and gap of the rich and poor, immorality, social irregularity, youth on unemployment and so on in the work. These are urgent problem in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and, These problem are melted into drama story-telling that mother and daughter, sisters, lovers, husband and wife etc relationship are compiled by narration so good. In this complicated everyday life, Haiping who has her independence is living with pursuing her aims on intelligence and personality;Haizao is very good and naive woman, but She hasn`t her independence and is living with forgetting her ego in money and power;Songfuren is gotten by modern education, but is living for daughter, for husband, for familly in the tranditional ideal. Drama woju is show various everyday and woman`s life, and through the best positive and idealistic character Haiping, show main theme that woman herself look for independence life for happiness. 대중매체는 시대의 반영이라고 말한다. 자연스럽게, 대중매체를 기반으로 생산되는 대중문화도 시대의 반영이다. 이로부터, 드라마와 같은 대중문화에 대한 분석은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을 이해 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글은 일반대중들의 삶을 비교적 사실적으로 반영했다고 평가받는 < 달팽이집(蝸居) >이라는 작품에 내재된 중국인들의 일상을 분석해보고 그 속에서 여성의 모습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 작품을 텍스트로 선정한 것은 이 드라마가 일반대중들의 일상으로 돌아가는 전환기적인 작품이기 때문이고, 작품 속 치열한 일반대중들의 일상투쟁 속에 작가는 다양한 여성들의 삶을 상정해 놓았다. 따라서 이 글은 작품 속에 내재된 중국인들의 일상을 먼저 고민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 속에 상정된 다양한 여성들의 삶을 추출해 보고자 의도하였다. 드라마 < 달팽이집(蝸居) >은 치열한 삶을 살아가는 일반대중들의 삶과 일상의 의제들을 잘 반영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치솟는 부동산 가격과 빈부격차의 문제, 불륜문제, 사회부폐의 문제, 대학생 취업난등은 모두 오늘 날 중국이 실제로 당면한 문제들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상의 문제들은 다양한 인간관계, 즉 모녀관계, 자매관계, 남녀관계, 부부관계 등의 합으로 구성된 드라마 < 달팽이집(蝸居) >의 이야기 구조 속에 잘 녹아들어 있다. 그 속에서, 하이핑은 주체성을 가지고 뚜렷하게 자신이 추구하는 바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으며 지성과 인성을 갖춘 삶을 살아가고 있고, 하이자오는 순수하고 착했지만 권력과 돈에 완전히 자아를 잃어버린 채 꿈꾸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쏭부인은 현대적인 교육을 받았지만, 전통 문화의 틀 속에서 딸을 위한, 남편을 위한, 가정을 위한 전통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일상현실과 여성 인간 군상들의 제시 속에서, 드라마 < 달팽이집(蝸居) >은 가장 긍정적이고 가장 이상적인 인물인 하이핑을 통해 여성 스스로 주체적인 삶을 찾아야 행복해진다는 주제의식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뉴미디어가 이끄는 중국 담론지형의 변화

        조복수 ( Bok Soo Cho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3 담론 201 Vol.16 No.4

        이 글은 담론권을 대상으로 시대의 변화에 따른 그 주체들의 변화와 주요 의제들을 고찰하고, 뉴미디어의 등장이 가져온 중국 담론지형의 변화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사회문화적 변동의 관점에서, 쌍방향 소통이 활성화 되면서, 중국 사회도 점차 개방적이고 소통이 가능한 사회를 지향해 가고 있음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대별 고찰을 통해 담론권이 당과 국가의 신성한 권력에서 경제 주체들로,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다시 일반대중들에게로 확대되어 담론권 다원화 시대가 도래를 확인했다. 더불어, 저항, 비평, 수용, 참여 등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형식들이 점차 중국인들의 일상으로 가까이 가고 있음은 뉴미디어가 이끄는 새로운 담론지형의 구체적인 모습이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일반대중들이 담론권의 주체가 될 수 있게 되었다. 일반대중은 서로 다른 사고를 가지고, 서로 다른 생활환경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을 가리키는데, 그들도 이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채널을 갖게 되었다. 둘째,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다양한 의제들이 논의되고 있다. 과거, 전통적 사회주의 시기, 모든 사회적 환경자체가 사회주의였던 상황에서, 논의될 수 있는 의제는 단지 사회주의와 관련한 것들 뿐 이었다. 시장의 등장이 기존의 대중 매체들을 통해 경제적인 의제들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도록 했다면, 뉴미디어의 등장은 정치, 경제뿐 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오락적 의제들도 논의의 대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셋째, 뉴미디어는 담론권을 중국인들의 일상 속으로 가져가면서 의제의 다양함을 넘어 일상속의 사소함까지 끌어들이고 있다. 이상을 통해 알 수 있는 바, 뉴미디어가 이끄는 중국 담론지형의 변화란 사회적 소통네트워크가 활성화 되고 권력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열린 중국의 모습이다. This article observes the changes of main agendas and subjects concerning the right to discourse in China and analyzes the changing trend that the new media brought to China.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article tries to prove that due to the invigoration of the two-way communication channel, Chinese society is increasingly turning towards more open and communicative-friendly society. Through the chronological observation, the right to disclose, which was in fact the divine right of the party, has evolved from the nation to the economic actors. The article argues that the emergence of new media has expanded towards the public, diversifying the right to disclose. Moreover, resistance, criticism, agreement and participation of the Chinese public stipulate the new trend of the right to disclose driven by the new media. With the aforementioned arguments,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First, the emergence of new media allowed the public to be the principal agents of the right to disclose. General public holds diverse thinking with diverse backgrounds. This allowed them to have the channel to express their own intentions. Seco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allows diverse agendas to be discussed. In the socialistic community where discussions were restricted by law, the debatable agendas were only those related to socialism. If the emergence of market opened the debate on economic agendas, the emergence of new media allowed for political, economic an diverse societal issues to be addressed. Third, new media attracted minor details of the daily lives of the Chinese public. As inferred by the article, the changes of the right to disclose in China led by new media resulted in opening up with the socie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nness of the current China.

      • KCI등재

        중국 드라마 성장의 역사적 고찰 -대중매체 환경의 변화와 드라마 소재를 중심으로-

        조복수 ( Bok Soo Cho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31 No.-

        Recently, One of many social issues in china is a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Dogmatic socialism era, Culture as socialism`s moral civilization, material civilization is a only tool for actualizing socialism. but Post socialism is coning, market appeared in china, media environment is transformed, therefore culture can get out of Dogmatic socialism`s frame. Newly, Industrial value come to the fore in recent years. Still has can`t pass over social influence`s dogmatic socialism and a variety of cultural ideology coexistence, This paper guessed coexistence is just cultural pluralization. and I think, the answer is in How do each contents and chinese environment have been communicating, what`s the meaning of development in this process. For this, This paper analyzed drama which is praised for being more everyday life friendly, focus on historical fact follow chinese drama`s development track and through this process, It is going to show development is the cultural pluralization. And through this paper, We can confirmed, Chinese drama is origined as political tools in the Dogmatic socialism era transformed as pluratizationed culture in the post socialism era. and researched the three results. One. Chinese drama is origined as polical tools in the chinese media environment system on socialism`s frame. Two. Reform and openness era coming, Market appeared in china, Chinese drama has been escalating pluralization reform along with Media that include Mass-media, environment is transformed by market. We understand that in many of drama material tested in many works. Three. even though, We can`t say today`s chinese drama hasn`t political elements, political elements is just one of many texts that have strong social power, many texts that has a variety of ideology in chinese drama, chinese drama is tranformed to one of popular cultures, one of cultural products. but, It still has something to bite on chinese drama. Government can accept where does chinese drama pluralization, and chinese drama insufficient reflecting universal culture code with international society.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중국 대중문화의 성장

        조복수(Cho, Bok Soo)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3 亞細亞硏究 Vol.56 No.2

        This article aim to study why the 2000s time warp of the public narrative drama that attracted attention again recently and how the public accept this. To this end, I analyzed narrative structure of specific work which is 〈Bubujingxin(步步?心)〉 and also analyzed the different types of discussion from experts. And through this, we confirmed that the reason why the time slip drama as s cultural product are welcomed again in today’s Chinese society is to be a little more accessible to the normal life of the general public and have acceptance patterns. More information confirms the following facts. First, the time warp drama received attention is that the focus is moved from historical facts to the daily life of modern people. As we saw through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work, the text creates story from the ancient and modern culture clash. However, when entering into the composition of a single plot, patriarchal father, father’s instinctive love, brotherhood,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the love of husband and wife, including the daily life of modern people in the stories are easy to be found. After all, these stories met the psychological demand of the viewers. Secondly, while time slip drama moving the focus of the story, Chinese society shows accommodate various aspects than just interest, didn’t simply move to the daily life without any change in the focus of the story. Today, Chinese drama is no longer part of the national politic but enough to deliver everyday life ‘fun’ away from the political framework. In the analysis of this 〈Bubujingxin(步步?心)〉 has daily life episode rather than the presence of the socialism. In Chinese society today regards these fun as a commercial application, history, and women. In short, from the cultural point of view, these facts tell us that the Chinese popular culture has been grown today. And these popular culture are aim for ‘generalization’ out of the political regulatory framework for socialist . More over the generalization where unlike the traditional socialist period has implications for cultural pluralism. In other words, the contents are still created for political propaganda but this text is just one of the text type, as it’s coding a variety of cultural products and various ideology, a creative, variety content are being produced and consumption, and also appear various acceptance pattern.

      • KCI등재후보

        포스트 사회주의 시대의 중국 드라마 : 주선율(主旋律) 드라마를 중심으로

        조복수 ( Bok Soo Cho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40

        This paper considered chinese mainstream drama that had been appreciated by taking over traditional socialism`s political-oriented through drama content analysis, in the Post-socialism era as market-oriented new social environment. first,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we have seen what is mainstream, and we verified the early mainstream had a political nature, but can not be defined only by political drama while Chinese society is changing. Therefore, in China today mainstream drama can not only be defined as political pole, but mainstream drama survive in the china market, where the commercial drama adapted to the market system itself, and a variety of social needs, to give a new social environment, the transition to the popularization of them survive in the China market, where the commercial drama. From social needs side, Politics still can not be ruled out. This can break the policy, propaganda and social edification, the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each mainstream drama appear after reform and opening up until the 2000s,. The mainstream drama has been protect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With magnetization and external opening, the global culture with a variety of ideologies entered and made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in crisis. In this regards, those dramas which to find the roots of the traditional culture were very popular in the early 80s. Lastly, mainstream drama also protec nation`s pride as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al cultural patron. The generation born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is exposed to a foreign culture from an early age can have a relatively weak national identity. Mainstream drama showed the greatness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the fierce life of the previous generation not lose its identity as Chinese. With these social needs the drama mainstream try to survive in the market system, with the transition to the popularization, which focus on the narrative strategy. First, rather than to deliver the message directly emphasize on the political ethics, and the second, the commoners, rather than producing the myth of the hero, at the core of the narrative strategy, third, mainstream drama attempts to harmonize with popular drama. These changed narrative strategies made an effort to become cultural product to increase the realism of the work through daily life material and consensus of opinion. 이 글은 포스트 사회주의라는 시장 경제를 지향하는 새로운 환경 속에서 전통적 사회주의의 정치 지향적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는 주선율드라마가 어떻게 살아남았는지 다양한 작품의 내용분석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먼저,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주선율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살펴보았으며, 초창기 주선율이 정치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맞지만 중국 사회가 변화하면서 주선율을 정치적으로만 규정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오늘날 중국의 주선율 드라마도 정치극으로만 규정할 수 없으며 새로운 사회적 환경이 부여하는 다양한 사회적 필요와 주선율 드라마 스스로 시장체제에 적응하기 위한 대중화로의 전이가 상업 드라마가 즐비한 중국 드라마 시장에서 그들을 살아남게 하고 있다. 사회적 필요를 보면, 우선, 정치성은 여전히 배제할 수 없는 요소이다. 이것은 다시 정책선전과 사회교화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각각의 목적에 부합하는 주선율 드라마 작품들이 개혁·개방이후부터 2000년대까지 나타나고있다. 다음으로, 주선율 드라마는 중국 전통문화의 지킴이 역할을 하고 있다. 시장화와 대외개방으로 다양한 이데올로기를 가진 글로벌 문화상품들이 진입하게 되고 중국 전통문화는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해, 80년대 초반 전통문화의 뿌리를 찾고자 하는 작품들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통 문화 수호의 연장선상에서 민족자존감을 지키는 역할도 하고 있다. 개혁개방이후, 태어난 세대들은 어려서부터 외래문화를 접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약한 민족정체성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주선율 드라마는 이들에게 중국 전통문화의 위대함과 이전 세대들의 치열했던 삶을 제시하면서 중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필요와 더불어, 주선율 드라마들은 시장체제에서 살아남고자 대중화로의 전이를 꾀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서사전략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첫째, 정치라는 메시지를 직접 전달하기 보다는 윤리를 전면에 내세우기도 하며, 둘째, 영웅 신화를 생산하기 보다는 평민을 서사전략의 핵심에 두고 있으며 셋째, 통속극과의 융합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서사전략의 변화는 일상적 소재들을 통해 작품의 현실감을 증대시켜일반대중들과 쉽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문화상품으로서 소비되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 TV드라마 속 "젠더" 패러다임의 변화 - <보보경심(步步驚心)>을 중심으로

        조복수 ( Bok Soo Ch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5 도시인문학연구 Vol.7 No.1

        이 논문은 포스트 사회주의 이후, 대중문화가 주류로 자리하면서 중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내재된 문화적 패러다임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고찰해 보고자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은 젠더이며, 2011년 큰 인기를 끌었던 <보보경심>이라는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전과 달라진 젠더패러다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중문화는 소비상품으로서의 가치와 역사와 같은 거대서사가 아닌 대중들의 일상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의, 일상은 통속적인 것이다. 그곳에는 항상 자식들을 걱정하는 부모가 있고, 형제자매가 있으며,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감정들이 평범한 생활 속의 복잡한 관계를 만들어낸다. 드라마 <보보경심>은 젠더를 이러한 일상의 맥락에서 읽어내고 있다. 황제보다는 아버지가, 거대서사보다는 소소한 사랑이야기가 부각되면서 황실은 자연스럽게 한 가정이 된다. 이로부터, 부재했던 여성들의 삶이 나타난다. 그들은 가부장제의 수용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삶의 미시적인 패턴은 차이를 보인다. 강희제의 비빈들처럼 맹목적으로 가부장의 권위를 수용하면서 종속된 여성들이 있는 반면, 가부장제의 틀 내에 있으면서도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헌신적이었던 여성도 있었고, 비록 죽었지만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마음에 두고 지아비에게 저항적이었던 여성도 있었다. 또한 천성이 순수하면서도 자신의 의사 표현이분명한 여성도 있다. 이렇듯 다양한 여성상이 존재하는 고대의 일상 속에서, 현대성을 가진 여주인공은 항상 스스로를 위한 선택을 하며 성숙해 가는 이상적인 여성상으로 제시되고 있다. This paper looks at how cultural paradigms embedded in Chinese TV drama have been changed while popular culture became mainstream in the post-socialist era. By analysing TV drama <Bubujingxin> that became significantly popular in 2011, this study will explore paradigm shifts in gender. Gender has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Chinese social change from ancient to contemporary era. Women has been otherized or exclusive from social agenda based on dominant institutions or ideologies. Under male oriented cultures in Chinese history such as patriarchal system in ancient era, enlightenment culture in modern era and communist culture in traditional social communist era women have been subordinate to men. However, since popular culture appeared, Gender has been newly existing in everyday life by being understood as a consumer-culture’s symbol in a variety of narrative in the post socialist era. Despite the fact that there have been concerns about extreme commercialism, this study argues that the growth of gender issue in narratives reflecting women’s thought and voice represents a social change in contemporary China. Popular culture reflects public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comsumer goods as value. In particular, TV drama <Bubujingxin> shows gender issue in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This everyday life is in popular vein. A palace is naturally described as a home in bringing out small love story with a father rather than huge epic with a emperor. As a result, it draws attention to women life. Although all female characters have commonly acknowledged patriarchal system, the patterns of acknowledgement in microspoic level seem to be distinguished. Like numerous emperor kang’s wives, they just follow the patriarchal system, some women are devoted to their husbands who they truly loved, some women resisted their husbands for their true lovers who were already dead, and some women, who seem innocent, expressed their own claims. With the diversity of women character in the ancient daily life at the drama, A heroine internalizing modernity always makes a decision for herself, which represents an ideal image of wo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