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급성 설사 질환에서의 식이요법에 따른 치료 효과

        양현종,정필주,반성환,민용식,박재옥,Yang, Hyeon-Jong,Jeong, Pil-Ju,Ban, Seong-Hwan,Min, Yong-Sik,Park, Jae-Ock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1

        목 적: 본 연구에서는 급성 설사 환아에서 식이요법에 따른 설사의 횟수와 지속 기간, 그리고 영양 상태의 회복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원에 입원한 총 7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35명의 전유군, 29명의 희석 분유군, 그리고 12명의 모유군으로 나누어 각 군간의 설사 횟수, 구토 횟수, 열량 섭취량, 몸무게의 증가, 그리고 설사기간을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1) 입원 당시 평균 월령은 12.9개월, 평균 체중은 9 kg, 설사 지속 기간은 2.29일로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 입원 후 설사의 횟수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입원 후 열량의 섭취는 전유군과 모유군에서 희석유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입원 후 몸무게의 증가는 전유군과 모유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희석 분유군은 유의하게 낮았다(p<0.05). 5) 입원 후 설사의 지속 기간은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 론: 급성 설사 질환의 식이 요법은 처음부터 전유나 모유를 먹이는 것이 희석한 우유를 단계적으로 먹이는 방법에 비해 설사를 악화시키거나 지연시키지 않으며, 오히려 체중 증가와 열량 섭취증가에 이로운 장점이 있었으나 원인균에 따른 식이 요법의 효과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We studied to know the effect of early feeding on the course and the recovery of acute diarrheal diseas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76 patients who admitted to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or acute diarrhea. We divided 76 patients into 3 dietary groups (whole milk group (WMG): 35, diluted milk group (DMG): 29, breast milk group (BMG): 12). We compared three groups by numbers of diarrhea, numbers of vomiting, calory intake, weight increments, and duration of diarrhea. Results: 1) The mean age was $16.45{\pm}18.20$, $11.53{\pm}9.80$, $5.38{\pm}5.01$ months for WMG, DMG, and BMG, respectively. The mean weight was 9 kg and the mean duration of diarrhea was 2.29 days. 2) The numbers of diarrhea during admis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hree groups. 3) The calory intake during admission was significantly low in DMG. 4) The weight increments during admission was significantly low in DMG. 5) The duration of diarrhea during admis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hree gourps. Conclusion: Early refeeding with whole milk or breast milk did not prolong or worsen the course or symptoms of diarrhea compared with gradual reintroduction with diluted milk. But there were advantages of improved nutrition and weight increments. Futher study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diet according to the causative organisms.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발생한 교대성 편마비 1례

        배상남(Sang Nam Bae),정필주(Pil Ju Jeong),남상욱(Sang Ook Na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1

        저자들은 29개월 된 남아에서 생후 6개월경부터 교대성으로 편마비 증상을 보였으며, 편마비 증상을 보일 때 시행한 뇌파 검사, 뇌 자기 공명 영상 촬영, 뇌 자기 공명 영상 혈관 조영술 및 뇌 단일 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상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던 소아 교대성 편마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lternating hemiplegia of childhood(AHC) is a rare but clinically distinct syndrome characterized by onset before 18 months of age, frequent attacks of alternating paralysis, nystagmus transient ocular palsies, other autonomic dysfunc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impairment and a choreoathetotic movement disorder. The case is a 13 month-old boy who has presented repeated episodes of alternating hemiplegia from the age of 6 months at a frequency of several times per month, which was lasting for two or three days. The diagnosis was based on clinical features. Frequently such hemiplegic attacks were accompanied by irratability. He had mental retardation, neurodevelopmental delay, and seizure attacks. EEG, brain MRI, Brain MR angiography, and Tc-99m HMPAO-brain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 tomography(SPECT) failed to reveal any significant abnormal finding during the hemiplegic attacks. We tried calcium-entry block and flunarizine to relieve the hemiplegic attacks, but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the hemiplegic attacks were not decreased by flunarizine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