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메니우스에서 도덕 교육학의 예비학으로서 훈육 교육과 문명화 교육

        조관성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35

        This article carries out an immanent-interpretative study of Comenius starting from his original pedagogical works. By making use of the method of constructive exposition which contrasts with that of destructive exposition the author deals with the above mentioned theme from the standpoint that not only philosophy and ethics but also moral pedagogy and moral psychology have in common. In this paper it will be attempted to bring out first the Comenius conception of moral pedagogy or moral education in a wide sense that he describes explicitly and implicitly, and second its place and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moral philosophy and moral pedagogy. According to the Comenius explicit and implicit conception of moral pedagogy that he has in mind and takes in a wide sense, Disziplin (als Zucht)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negative moral propaedeutics for genuine moral education (Moralisierung or Moralpädagogik which is here to be understood in a narrow sense), and Zivilisierung can be characterized as a kind of positive moral propaedeutics for genuine mo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wide context in which Disziplin, Zivilisierung and Moralisierung stand, this thesis gives an illuminating account of what moral education is in a wide sense and how it can be performed and practised. Drawing on the moral philosophical and moral psychological theories of human act and motivational factors (e. g. three levels of human existence, three steps of psychological regulation, three kinds of values, three forms of motivation, and three types of moral educative habituation), this study purports to reconstruct (by relying on my own conceptualization and theorization which are based above all implicitly on Aristoteles and Husserl and explicitly on Kant) the core aspects of the method of moral pedagogy (which is here viewed in a wide sense) that can be employed in the three modes of moral educative habituation. ①글쓴이는 아래 논문에서 한편으로 윤리학과 교육학의 접점에 서서 다른 한편으로 철학과 윤리학 그리고 도덕 교육학과 도덕 심리학의 문맥 안에서 코메니우스의 일차 전거들에 대한 내재적 해석과 (해체적 해설이 아닌) 건설적 해설의 방법을 따르는 연구를 수행한다. ②아래 논문은 코메니우스가 명시적으로 또는 함축적으로 의도하는 도덕 교육학의 얼개를 그리고 그의 도덕 교육학의 철학사적 위치와 의미를 칸트 철학의 관점에 서서 발굴하고자 한다. ③글쓴이는 도덕 교육학에 관한 코메니우스의 명시적 구도와 암묵적 구도에 따라서 훈육 교육을 진정한 도덕 교육을 위한 소극적 예비 단계로 파악하며, 문명화 교육을 진정한 도덕 교육을 위한 적극적 예비 단계로 이해한다. ④현재 논문은 넓은 의미의 도덕 교육 안에서 코메니우스가 의중에 두고 있는 훈육 교육과 문명화 교육과 진정한 도덕 교육의 관계에 착안해서 넓은 의미의 도덕 교육이 무엇이며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가를 밝혀내고자 한다. ⑤아래 연구는, 넓은 의미의 도덕 교육 방법의 주요 핵심 부분을 인간의 세 가지 존재 층과 세 가지 단계의 심리적 규제 그리고 인간의 삶과 행위를 규정할 수 있는 세 가지 유형의 가치와 동기 그리고 더 나아가 도덕 교육적 습관 형성의 세 가지 수준에게 (곧 도덕 철학과 도덕 심리학에 속하는 동기 이론과 행위 이론에게) 의탁하여 개념화하고 이론화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⑥이러한 방식의 재구성을 통하여 글쓴이는 세 가지 수준에서 실행할 수 있는 넓은 의미의 도덕 교육 방법을 확보하고자 한다.

      • KCI등재

        후설 윤리학의 전역사 - 흄, 칸트, 후설 -

        조관성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5 No.4

        Diese Studie, die zum einen in ihrem Hintergrund argumentierend und zum anderen in ihrem Vordergrund interpretierend vorgeht, behandelt die Humes empirische Gefühlsethik und die Kants formale Verstandesethik im Blick auf die Husserls phänomenologische Wertgefühlsethik anhand von ihren Hauptwerken der Ethik. Sie thematisiert diese drei Typen der Ethik im Hinblick auf die folgenden wichtigen moralphilosophischen Subthemen:1.Gefühlsleben, Willesleben und Verstand, 2.Wertrealismus und Wertgefühl, 3.Praktische Vernunft(universale Praktische Vernunft, instrumentale Praktische Vernunft, formale universale Praktische Vernunft, materiale universale Praktische Vernunft), 4. Moralität, Quasi-Moralität, Immoralität, 5. Kategorische Imperative, 6. empirische deskriptive Ethik und formale normative Ethik, eine auf Formalismus gebaute materiale deskriptive Ethik und eine auf Formalismus gegründete materiale normative Ethik. Diese nachfolgende Abhandlung versucht das klar herauszuarbeiten, was die drei auf die Gefühlsethik und Verstandesethik sowie Wertgefühlsethik bedachten Philosophen über die oben genannten Subthemen nachgedacht und behauptet haben. Sie hebt die Husserls Wertgefühlsethik hervor, welche die Humes Gefühlsethik und die Kants Verstandesethik dialektisch synthetisiert. Sie legt Nachdruck auf die lebendige Überzeugungkraft der Husserls Wertgefühlsethik, die darauf abzielt, einerseits eine auf Formalismus gebaute materiale deskriptive Ethik, andererseits eine auf Formalismus gegründete materiale normative Ethik zu stiften. 아래 논문은, 후설의 가치 감정의 윤리학과 영향사적 연관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는바 후설 윤리학의 전역사에 속하는 흄의 감정주의 윤리학과 칸트의 이성주의 윤리학을 후설의 가치 감정의 윤리학과 대조하여 논구 한다. 아래 연구는 흄과 칸트와 후설이 공유하는 감정과 이성이라는 도덕철학적 주요 상위 주제에 관계하는바 다음과 같은 세부 하위 주제들 안에서 진행 한다: 1.감정과 이성의 대립 관계 그리고 감정과 의지와 이성의 연속적 융합, 2.가치 실재주의와 가치 감정과 가치 의식의 문제, 3.실천 이성의 사용 (보편적 실천 이성, 도구적 실천 이성, 형식적인 보편적 실천 이성, 실질적인 보편적 실천 이성), 4. 도덕의 관점과 준도덕의 관점과 부도덕의 관점, 5. 도덕 법칙으로서의 정언 명령, 6.경험적 기술 윤리학과 형식적 규범 윤리학, 형식주의를 포용하는 실질적인 기술 윤리학과 형식주의를 보존하는 실질적인 규범 윤리학. 아래 논문은 그 배경에서 논증의 방법을 따르며 그 전경에서 해석과 해명의 방법을 따르면서 이러한 세부 하위 주제들에 관하여 세 가지 윤리학이 제시하는 도덕철학적 기본 견해를 부각하며, 흄 윤리학과 칸트 윤리학이 후설 윤리학으로 종합되는 국면과 맥락을 해석해내며, 이 두 가지 윤리학과의 관계 속에서 후설 윤리학이 가지는 특징과 설명력을 밝혀낸다.

      • KCI등재

        코메니우스의 인식론과 교육학

        조관성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2 No.1

        In diesem Aufsatz wird es beabsichtigt, im Blick auf Philosophiegeschichte die in der Pädagogik und Didaktik von Comenius enthaltenen erkenntnistheoretischen Implikationen herauszuarbeiten. Das bestrebte Thema wird nicht logisch argumentierend, sondern hermeneutisch explizierend anhand von Comenius Hauptwerken abgehandelt. Der Stellenwert der Erkenntnistheorie von Comenius wird im Kontext der Philosophiegeschichte sowie seiner Pädagogik und Didaktik hervorgehoben. Vor allem folgende Hauptthesen vertritt der nachfolgende Aufsatz:1) Comenius Erkenntnistheorie kann einerseits als eine Erkenntnistheorie von Aussen her andererseits als eine Erkenntnistheorie von Innen her interpretiert werden. In diesem Aufsatz wird nur die Erkenntnistheorie von Aussen her thematisch behandelt;2)Aristoteles ist der wichtigste Philosoph, der in Comenius Erkenntnistheorie von Aussen her ihn massgeblich beeinflusst hatte; 3)Comenius Erkenntnistheorie von Aussen her geht aus von dem mit Realismus verbundenen Empirismus, der an den verschiedenen Zweigen der Philosophie von Aristoteles abzulesen ist;4)Sie setzt die von Atistoteles stammende Angeborenheitsthese über Naturanlagen des Menschen voraus; 5) Die zwei erkenntnistheoretischen Standpunkte Innatismus und Empirismus, die Comenius von Aristoteles übernimmt, sind zu bestimmen im schwachen Sinn; 6)Comenius Erkenntnistheorie von Aussen her, die in sich eine einheitliche Koexistenz von Innatismus und Empirismus birgt, dient als ein philosophischer Grundboden für Möglichkeiten des Lehrens und Lernens sowie des Erkennens und daher im erweiterten Sinn für Pädagogik und Didaktik. 아래 논문의 목적은, 철학사와 교육사에 주목하여 코메니우스의 교육학과 교수학 속에 담겨 있는 철학적 인식론의 함의들을 밝혀내는 데 있다. 글쓴이는 이 논구에서 논증과 논박의 방법이 아니라 코메니우스의 저작에 관한 이해와 해석의 방법으로 연구 주제를 다룬다. 글쓴이의 해석에 따르면 코메니우스의 교육학과 교수학이 품고 있는 인식론은, 밖으로부터의 인식론의 길과 안으로부터의 인식론의 길을 담고 있는데, 아래 논문은 밖으로부터의 인식론을 논구한다. 이 논문은, 1)코메니우스의 교육학과 교수학을 뒷받침하는 그의 철학적 인식론이 철학사 그리고 그의 교육학과 교수학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를, 2)코메니우스의 인식론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우러나오는 인간 본성 이론 (또는 인간 소질 이론)과 실재론적 경험주의에서 출발함을, 3) 코메니우스의 인식론이, 약한 의미의 실재론적 경험주의와 약한 의미의 인식 본유주의의 공존을 담고 있음을, 4) 실재론적 경험주의와 인식 본유주의의 공존과 양립을 함축하는 코메니우스의 인식론이, 교수 활동과 학습 활동 그리고 인식 활동을 뒷받침하는 철학적 토대이며 동시에 교육학과 교수학에 대하여 철학적 기초와 배경을 제공함을, 5) 이러한 코메니우스의 인식론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다양한 갈래로부터 심층적 영향을 받아 형성되고 규정되었음을 부각하여 주장한다.

      • KCI등재

        『칸트의 교육학 강의』에 관한 철학적 주석 1부 : 칸트의 실천 철학에 기초한 현상학적 자기 해석

        조관성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05 교육논총 Vol.25 No.1

        본 연구자는 칸트의 실천 철학을 이해와 해석의 바탕으로 삼아 본인이 한국어로 번 역하여 출간한 『칸트의 교육학 강의』를 철학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여 주석하는 일을 해오고 있다. 본 연구자의 철학적 해석으로 이루어지는 이러한 주석 작업은, 칸 트가 교육에 관하여 사유한 바의 내용을 드러내 밝힐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을 개념적으 로 명확하게 기술하는 일을 수행한다. 본 연구자의 철학적 주석은, 칸트가 주제 삼는 교육이나 실천 철학에 관한 내용을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작업이 아니라, 그가 구축한 실천 철학의 기초 위에서 그가 기술하고 있는 교육에 관한 주제들의 내적 의미를 드러 내 밝히는 내재적 해석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의 제목에 담겨 있는 현상학적 자기 해석이란, 『칸트의 교육학 강의』에 관하여 본 연구자가 칸트의 철학과 실천 철 학의 관점에 서서 『칸트의 교육학 강의』를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식을 지칭한다. 아래 논문은, 본 연구자가 앞으로 15부 이상의 연구 논문을 작성함 으로써 연속적으로 수행할 철학적 주석 작업의 첫 번째 연구 논문이다.

      • 생활세계와 인식의 관련성에 관한 일고찰 : 훗설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조관성 全北大學校 哲學科 1984 饗宴 Vol.1 No.-

        인간은 <이론적인 사변>과 <과학적인 탐구활동>을 하기에 앞서, 일차적으로 세계내에서 무반성적인 <일상적 경험>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경험적 자아이다. 우리는 <반성적 태도>를 가지기 이전에 <일상적 경험>을 통해서 <세계>와 그 속에 담겨있는 <모든 대상들>과 관련을 맺는다. 이 <세계>는 인간의 <삶의 세계>이자 동시에 <인식대상의 영역>이다. 경험의 주체인 우리는 일차적으로 <자연적 태도>에서 세계와 그 속에 있는 모든 대상들을 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칸트의 교육학 강의』에 관한 철학적 주석 2부 : 칸트의 실천 철학에 기초한 현상학적 자기 해석

        조관성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05 교육논총 Vol.25 No.2

        본 연구자는 칸트의 실천 철학을 이해와 해석의 바탕으로 삼아 본인이 한국어로 번역 하여 출간한 『칸트의 교육학 강의』를 철학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여 주석하는 일을 해 오고 있다. 본 연구자의 철학적 해석으로 이루어지는 이러한 주석 작업은, 칸트가 교육에 관하여 사유한 바의 내용을 드러내 밝힐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을 개념적으로 명확하게 기 술하는 일을 수행한다. 본 연구자의 철학적 주석은, 칸트가 주제 삼는 교육이나 실천 철 학에 관한 내용을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작업이 아니라, 그가 구축한 실천 철학의 기초 위 에서 그가 기술하고 있는 교육에 관한 주제들의 내적 의미를 드러내 밝히는 내재적 해석 의 방법으로 진행한다. 본 연구의 제목에 담겨 있는 현상학적 자기 해석이란, 첫째로 해 석의 원리를 고려할 때, 후설과 하이데거의 현상학적&#8228;해석학적 시각과 방법을 가리키며, 둘째로 해석의 실행을 고려할 때, 본 연구자가 칸트 철학과 그의 실천 철학의 관점에 서 서 『칸트의 교육학 강의』를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식을 지칭한다. 아래 논문은, 본 연구자가 앞으로 12부 이상의 연구 논문을 작성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수 행할 철학적 주석 작업의 두 번째 연구 논문이다.

      • KCI등재

        비베스의 『지혜에 이르는 길』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철학의 관점에서―

        조관성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3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education no one has yet produced an article or a book on Vives starting from an overall philosophical exposition of Vives small work as a whole entitled Introductio ad Sapientiam . Based on this small book written in ordinary language rather than in technical jargons and by comparing the Latin text with the English text my study attempts not a destructive but an overall constructiv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Vives who is to be regarded as philosopher, theologian, and educational teacher. The author intends to excavate and make clear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that remain hidden in Vives work. These philosophical implications for which Vives argues and stands implicitly or explicitly in his book are to be interpreted and understood in a wide spectrum. They belong to such various branches of philosophy as philosophical anthropology, philosophy of mind, moral philosophy, philosophy of education, philosophy of language, philosophy of religion. They are categorized by me into the following philosophy-directed thematic concepts and orientations :Mind- Body Monism and Mind-Body Dualism, Virtue Ethics and Natural Law Ethics, Wertrealismus und Wertgefühlsethik, weak Innatism and weak Empiricism, Respect for Persons-based Ethics and Christian Ethics, Cosmopolitanism and Peace, Res ante Nominen and Tat vor Wort, The Way of Reason and The Way of Faith. This illuminating article concerned with making evident not only the various thematic areas of philosophy but also the main thematic topics of philosophy that remain latent in Vives book purports to reveal that Vives core insights expressed in an explicit and implicit form in his work appear in an advanced and detailed explicit form in the philosophical-theological educational works of Comenius who is 100 hundred years junior to Vives, and who is esteemed like Vives as philosopher, theologian and educational teacher. This does not mean that Vives is of mor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education than Comenius, on whom I had already published a book titled Comenius on Education, Philosophy, and Religion-in view of the Interface between Reason and Faith-. I maintain that in the thematic domain of Homo Educandus and Homo Sciens which Vives shares with Comenius preceding Vives had influence on Comenius in a somewhat limited sense, and that succeeding Comenius achieved a full systematization of his philosophical education imbued with theology drawing on some core philosophical-theological educational standpoints and views held by Vives. 아래 논문에서 글쓴이는, 비베스의 책 『지혜에 이르는 길』에 관한 (해체적 해석의 방법이 아니라 구성적 해석의 방법을 따르는) 내재적 해석을 철학의 관점에 서서 수행하면서 ①이 책에 담겨 있는 철학적 함의들을 또는 비베스가 이 책에서 명시적으로 또는 함축적으로 내세우거나 내비치는 철학적 시각이나 견해를 읽어내고자 하며, ②이를 통하여 호모 에두칸두스와 호모 사이엔스로서의 인간에 대한 철학적 관심을 공유하는 비베스와 코메니우스가 드러내는 영향 관계를 선명하게 발굴하고자 한다. 비베스의 책이 품고 있는 철학적 함의들은 철학적 인간학과 심리 철학, 도덕 철학과 철학적 도덕 교육 이론, 종교 철학, 교수 학습 방법과 엮어진 인식 이론과 언어 철학 등에 관련되어 있다. 글쓴이는, 비베스가 자기의 철학함과 교육학함과 신학함을 펼치는 『지혜에 이르는 길』속에서 넓은 의미의 철학의 문맥에 속하는 특히 다음과 같은 중요한 주제들을 예를 들면 심신 연결 모형과 심신 분리 모형, 덕의 윤리학과 자연법 윤리학, 가치 실재주의와 가치 감정의 윤리학, 약한 선천주의와 약한 경험주의, 인간 존중의 윤리학과 기독교 윤리학, 세계시민주의와 평화, 선실후명의 길과 선행후언의 길, 신에 접근하여 신을 만나는 이성의 길과 신앙의 길 등을 중시하여 이 주제들을 명시적으로 언급하거나 함축적으로 암시하면서 다룸으로써 자기의 의중에 품고 있음을 특히 코메니우스에 주목하여 밝혀낸다. 글쓴이가 비베스의 책에서 읽어낸 아래 주제어들이 가리키며 품고 있는바 씨앗 형태의 철학적 논제들이나 주장들은, 코메니우스의 전거들 속에서 충분히 발아하고 성장한 작은 나무 형태로 나타난다. 철학자 신학자 교육학자로서 비베스와 코메니우스가 공유하는 이러한 철학적 논제들이나 주장들은 현대의 인문 과학 안에서 설명력과 설득력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 KCI등재

        Universalism in History and Ethics -in View of Hans Graeves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into Realgeschichte or Reale Weltgeschichte-

        조관성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30

        The author of this paper drawing mutatis mutandis and implicitly on Husserls phenomenology and its some important concepts aims at giving an elucidating thematic description of what Hans Graeve, who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 philosophy and employs a Heideggerian phenomenological method, means or understands under the concepts not only of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but also of universal ethics and particular ethics in his historical investigation that he had carried out in view of his explicit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Realgeschichte versus Ideengeschichte and his implicit one between one universal life world versus many particular life worlds. This article intends to b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Hans Geaeve’s moral philosophical and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f history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heme and method of his own investigation and by comparing his investigation with those investigations of Henry Home, Lord Kames, Herder, Weber, Hans Küng, and Myers. It will be attempted to make clear Hans Graeve’s ground standpoint of moral universalism that can be considered to be based on one universal life world, natural law ethics, and duty ethics that stand in opposition to value psychologism and utilitarian ethical theories by citing not only such concrete negative examples as war, terror, and holocaust, but also such concrete positive examples as peace and filial piety. The moral universalism that Hans Graeve reveals by starting from a concrete real life world or from the Realgeschichte in distinction from the Ideengeschichte or a particular life world which is imbued with an ideology, needs to be founded on the objective values in the life world and on the universal nature of the human beings. The author of this paper drawing mutatis mutandis and implicitly on Husserls phenomenology and its some important concepts aims at giving an elucidating thematic description of what Hans Graeve, who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 philosophy and employs a Heideggerian phenomenological method, means oder understands under the concepts not only of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but also of universal ethics and particular ethics in his historical investigation that he had carried out in view of his explicit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Realgeschichte versus Ideengeschichte and his implicit one between one universal life world versus many particular life worlds. This article intends to b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Hans Geaeves moral philosophical and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f history by m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heme and method of his own investigation and by my comparing his investigation with those investigations of Henry Home, Lord Kames, Herder, Weber, Hans Küng, and Myers. It will be attempted to make clear Hans Graeves ground standpoint of moral universalism that can be considered to be based on one universal life world, natural law ethics, and duty ethics that stand in opposition to value psychologism and hedonistic and utilitarian ethical theories by my citing not only such concrete negative examples as war, terror, and holocaust, but also such concrete positive examples as peace and filial piety. The moral universalism that Hans Graeve reveals by starting from a concrete real life world or from the Realgeschichte in distinction from the Ideengeschichte or a particular life world which is imbued with an ideology, needs to be founded on the objective values in the life world and on the universal nature in the human 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