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소유지(所有地) 그림의 시각언어와 기능 -<석정처사유거도(石亭處士幽居圖)>를 중심으로-

        조규희 ( Kyu Hee Cho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04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3 No.-

        How do we read an unknown painting that does not have any documentation in literary sources? What is the intention behind the creation of a painting like the Hermitage of the Recluse Sokchong(hereaFter referred to as the Hermitage)? The Hermitage depicts a gencleman`s dwelling on a large scale. Nothing has been known regarding this painting except that if was done by the painter Chon Chunghyo who is believed to have lived during the 17th century. The Hermitage is a landscape and thus an unusual for Chon Chunghyo, whose expertise is known to have been in bird-and-flower paintings. It apparently portrays a residence owned by a specific person rather than a "naturescape," and thus can be characterized as a depiction of “landscape of property." Extant paintings of proper-ties, known to be done as a commemorarive work for the later generations, were generally created after the 17th century. These commemorative paintings were sponsored by the literati, and unlike royal patron paintings, they depicted the per-son who ordered the painting as the main character and combined the painting with calligraphy, a poem, and a colophon entrusted to experts of each field. The paintings appear to have bee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ence of their patrons.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explanation, the popularity of a literati``s hermitage during the mid-Choson dynasty was related to the thought of secluded dwelling prevalent at the rime. This article also pays attention to the essential and natural character of these paint-ings by using different types of source materials, such as unofficial and private docu-ments of the gentry class. Thus, the Hermitage is analyzed in the context of property or real estate miming. Land was me source of wealth in Choson society. Before the 17th century, the number of domestic servants was important in showing off the wealth of a family, bur after the Hideyoshi invasion in 1592, real estate became the main source of income. In this context, the depiction of property was also thought to be an important task. They needed famous sites near their dwellings and promi-nent painters were employed since painters with high reputations would contribute to the value of [heir house painting. Then, how does the Hermitage use the pictorial languages inside the painting? What was the function of this paining?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is unknown paining by getting clues from forms in the Hermitage. This is an attempt to reveal the fact that those tiny clues, seemingly intentionally in a scene, are in fact the devices for landmarks intentionally adopted to make the painting consistent with its characteristic as p<lifJti11gof property. Focusing on the visual languages adopted in the picture as well as [he function of these paintings is a part of a wider effort to learn about an aspect of the daily life of literati during the period, which can not be unearthed or learned from historical records.

      • KCI등재

        산수미 구성: 청량산에서 금강산으로

        조규희 ( Kyu Hee Cho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7 No.-

        금강산은 고려 말 이래 한반도에서 가장 유람해 보고 싶은 최고의 경관을 지닌 산 이었을 뿐 아니라 불교 성지로 이웃 국가에까지 그 명성이 알려진 명산이었다. 그런데 중종 말년 이후 16세기 후반 동안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반면 이 시기에는 안동 지방의 작은 산인 청량산이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서 꼭 한 번 탐방하고 싶은 곳으로 명성을 얻었다. 청량산이 전국적으로 주목을 받게 된 계기는 풍기군수로 재직 중이던 주세붕이 1544년에 지은 「유청량산록(遊淸凉山錄)」을 통해서였다. 그가 이 글을 저술한가장 큰 목적 중의 하나는 천년 동안 적막하게 명성 없던 이 산을 예안 출신의 영남 성리학자들을 낳은 특별한 산수로 부각시키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이 산 곳곳의 지명을 새롭게 고쳐, 불교적 자취 일색이던 이 산을 성리학의 성산으로 전환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렇게 청량산을 주목한 것은 풍기를 안향 이래 성리학자들의 본거지로 만든 백운동서원의 건립 의도와 상통한 것이었다. 이 시기 영남 사림의 청량산 유람은 당시 심화되던 성리학 운동의 흐름과 맞닿아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17세기 후반 이후, 김창흡 형제에 의해 금강산의 수려함이 문학과 예술의 가장 중요한 주제로 새롭게 조명된 것도 ‘산수미 구성’이란 맥락에서 조명해 볼 수 있을까? 18세기 서울의 진보적인 학풍과 문예의 흐름을 주도하였던 김창흡이 후학들에게 전한 가르침은 “시는 명산과 대천에 있다.”는 것이었다. 김창흡은 진정한시를 쓰기 위해서는 직접 산천을 탐방하여 산수의 진면목을 보고 그곳에서 느낀감흥을 써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그에게 가장 명산은 금강산이었다. 시가‘명산’에서 나오는 것이라면, 가장 뛰어난 시는 결국 ‘금강산’에서 나와야 한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금강산 유람의 경유지인 포천과 가평, 철원 일대는 흥미롭게도 이들 장동(안동) 김씨 일족이 개간을 통하여 마련한 경제적 기반인 외포(外圃)였다. 이황이 청량산을 ‘우리 집안의 산(吾家山)’으로 칭했던 맥락처럼 금강산도 이들에게는 ‘우리 집안의 산’이었던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김창흡은 금강산을 일곱 번이나 탐방하며, 유람할 때마다 새롭게 접하게 되는 금강산의 진면목을 시에서 강조하였다. 이것은 김창흡 문하의 후학들에게 산수 경관을 핍진하게 묘사하는 ‘그림’ 같은 시에 대한 열망을 낳았다. 이들에게 정선의 그림은 산수의 생생한 모습을 기억하고, 또 그 장면을 시로 읊는 데 도움이 되는 매체였다. 김창흡에 의해 새로운 의미가 부여된 금강산 유람과 산수시의 새로운 경지 개척, 그리고 정선이 새롭게 창출한 산수화법은 모두 동가(同價)의 의미를 갖는 담론이었다. 정선의 산수화는시와 함께 감상하는 그림으로 여겨졌다. 이후 금강산은 서울 지식인들 사이에서 일생에 꼭 한 번은 유람하고 싶은 최고의 산수 경관이 되었다. 이렇게 산수는 인간이 추구하고 개입하고 투사한 문명의 또 다른 얼굴이기도 하였다. The transition of Jeong Seon from an ordinary painter of Mt. Geumgang to a nationally renowned artist became the initial stimulus for this paper. He was also viewed as an epitomized painter of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By tracing the meaning of an appreciable landscape, the paper essentially examines the context of how particular natural beauty is constructed and the effects of such construction. Mt. Geumgang was regarded as the ideal place for sightseeing with its unparalleled scenery since the end of Goryeo, and its reputation as a Buddhist shrine also spread to the neighboring countries. However it was not as recognized as before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During this time, it was actually a small mountain located in the Andong area called Mt. Cheongryang that gained nationwide acclaim amongst the intellects. One of the chief reasons why Mt. Cheongryang received such significant attention was due to The record of Mt. Cheongryang sightseeing written in 1544 by Ju sebung. The primary intention of the record was to highlight Mt. Cheongryang, which was unappreciated for a thousand years, as a remarkable landscape that gave birth to several notable Neo-Confucianists. For this reason, Ju se-bung revised certain place names of the mountain to present it as a sacred mountain of Neo-Confucianism. So then, could the new reflection of the beauty of Mt. Geumgang as the most important topic of literature and art be examined in the context of constructing landscape beauty? Gim Chang-heup, who took lead in the progressive academic traditions and literature of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y Seoul, claimed that “great poetry comes from great mountains,” implicating that one had to personally explore the nature and perceive the true landscape in order to achieve poetic inspiration. Since the most noted mountain to him was Mt. Geumgang, his statement evinced that outstanding poetry had to come from that mountain. However, the passing points for the sightseeing of Mt. Geumgang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 were interestingly an economic base of Gim family’s property. For this reason, Gim Chang-heup was able to visit Mt. Geumgang seven times and accentuate his illuminating realization of the true qualities of Mt. Geumgang in his poems. Yet it was not easy to visit Mt. Geumgang that many times, much less vividly remember the landscape features and create poetry and prose that depicts the scenery. The followers of Gim Chang-heup must have needed the drawing by Jeong Seon to produce picturesque poetry. The sightseeing of Mt. Geumgang that was granted a new meaning by Gim Chang-heup, the new development of the landscape poetry, and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by Jeong Seon were all a discussion of equivalent significance.

      • KCI등재

        노동을 통한 자기실현이 불가능한 세대의 문학 : 독일 현대소설 『파저란트』, 『미래의 젊은 역군들』의 예

        조규희 ( Kyu Hee Cho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4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7 No.-

        정상적 노동관계의 침식과 불안정화가 가속화되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에서 과연 근대적 직업윤리인 금욕과 근면의 명제가 여전히 삶의 보편적 정언이 될 수 있을까. 1990년대 이후 국가 복지정책의 축소와 전면적 시장경제 체제는 비교적 안정된 유럽의 노동시장을 급격하게 무너뜨렸고, 이후 독일과 유럽에서는 예기치 못한, 후기 자본주의의 변종이라 할 수 있는 ‘장기인턴세대(Langzeit-Praktikum-Generation)’가 나타났다. 노동시장의 흐름에 따라 유럽의 많은 대학 졸업생들이 통상 한시적 고용의 ‘인턴’을 거쳐 정규직 일자리를 얻는 대신임시직, 계약직을 전전할 수 밖에 없는 처지가 되었기 때문이다. 청년들의 기나긴 불안정한‘견습’의 삶은 종종 경제적 자립과 정상적 사회진입을 가로막기에 소위 ‘성년의 지연(Postadoleszenz)’ 현상으로 이어진다. 독일의 장기 인턴생들의 사례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이러한 ‘지연된 성년’의 실존적 모순과 개인주의, 사회적 지향점의 부재 등은 최근 발표된 독일 현대소설들에서 보다 극단적인 현실전복의 양상을 띠고 나타난다. 그 대표적인 예가 크리스티안 크라흐트(Christian Kracht)의 소설 『파저란트 Faserland』와 동독 출신 안드레 쿠비첵(Andre Kubiczek)의 『미래의 젊은 역군들 Junge Talente』이다. 두 작품의 ‘늙은’미성년 주인공들은 예컨대 노동시장의 ‘탈근대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실의 장기인턴 생들의 의식 속에 내면화되어 있는 근대의 ‘평생직장’(천직) 개념이나 시민적 노동원칙으로부터 멀찍이 벗어나있다. 두 주인공의 삶에서는 근대 노동 이데올로기의 두 가지 형태인 자본주의적, 사회주의적 노동가치론과의 뚜렷한 단절이 보인다. 그들의 의식은 노동에 천착하는 현실사회 체제에 진입하려 하기 보다는 끊임없이 그러한 체제 밖을 넘보는 현실거부의 삶을 지향한다. 이들의 이러한 보헤미안적 태도의 근저에는 ‘노동’을 통한 자기실현이 불가능한 세대의 전형적 의식이 깊게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대한 미학적 대응은 19세기 말 룸펜예술가에서 연유하는 보헤미안적 유미주의에까지 다다른다. 세기말 댄디들의 사회 전복과 긍정의 모순된 문화양식을 각기 다른 모습으로 재현한『파저란트』와 『미래의 젊은 역군들』의 두 남자 주인공은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해 또는 사회집단의 인간적 변혁을 위해 누구나 노동을 해야 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파저란트』가 신성한 노동의 원칙 대신 나태와 무위라는 삶의 전략에 기대어 쾌락과 풍요, 소비에 잠긴 독일의 화려한 대도시를 부유하는 ‘포스트모던’ 댄디를 그렸다면, 이와 대조적으로 『미래의 젊은 역군들』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직전 단조로운 동독의 소도시 고향마을을 떠나 반체제의 예술가 집단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사회주의적’ 댄디를 묘사하였다. ‘노동’을 통한 자기실현이 불가능한 이들 동서독의 댄디 유형에서는 공통적으로 청년기 특유의 유동적 삶의 방식과 무위의 단계가 극단적으로 연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여유’의 과도기는 각기 그 방식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장기인턴세대’다운 ‘만년 청년’의 자세를 암시한다. 일견 확대된 자유로운 경험과 소비의 시대 이면에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일자리를 둘러싸고 사회적 대립이 심화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청년세대의 실존적 모순은 우리 사회에서도 낯설지 않다. 이러한 현실인식을 토대로 본 논문은 90년대 독일 현대문학에 나타나는 젊은이들의 정체성 위기와 무욕의 일상을 노동과 직업, 정체성이라는 사회적 실존의 틀에서 고찰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wo post-Wall German novels, Christian Kracht`s Faserland (1995) and Andre Kubiczek`s Junge Talente (2002). Faserland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for "pop literature", which boomed in Germany in the late nineties. In this novel an anonymous first-person narrator, a joung man appears, who lives like a pensioner, also without a job or any desire for productive labor. He only fools around and even feels proud of it. Junge Talente, Andre Kubiczek`s debut novel, is based on the childhood experiences of the Potsdamer writer, who describes his own growth and puberty problems by casting critical gaze back toward the old East-German society in its end stage. In this novel, the male hero ‘Less’ is illustrated as ``East German dandy``, who would rather squanders his talents in a so-called anti-conventional habitus than makes proficient use of them to carry out the socialistic national policy of ‘planned economy’. This study depends primarily on the latest results of many diverse researches on ‘idleness’ in the realm of german literature, which has obviously increased in parallel with the current active (non-)labor-discourse after the German Unific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focuses on following main questions regarding the narratives of ‘delayed adulthood’ in both novels: From which cultural or artistic traditions are possibly derived the indolent, non-labor lives of two young male heros? Which contemporary political, cultural discourses have relevant effects on their bohemian lifestyles? And how similar or different are these lifestyles shaped in each novel? Furthermore, this study considers these typical ‘belated coming-of-age’ stories as well as identity crisis of young people in the context of recently articulated non-labor arguments. The arguments demonstrate the neo-liberal changes of labor conditions and the continuous expansion of precarious existence of young generation in Germany. To put it concretely, in Faserland a ‘postmodern dandy’ of the western capitalistic "fun society" is represented and in Junge Talente a ‘socialistic Bohemian’ with fundamental skepsis about the production-oriented labor ethics of East Germany. In short, this study trys to combine the significant changes in today`s working environment and the problem of prolonged adolescence with specific aesthetic responses, and finally to seize some accordances or discrepancies between labor and arts.

      • KCI등재

        만들어진 명작: 신사임당과 초충도(草蟲圖)

        조규희 ( Kyu Hee Cho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3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2 No.-

        This article explores how Sinsaimdang and her paintings exhibited social functions according to particular political and cultural interests of the powerful social forces in different times. Shinsaimdang`s Insects and Plants was invented as her masterpiece by the members of the Noron (Old Doctrine) party in the early 18th century. Even to the current day, Sinsaimdang and her artwork contain immeasurable significance and influence. Thus, it has become the canon of Korean art history. The completion of Gosangugok (the Nine-Bend Stream of Gosan) which depicts Yi I`s (1536-1584) Seokdam dwelling, and the invention of Sinsaimdang`s Insects and Plants by the Noron party were simultaneous events in 1709. A sense of crisis was spreading within them as King Sukjong (r. 1674- 1720) appointed Yoon Jeung (1629-1714), the leader of the opposite Soron (Young Doctrine) faction, as Vice State-Councilor in 1709. Thus, it means that the Noron formed the discourse on Sinsaimdang`s Insects and Plants through the political strife between Noron and Soron. They want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ir party members using visual images related to Yi I because they thought that the true way had been passed from the founder of Neo- Confucianism Zhu Xi to the Noron party through Yi I. After this, Sinsaimdang`s Insects and Plants continued to make new political meanings and caused cultural influence in Korean society. It became a social myth in 1960s and 1970s. This implies that Sinsaimdang`s Insects and Plants was used as the medium of the cultural dominance of the government. The making of Insects and Plants as symbolic capital in which the state was deeply involved was inseparable from the political values and interests of the dominant classes that served to invent Sinsaimdang as a cultural heroine. They could persuade people to think what they want them to think, and naturalize their political messages. Interpretations and evaluations of major canonical works in Korean art history have constantly been influenced by the art historians and curators of major museums and art markets. They also sometimes support the Sinsaimdang myth for political purposes and reasons. In all respects, the image of Sinsaimdang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Insects and Plants have been invented.

      • KCI등재

        조선후기 한양의 명승명소도와 국도(國都) 명승의 재인식

        조규희(Cho, Kyu-He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2 한국문학과 예술 Vol.10 No.-

        조선 수도의 가장 뛰어난 경관인 팔경(八景)을 지정하는 것은 왕실인사를 중심으로 한 최고위층 문사들의 몫이었다. 조선 말기에 편찬된 지리서인 『동국여지비고』에는 조선전기에 선정된 ?신도팔영(新都八詠)?, ?한도십영(漢都十詠)?, ?남산팔영?의 세 편 외에 단 한 편의 새로운 제영이 추가되었는데, 그것은 세손인 정조가 지은 ?국도팔영(國都八詠)?이었다. 그런데 정조의 ?국도팔영?은 이전의 제영에서 명승으로 주목하지 않았던 삼청동, 필운대, 청풍계, 세검정 등 서울 북리(北里)를 팔경으로 꼽고 있어 어느 시점에 한양의 최고 경관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음을 알려준다. 특히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1561-1637)의사당이 있는 안동 김문의 세거지를 국도팔경으로 꼽은 점도 주목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렇게 한양 북리의 명승들이 세손인 정조에 의해 국도팔경으로 인식되게 된 배경을 추적하며 이것이 북리의 명승명소를 『장동팔경첩』과 같은 일련의 화첩으로 처음 그렸던 이 지역의 대표적인 화가 정선의 명승명소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한양의 북촌이 ?국도팔영?의 제재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명승명소도가 오직 정선과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서만 그려진 점에 주목하여, 이러한 그림의 수용자가 누구였으며, 왜 소장하고자 하였는지도 살펴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정선의 대표작인 ‘기미춘사(己未春寫)’의 관서가 적혀있는 간송미술관 소장 <청풍계도>의 화풍과 제작시기, 그림의 수용자 등을 새롭게 조명하여 여러 폭이 전하는 <청풍계도>의 서로 다른 층위에 관해서도 논할 것이다. 이를 통해 청풍계를 위시한 한양 북리가 서울 제일의 명승명소로 인식되어 가던 정황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King Jeongjo made poems of eight views of the royal capital, Hanyang when he was the crown prince of Joseon. He adopted “Eight Views” of Hanyang from topographical landscapes of famous scenic sites of Hanyang"s northern town by Jeong Seon, who was the most distinguished painter laying the foundation for this mode of landscape painting. This article explores how Jeong Seon"s notable paintings of the region were related to the reassessment of the best scenery in Hanyang and the political meanings of eight views of Hanyang"s northern town. It also reconstructs the situations that produced Jeong Seon"s notable paintings of Hanyang and explores who the consumers of those paintings were.

      • KCI등재

        정선의 금강산 그림과 그림 같은 시 -진경산수화 의미 재고-

        조규희 ( Cho Kyu-hee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6

        鄭敾(1676-1759)은 금강산 그림으로 당대 최고의 산수화가라는 畵名을 얻었다. 그가 금강산 그림으로 대성한 이후, 조선에서는 우리나라의 勝景을 묘사한 실경산수화가 크게 유행하였다. 정선의 화명에 힘입어 18세기 이후 실경산수화는 현재 `진경산수화`로 불린다. 그런데 이미 존재하던 전대의 실경산수화와 구별하여 정선 이후의 그림들을 굳이 진경산수화로 칭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가령 `남종화풍`의 수용이나 `한국적 화풍`이라는 화풍적 차원으로, 혹은 조선중화주의에 입각한 국토애나 실학의 산물로, 혹은 동아시아의 실경산수화 제작 관습으로, 또는 새로운 문예사조나 산수유람 문화의 산물로 각기 진경산수화의 의의를 논한다. 이처럼 진경산수화란 용어는 자의적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술사학계 내에서 실은 논란이 많은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개념에 대한 이러한 혼선은 선행 연구 대부분이 정선에 대한 당대의 찬사를 이해하기 위해 정선 산수화의 `특별한` 출현 배경에 연구를 집중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배경보다는 정선의 금강산 그림이 당시에 새롭게 주목받은 맥락인 그의 금강산 그림의 새로운 역할과 의미, 그리고 수용의 문제를 논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현재 알려진 정선의 가장 이른 시기의 금강산 그림인 1711년에 제작된 『신묘년풍악도첩』과 1712년 작 『해악전신첩』 두 금강산 화첩을 주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정선의 금강산 그림이 새로운 맥락에서 조명된 문화사적 의의를 논할 것이다. 당시 서울 문예계에서 크게 주목받은 이 화첩들은 금강산의 산수미와 그림의 문예적 역할을 새롭게 인식시켰다. 이 논문에서는 정선의 금강산 그림으로 시작된 진경산수화란 용어를 재고할 것이지만, 정선의 명승명소도를 `진경산수화`와 같은 특별한 용어로 부를 것인가는 실은 부차적인 문제일 수 있다. 어차피 그 용어는 후대에 만들어진 용어이기 때문이다. 보다 본질적인 것은 정선의 금강산 그림에 대한 당대의 새로운 담론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선의 명승명소도가 그림 같은 시, 그리고 그림 같은 산수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허용하였다는 점을 이 논문에서는 주목한다. Jeong Seon became a nationally renowned artist for his Geumgang-san paintings. Hi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scenic sites also gained wide currency after his success in the landscapes of Geumgang-san. Under his reputation as the artist of pictures of notable sight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late Joseon society are now called the true-view landscapes. However, `True-view Landscapes` is not the terminology of his time. Thus, every researcher uses this term in their own sense. Instead of focusing on that terminology, this paper traces the meaning of an appreciable discourse on issues of Jeong Seon`s Geumgang-san paintings at that time. Gim Chang-heup took the lead in the progressive academic traditions and literature of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y Seoul literati society including Jeong Seon. By him, the sightseeing of Geumgang-san and the landscape poetry gained a new and special meaning. The followers of Gim Chang-heup needed Jeong Seon`s landscapes to produce their picturesque poetry. The paper explores the context of why the intellectual elite of the time sheds light on Jeong Seon`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Geumgang-san and examines the significant effects of such favorable reception.

      • KCI등재

        “반쪽이자 이중인” 과도기의 문학 - 시대소설로서의 임머만의 『에피고넨』 -

        조규희 ( Cho¸ Kyu-hee ) 한국헤세학회 2020 헤세연구 Vol.44 No.-

        『에피고넨』은 1830년대 독일의 과도기 사회를 폭넓게 담아낸 방대한 소설로서, 임머만은 이 작품에서 기존의 시문학적 이념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시대소설’이라는 새로운 글쓰기 방식을 시도하였다. 그는 당시 환상적 장르로 간주된 ‘소설’을 새롭게 다듬어, 당대의 현실을 담아내기에 적합한 월터 스콧 W. Scott 식의 역사소설로 변화시키려 하였다. 그리하여 이 소설에서는 ‘아류 세대’를 대변하는 과도기시대의 사회집단과 인물들이 등장하며, 작가는 이들을 통해 ‘봉건’과 ‘근대’라는 두 세계관이 혼재했던 시대의 정신적 혼란을 진지하게 그려나간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 시대의 흐름에 대한 객관적 서사의 관점은 일관되게 유지되지 않는다. 소설의 결말에 주인공은 도래한 산업의 시대를 거부하며 ‘땅’을 일구는 농경의 사회로 복귀한다. 시대와 개인의 이러한 어긋난 횡보는 19세기의 역사적, 문화적 변혁기에 쓰인 『에피고넨』에 내재된 시대적 갈등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즉 이 소설은 과도기 작가의 전통적 세계관과 사회적 현실의 서사가 혼합된 작품으로서, 문학적 전통과 역사의 진보가 “반쪽이자 이중으로” 공존하였던 독일의 초기 산업시대의 사회와 문학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Karl Immermanns umfangreicher Roman Die Epigonen ist der Versuch, ein breites Spektrum der deutschen Gesellschaft in den 30er Jahren des 19. Jahrhunderts, also in der Übergangsphase zur Industrialisierung mit literarischen Mitteln festzuhalten. Hierbei mobilisierte Immermann mithilfe eines neuen Erzählverfahrens die literarische Form des Zeitromans und nahm eine gewisse Distanz zum traditionellen Poesiebegriff ein. Statt den Roman als rein fiktives Genre zu begreifen, wie es die deutschen Romantiker taten, versuchte er ihn in ein wirklichkeitsgetreues, historisierendes Genre nach dem Modell Scotts umzuwandeln. Immermann ließ soziale Gruppen und Charaktere zur Sprache kommen, die das ‘Epigonentum’ repräsentierten. Mit den Porträts epigonaler Menschen gab er die geistige Verwirrung seiner Zeit detailliert wieder, in der feudale und moderne Weltsicht kollidierten. In diesem Roman wird jedoch die objektive narrative Perspektive auf die geschlichtlichen Entwicklungen nicht konsequent beibehalten. Die Intensität, mit der der schnelle gesellschaftliche Wandel dargestellt wird, mündet am Ende des Romans in eine Rückkehr zur ländlichen Harmonie. Dieses Schwanken zwischen dem Gang der Zeit und dem Handeln des Individuums im Roman impliziert den Konflikt zwischen der alten und der neuen Welt in einer Phase des historischen und kulturellen Umbruchs. Die Epigonen als ein Werk, in dem das Beharren auf Tradition und die geschichtliche Progressivität als “etwas Halbes und Doppeltes zugleich” nebeneinander existierten, ist ein Beispiel, an dem die literarische und geschichtliche Physiognomie seiner Zeit musterhaft zu beobachten ist.

      • KCI등재

        "시와 같은 그림"의 문화적 함의 -<소상팔경도>를 중심으로-

        조규희 ( Kyu Hee Cho ) 근역한문학회 2015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2 No.-

        세종의 삼남인 안평대군은 1442년 6월, 세종에게서 ``匪懈``라는 堂名을 하사받았다. 이해 8월에 이에 대한 화답으로 여겨지는 <소상팔경시화권>을 제작하였는데, 이 시화권에는 당시 영향력 있는 重臣 및 집현전 학자 다수의 시문들이 포함되었다. 비해당 안평대군이 <소상팔경시화권>을 제작하여 당시 정계와 지식인 사회의 이목을 끈 것이었다. 그러나 이 때 그려진 <소상팔경도>는 현재 그림이 전하지 않아 이후 조선에서 활발하게 제작된 <소상팔경도>의 연원 및 원형으로서만 주목되어 왔다. 그런데 이 당시는 세종이 ``소리``의 문화 통치를 구상하던 시기였고, 이러한 세종의 문화 정책을 수행할 핵심 지식인들은 당시 ``시``로써 문단을 주도하던 비해당 안평대군을 따르던 집현전 학자들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이 시점에 제작된 <소상팔경도>를 이들이 ``시와 같은 그림``으로 주목한 것이다. 이 논문은 이렇게 ``시와 같은 산수화``로서의 <소상팔경도>가 북송 11세기 후반에 처음 출현한 배경 및 고려에서 명종의 어명으로 특정한 시기에 제작된 맥락을 살펴, <소상팔경도>를 1442년에 안평대군이 재조명한 문화적 함의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에서 유행한 특정 畵題의 수용이 그동안 인식되어 온 것처럼 수동적인 영향관계에 의해서가 아니라 특정한 시기에 특별한 목적을 위한 적극적인 선택이었음을 논증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와 같은 그림 제작이 이후 조선 지식인 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시기에 그림을 통해 우회적으로 우아하게 자신들의 뜻을 전하는 문화를 형성하는 토대가 되었음도 살펴볼 것이다. King Sejong bestowed a house name called Bihae upon Prince Anpyeong, his third son, in June 1442. Regarded as a response to this award, Eight Views of Xiao Xiang was painted in August, embodying the poetry and prose of several influential senior statesmen and scholars of Jiphyeonjeon, a royal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by King Sejong. Namely, the production of Eight Views of Xiao Xiang by Prince Anpyeong of Bihae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then political and intellectual society. Throughout the period, King Sejong placed high importance on the culture of sound. The intellectuals who were assigned to fulfill such sound based cultural reign were the scholars of Jiphyeonjeon. These scholars performed under Prince Anpyeong of Bihae, who led the literary circles through poetry. A notable detail about these individuals is that they regarded the Eight Views of Xiao Xiang as a poetic painting. Pertaining to such poetic elements that the painting manifest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Eight Views of Xiao Xiang that Prince Anpyeong re-illuminated in 1442. Moreover, it will evince that Joseon``s reception of the painting``s theme that was prevalent in China was not due to mere pas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ut was an active choice that entailed specific purpose at a particular time period. Further on, the paper will analyze how the allusions of poetic paintings functioned as the groundwork for the elite scholars to indirectly and gracefully communicate their intentions during the politically and socially significant time of the intellect``s society.

      • KCI등재

        안평대군의 상서(祥瑞) 산수: 안견 필 < 몽유도원도 >의 의미와 기능

        조규희 ( Kyu Hee Cho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5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6 No.-

        세종대를 대표하는 화가인 안견(安堅)이 그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는 세종의 삼남인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1418-1453)이 의장(意匠)한 그림이다. 현재 〈몽유도원도〉 뒤에 붙어 있는 안평대군의 기문(記文)에 의하면, 안평대군은1447년 음력 4월 20일 밤에 꾼 꿈을 안견에게 그리게 하였고, 안견은 안평대군이꿈을 꾼 지 3일 만에 이 작품을 완성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꿈의 내용을 토대로〈몽유도원도〉는 왼편 하단부에서 오른편 상단부의 도원에 이르는 사선(斜線) 구도로 전개된 안평대군의 꿈을 재현한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기문에 적힌서사적 요소인 안평대군이 꿈속에서 일행과 함께 노닌 이야기는 그림 속에 전혀나타나지 않는다. 당대에 그림을 감상한 안평대군의 측근 집현전 학사들도 이 작품을 ‘도원의 꿈’ 혹은 ‘꿈꾸던 도원’이라는 장소성을 중심 제재로 그린 ‘몽도원도(夢桃源圖)’로 이해하였다. 이것은 이 그림이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를 풀어낸 그림이 아니었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 안견의 그림이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인 「몽유도원기」에 의거한 것이 아니라면, 안견은 무엇을 근거로 이와 같은 시각이미지를 창출하였을까? 이 점에 대한새로운 이해는 〈몽유도원도〉가 지닌 수수께끼 같은 시각적 흥미인, 전통적으로 횡권을 감상하는 방향과 상반되게 그림이 전개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까? 이러한 전개방식은 이 작품의 기능에 대해 어떠한 실마리를 제공할까? 이 논문은 〈몽유도원도〉가 지닌 전례 없는 형식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이 작품이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즉 꿈의 내용을 종결한 그림이라는 기존 논의에서 더 나아가고자 한다. 이 그림은 오히려 그림이 완성된 이후 당대의 감상자들을 통해, 그리고 안평대군 자신을 통해 더욱 복합적이고 풍부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그림에 대한 다양한 반응들은 이 작품이 상서로운 산수로 읽혔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수용(受容)의 측면에 주목하면서 그림에 보이는 시각적 요소들에 대한 섬세한 읽기를 통해 〈몽유도원도〉가 어떠한 내러티브를 지닌 작품인지를 고찰한다.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drawn by a distinguished painter An Gyeon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s renowned for having depicted the story of Prince Anpyeong’s dream on the twentieth night of the fourth month in 1447. The account of his dream, “Record of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is comprehensively detailed next to the painting. However his scholar friend Bak Paengnyeong and the writers who have respectively written the painting’s preface and poetry/prose have designated a differentiated title called Dream of the Peach Blossom Land. The reason stems from the idea that the drawing does not delineate the account of the dream. Plainly stating, Prince Anpyeong elaborated on his dream journey only after An Gyeon completed the painting. The rationale behind the unconventional unfolding of the painting from left to right is that the painting has symbolically portrayed the land located northwest of Mt. Baegak. This coincides with the story in which Prince Anpyeong spots a peach blossom land situated on the ‘north valley.’ He wrote that in 1450, three years after his dream, he had fortuitously discovered a place that was similar to that which appeared in his dream. Within his written record, it states that the place was called Mugye Jeongsa, built on the side of the mountain, northwest from its peak. The painting of An Gyeon insinuates a depiction closer to the actual scenary of Mugye Jeongsa than the dream of Prince Anpyeong. The annals of Joseon history reports the reign of King Sejong as the time period in which most Fung Su (geomancy) related articles were researched. Since Fung Su is concerned with the telling of people’s fortune by read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the pivotal element of Fung Su could be said to be the vigor of land. As a schemer of Prince Anpyeong, Yi Hyeonno was a proficient expert in geomantic studies, also known as Bi Bo - Fung Su. At the time, Yi Hyeonno apprised the family members of the court of the consequences resulting from the failure of building a palace at the northwest of Mt. Baegak. He cautioned that the second son might take the king’s position instead of the eldest. Thus the construction of Mugye Jeongsa at the northwest of Mt. Baegak and Prince Anpyeong’s new pen name as the master of landscape suggest his use of Bi Bo - Fung Su. As a concluding analysis after a meticulous examination of the painting, it looks rather flat and stiff. It also includes mixtures of different views and perspectives such as the bird’s eyes view, connoting a sense of artificiality and dramatic composition. It is also noted for its depiction of the peach blossom land that gives an impression of desolation. I believe that many of these visual features and sentiments are due to or in relation with the drawing’s function as an auspicious-omen pain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