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화 <이장>에 드러난 가족 해체 위기 극복 방식의 한계 고찰

        조규찬(Cho Kyu Ch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 또는 가족 공동체가 직면한 문제인 가부장제가 영상 매체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그 안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현실과 대응 방식을 분석하여 그 의미와 한계를 고찰해보는 것에 있다. 영화는 현실을 강하게 반영하는 매체, 즉 그 시대 또는 사회가 암묵적으로 강요하는 관습의 결과로 생산된다. 따라서 영화에서 재현되는 현실 속 다양한 문제와 이를 인식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방안을 규명하는 작업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화 <이장>은 21세기에도 여전히 가족 구성원 간 위계적 질서를 형성하는 가부장제 문제와 그로 인한 가족의 해체 위기를 다룬다. 영화 <이장>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가부장제에 대한 민낯을 보여줌으로써 위계적 질서로 인한 성차에 따른 차별과 불인정 형태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중요한 점은 가부장제라는 위계적 질서로 인하여 발생하는 차별은 여성 간의 갈등을 유발하고 나아가 주체인 남성으로부터 투쟁할 수 있는 기회마저도 박탈 당할 수 있는 위험성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영화 <이장>은 가부장제로 인한 가족 구성원 해체 위기가 극복되는 과정을 단순히 갈등 해소 및 서로에 대한 사랑과 포용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줄 뿐, 정작 근본적인 원인을 현실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제시하지 못한다. 오히려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부장제는 해체가 아닌 고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회 인식 변화 역시 이루어질 수 없다는 한계를 드러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eaning and the limit of patriarchy faced by Korean society or the family community by researching how it is embodied in video media and by analyzing the reality of women and the coping method of women revealed in this media. The movie is a media that reflects reality strongly; in other words, movies are produced as a result of customs that the era or the society force implici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work that identifies themeasures to recognize or improve various problems in reality that are realized in films. In relation to this, <Move the grave> deals with the problem of patriarchy that still forms the hierarchical order between family members in the 21th century and the resulting risk of family dissolution. The movie <Move the grave> reveals the problem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disapproval caused by hierarchical order, showing the naked face of the patriarchy, which is still deeply rooted in Korean society. The important point is that discrimination arising from the hierarchical order of patriarchy leads to conflicts between women and furthermore, increases the risk of being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fight the man who subjugates. However, the movie <Move the grave> only shows that the process of overcoming risk of family dissolution is through solving conflicts and is possible love and tolerance toward each other. It fails to suggest measures that can solve the root cause realistically. The patriarchy, which is the root cause, is not dismantled but is seen as permanent, and it reveals a limit that a change in social recognition is not possible.

      • KCI등재

        다르덴 형제 영화에 나타난 무조건적인 환대 양상 고찰

        조규찬(Kyuchan Ch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This study examines the (im)possibility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Levinas' theory, targeting “Young Ahmed” and “Tori and Rockita” among the works of the Darden brothers. Levinas argues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 ethics, the subject and the other should practice other-centered social ethics by moving toward an ethical relationship. However, as Levinas argues, it is always difficult to realize unconditional hospitality because the subject may not respond fully to the other's appeal, and the other also does not always exist as a weak person in front of the subject. First, “Young Ahmed” shows the possibility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as a monstrous other is converted into a weak due to the efforts of the subject due to the contrary religious beliefs. Next, “Tori and Rockita” reveals that unconditional hospitality is impossible when the other is monstriz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relationship with a selfish subject as a weak person. In the end, through these two work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Darden brothers' perception of the refugee problem faced around the world. 본 연구는 다르덴 형제의 작품 중 “소년 아메드”와 “토리와 로키타”를 대상으로 레비나스의 이론인 무조건적인 환대의 (불)가능성 양상을 살펴본다. 레비나스는 타자윤리학 관점에서 주체와 타자는 윤리적관계로 나아감으로써 타자 중심적인 사회윤리를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레비나스의 주장처럼 언제나 주체는 타자의 호소에 전적으로 응답하지 않을 수 있으며, 타자 역시 주체 앞에서 항상 약자로서만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환대의 실현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먼저 “소년 아메드”는어긋난 종교적 신념으로 인하여 괴물화된 타자가 주체의 노력에 따라 약자로 전환됨에 따른 무조건적인 환대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토리와 로키타”는 약자로서 타자가 이기적인 주체와의 관계형성 과정에서 괴물화되었을 때 무조건적인 환대가 불가능함을 드러낸다. 결국, 이 두 작품을 통하여전 세계적으로 직면한 난민 문제에 관한 다르덴 형제의 인식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영화 <고려장>에 나타난 권력 구도와 지식의 연관성 고찰

        조규찬(Cho Kyu-chan)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4 No.-

        본고는 <고려장> 속 지배자와 종속자의 관계 양상에서 발생하는 권력의 구도와 지식의 연관성에 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 텍스트는 지배자와 종속자를 양분시키는 권력의 구도가 발생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때 지배자와 종속자 간 권력의 구도는 이를 수행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인식한 지식을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따라서 전혀 다른 방식으로 드러난다. 이처럼 지배자와 종속자가 각기 마주하는 권력의 구도와 지식의 연관성을 통하여 드러나는 진실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무당과 십 형제는 각각 규율 권력과 주권 권력을 지닌 지배자의 위치에 해당하며, 이들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종속자에 해당하는 화전민 부락 사람들에게 강제적인 복종을 강요한다. 그러나 무당과 십 형제는 강제적인 복종을 강요하는 과정에서 그들에게 저항을 시도하는 종속자라는 위험 요소를 대수롭지 않게 여김으로써 사전에 처단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한다. 결국, 지배자로서 무당과 십 형제가 상실한 기회는 위험 요소인 종속자의 저항 시도가 성공함으로써 권력 구도가 바뀌고, 그로 인하여 그들 이 죽음을 피할 수 없는 결과로 나타난다. 반면, 구룡은 종속자와 지배자라는 두 가지 위치를 함께 지니고 있으며, 그가 어떠한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서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먼저 구룡이 무당과 십 형제로부터 강제적인 복종을 강요당하는 종속자의 위치일 경우 권력의 구도를 바꾸기 위하여 끊임없이 저항을 시도한다. 그러나 구룡이 화전민 부락 사람들과의 관계 양상에서 지배자의 위치에 해당할 경우 철저하게 그들을 억압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드러낸다. 이처럼 구룡의 경우 종속자와 지배자라는 두 가지 위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지배자로서 지니고 있던 모든 것을 잃게 되는 순간 종속자의 위치만 남게 된다. 그러나 구룡은 지배자인 무당과 십 형제에게 끊임없이 시도했던 저항을 성공시킴으로써 권력 구도가 영원하지 않다는 진실과 마주한다. 즉, 종속자인 구룡 스스로 권력 구도를 무너뜨림으로써 결코 지식과 떨어질 수 없으며, 나아가 얼마든지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증명 한다. 이처럼 <고려장>은 권력 구도와 지식의 연관성, 나아가 그 안에 감추어진 진실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power structures and knowledge gener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in the film <Goryeojang> (directed by Kim Ki-young; 1963). This text show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power structure that divides the ruler and the ruled comes into being and changes. Here, the power structure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differs completely according to how one responds to the knowledge perceiv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and accepting that structure. The significance of the truth that emerges from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tructure and knowledge that the ruler and the ruled each face is as follows. The female shaman and the ten brothers are rulers possessing disciplinary power and sovereign power, respectively. In order to maintain their power, these characters ceaselessly force obedience from the slash-and-burn farmers living in a village, who are the ruled. However, in the process of thus forcing obedience on the villagers, the shaman and the ten brothers lose opportunities to prevent resistance from the ruled by disregarding the danger of the villagers’ attempts at resistance. In the end, the chances thus missed by the shaman and the ten brothers as rulers affect changes in the power structure as the villagers’ attempts at resistance succeed and, at the same time, lead to irreversible results as the rulers meet with death. In contrast, Gu-ryeong is both rules and is ruled and exhibits very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his position. First, when he is a member of the ruled forced to obey the shaman and the ten brothers, this figure unceasingly attempts resistance in order to change the power structure. However, when Gu-ryeong is the ruler in his relationship with the villagers, he ruthlessly oppresses and inflicts violence on them, thus exhibiting a dual nature. Although this character thus possesses a dual status in both ruling and being ruled, the moment he loses everything that he has possessed as a ruler, he becomes nothing but a member of the ruled. However, by successfully executing resistance against the shaman and the ten brothers, or the rulers, which he has ceaselessly attempted, Gu-ryeong comes to face the truth that power structures are not perpetual. In other words, a member of the ruled, this figure proves that knowledge is inseparable and that he can amply bring about change by breaking down power structures himself.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power structures and knowledge and,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e truth hidden within them can be confirmed, <Goryeojang> is a valuable text.

      • KCI등재

        <기생충>에 드러난 자본과 공간 연구

        조규찬(Cho Kyu―Chan)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5

        <기생충>은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의 소유 여부에 따라서 각각의 집단의 삶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양상이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개인이 소유한 자본의 양은 그들을 상위 또는 하위 집단이라는 차이를 강제적으로 구별하며, 이는 공간의 고착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본고는 <기생충>을 통하여 드러나는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자본과 공간으로 인식하고, 등장 인물들에게 발생하는 구별 짓기를 통한 집단 간의 차이와 공간의 고착이 이루어지는 과정 및 집단 간 또는 집단 내 충돌이 비극적인 결말로 드러날 수밖에 없음을 살펴보았다. 먼저 <기생충>은 자본의 차이가 개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그들을 상위 또는 하위 집단으로 규정하며 위계적인 관계를 발생시킴을 보여준다. 하위 집단의 인물들은 상위 집단의 인물들과 위계적인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생계를 연명하기 위하여 기생하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 반면, 상위 집단의 인물들은 더 많은 자본을 바탕으로 하위 집단 인물들의 생계를 위협하며 자신들의 이익만 추구한다. 결국, 하위 집단의 인물들은 생계유지를 위하여 집단 내 충돌을 발생시키고, 그 과정에서 집단 간 충돌마저 망설이지 않는 모습을 드러낸다. <기생충>은 집단 내 또는 집단 간의 충돌을 비극적인 결말로 보여줌으로써 21세기 자본주의 사회가 직면한 자본과 공간의 문제점이 지닌 심각성에 관한 경종을 울린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Parasite> clearly shows how much the aspects of space in which each group’s lives take place can differ depending on the ownership of capital in the 21st century capitalistic society. The amount of capital owned by individuals forcibly distinguishes the difference of upper or lower groups, which inevitably results in the fixation of space. This paper acknowledges the problems of 21st capitalistic society as revealed in <Parasite> as that of capital and space, and examines how the differences in class through the categorization that applied to the characters, the process of how space becomes set in and the inter-groups or intra-group conflict can only meet with a tragic ending. Foremost, <Parasite> shows how the differences in capital define characters into either upper or lower group regardless of individual will and result 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Characters in the lower group forms a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s in the upper group and must choose the life as parasites in order to keep living. On the contrary, the characters in the higher group threaten the lives of lower group characters with more capital and only pursue their interests. Ultimately, the characters of the lower group generate intra―group conflict in order to continue to make a living and in this process are not hesitant towards inter-group conflict. <Parasite> is significant because it rings the alarm on the significance of the problems of capital and space faced by 21st century capitalistic society by showing how intra-group or inter-group conflicts lead to tragic ending.

      • KCI등재

        <기생충>에 드러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균형 고찰

        조규찬 ( Cho¸ Kyu-cha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2

        본고는 <기생충>이 자본주의 사회의 글로벌 계급구조의 모순적 균형에 대한 민낯을 보여줌으로써 서로 다른 계급의 강제적 공생 형성이라는 위험성을 폭로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여전히 자본주의 사회에서도 개인의 생존 욕구의 충족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제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은 개인의 노력 여부와는 별개로 모두에게 공평하게 분배되지 않음으로써 계급의 불균형이라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생존의 기본 조건인 자본과 이를 바탕으로 더 많은 소득을 창출하는 불로소득이 특정 계급에 몰리는 현상은 계급의 불균형을 발생시킴으로써 계급의 고착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기생충>은 최상층 계급과 최하층 계급의 강제적 공생 형성을 통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불균형의 위험성을 드러낸다. 중요한 점은 각 계급에 해당하는 집단의 행위와 그 결과가 자본주의 사회의 새로운 글로벌 계급구조 전체를 대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단지 <기생충>은 각 계급에 해당하는 집단의 행위과 그 결과를 제시하는 데 그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인 언급하지 않는다.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불균형이라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글로벌 계급구조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연대를 통한 개선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목숨의 연명을 위하여 생존 욕구 충족에만 급급한 프레카이아트와 룸펜 프레카라이트 계급의 내부적 분리가 지속된다면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불균형 문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 생존 욕구의 충족을 넘어 충분한 자본과 그로 인한 불로소득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위층에 해당하는 두 계급의 공감대 형성을 통한 연대가 중요한 것이다. 즉, 프레카리아트와 룸펜 프레카리아트 계급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처한 상황이 개인적 부족함 때문이 아닌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 문제 때문임을 자각해야만 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생충>은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균형을 향한 하위층 계급의 연대가 아닌 숙주를 차지하기 위한 동일한 하위층 계급으로서 기택 가족과 문광․근세 부부의 처절한 사투를 보여준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균형의 위험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연대를 통한 개선 노력이 아닌 개인의 분노 표출에 그친다는 점에서 해결될 수 없는 문제임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act that < Parasite > exposes the reality of the contradictory balance of the global class structure of capitalist society, revealing the dangers of the formation of compulsory symbiosis between different classes. In a capitalist society, the fulfillment of an individual's need to survive is still the most important issue. However, capital in such a society creates a problem of class imbalance by not being distributed equally regardless of individual efforts. In particular, the phenomenon in which capital and passive income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class results in class imbalance, which eventually results in class fixation. < Parasite > reveals the danger of contradictory imbalance in a capitalist society through the formation of compulsory symbiosi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actions of the groups and their consequences for each class do not represent the entire new global class structure of capitalist society. However, < Parasite > presents the actions and results of the group corresponding to each class and does not mention a concrete solution to this. This is because,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contradictory imbalance in a capitalist society, it is necessary to have a change in awareness regarding the new global class structure and make improvement efforts through solidarity. If the internal separation of the Precariat and Lumpen Precariat classes focused only on the fulfillment of one's desire for survival, the contradictory imbalance of capitalist society can never be solved. In order to achieve sufficient capital and the resulting passive income, solidarity through the formation of consensus between these two divisions of the lower class is important. In other words, those who fall into the Precariat and Lumpen Precariat classes must be aware that their situation is not because of personal deficiency, but because of the structural problems of capitalist society. In this regard, < Parasite > shows the desperate struggle of Kitack's family and the Moongwang and Geunsea couple as the same lower class attempting to occupy the host, not the solidarity of the lower class towards the contradictory balance of capitalist society. However, despite recognizing the dangers of the contradictory balance of capitalist society, it limits itself to show the anger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rying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through solidarity, clearly indicating that it is a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 MIXTURE : 분산 프로그램 개발 시스템

        조규찬(Kyoochan Cho),조유근(Yookun Cho) 한국정보과학회 198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5 No.2

        본 논문에서는 분산 프로그램 개발 시스템, MIXTURE의 설계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MIXTURE는 다중 언어로 작성된 분산 프로그램의 개발을 지원하고, 분산 수행되는 모듈들 사이에 공유 데이타 오브젝트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분산 프로그래밍 환경을 지원한다.

      • KCI등재

        차범석의 극 <화조>와 김수용의 영화 <화조>에 드러난 나혜석 재현 방식 고찰

        조규찬(Kyuchan Ch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이 글은 나혜석을 재현한 다양한 작품 중에서 차범석의 <화조>와 이를 영화화한 김수용의 <화조>를 비교해봄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각 매체별로 나타나는 나혜석의 재현 양상의 과정을 살펴봄에 목적을 두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범석의 극 <화조>는 실존 인물인 나혜석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예술가로서 그의 신념과 열정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둔다. 그러나 예술가로서 나혜석이 몰락하는 과정을 직접 표현하는 것이 아닌 이기자의 내레이션을통하여 간략히 드러냄으로써 결과적으로 남성의 시선으로 재단될 수 있다는 문제를 드러낸다. 둘째, 김수용의 영화 <화조>의 경우 동명의 원작을 토대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재현 대상인 나혜석을 다루는 방식에 차이가 존재한다. 즉, 원작과 달리 신여성으로서 나혜석의 삶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중반 이후 나혜석 중심의 삼각관계를 다룸으로써 작의가 제대로 드러나지 못하는 문제를 드러낸다. 이처럼 차범석의 극 <화조>와 김수용의 영화 <화조>는 두 작품 모두 당시의 지배적이었던 가부장적 관념에 굴복하지 않고 나름의 방식으로 투쟁하고자 했던 예술가 또는 신여성으로서의 삶을 충실히 보여주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Na Hye-seok’s reproduction by comparing Cha Bum-seok’s <Fire Bird> and Kim Soo-yong’s <Fire Bird>, which were not covered in the previous stud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 Beom-seok’s play <Fire Bird> focuses on revealing her beliefs and passion as an artist in the process of recreating the real Na Hye-sok. To this end, by using stage equipment, However, as an artist, he does not directly express the process of Na Hye-sok’s downfall, but briefly reveals it through the narration of Lee Ki-ja. As a result, it reveals the problem that it was tailored from a male point of view. Second, in Kim Su-yong’s movie <Fire Bir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ay Na Hye-sok, the object of reproduction, is handled, even though it is based on the original play of the same name. However, by dealing with the triangular relationship centered on Na Hye-seok after the middle, the problem of the writing is not properly revealed. As such, Cha Bum-seok’s play <Fire Bird> and Kim Soo-yong’s movie <Fire Bird> can b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at both works tried to faithfully show their lives as artists or new women who tried to fight in their own ways without surrendering to the dominant patriarchal concept of the time.

      • KCI등재

        김기덕 영화 <피에타>에 나타난 가족과 자살 연구

        조규찬 ( Kyu Chan Cho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7 No.1

        김기덕은 자신의 영화 속에서 자신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영역을 구축한 감독이다. 그럼에도 김기덕 영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페미니즘·이미지 연구·작가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점에서 김기덕의 영화 <피에타> 역시 성차별적인 모습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이미지들이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피에타>는 기존 그의 작품들과는 다르게 가족과 자살이라는 면을 부각시킴으로써 자신의 영화가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김기덕 영화 <피에타>에서 나타나는 가족과 자살이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영화 <피에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가족의 모습은 철저하게 누군가에 의하여 파괴되거나 혹은 새로 만들어지기도 하는 등 가족 구성원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가족 구성원의 해체와 생성의 중심에 강도와 미선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것으로 말미암아 타인의 가족이 파괴되기도 하며, 오히려 또 다른 새로운 가족의 모습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타인의 가족을 파괴하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경제적인 이유 때문이다. 작품에서 새로운 가족의 모습이 만들어지는 이유는 일차적으로 미선의 복수를 위해서지만 궁극적으로는 미선으로 인하여 강도가 받게 되는 모성과 다시금 그녀로 인하여 상실하게 되는 모성 때문이다. 또한 영화 <피에타> 속 자살 역시 사람 사이의 관계적 역할 여부에 따라서 발생하고 있다. 누군가는 자신의 복수를 위하여 자살을 선택하기도 하며, 그리고 또 다른 이는 타인에게서 받는 상처를 견디지 못하여 자살을 선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모두 지지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기에 일관된 맥락을 지닌다.. 이처럼 영화 <피에타>는 김기덕의 기존 작품들과 달리 더 나아가 오늘날 가족의 관계와 자살의 의미가 지니고 있는 문제까지 드러내고자 하기에 그 중층적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Kim Ki-deok is a movie director who has constructed his own inherent and unique territory in his movies. But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his movies were made in the viewpoint of feminism, image study and auteurisme. In this respect, in his movie <Pieta>, too, we could confirm that sexism, and repeatedly overlapped images, appear. In <Pieta>, however, the aspects of family and suicide were stressed, so that the limit of his movie might be overcom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review how family and suicide are depicted in the movie <Pieta>. We can confirm, in the movie <Pieta>, the picture of a family of which the members are changing, by destruction by someone, or by regeneration. We can see that in the center of the dissolution and regeneration of the family members are Kangdo and Miseon, and that sometimes another family is destroyed by this, while other times a new family is still formed. The ultimate reason for you to destroy another family is economical. The reason for a new family to be generated is primarily for the revenge of Miseon, but ultimately it is due to the maternal instinct that Kangdo gets because of Miseon and that he loses later because of her. And the suicides in the movie <Pieta> also occur depending on whether relational roles exist between people. Someone chooses suicide for his revenge, whereas another does because he cannot bear the wound inflicted by other people. But the two cases have a consistent vein as they all occur from the problem of support. Because the movie <Pieta> tries to further reveal the problems of family relations of today and of the meaning of suicide, apart from Kim Ki-deok’s previous movie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ts multi-layered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