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계급과 민주주의의 공고화

        정철희(Chung Chulhee)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4

        이 연구는 한국의 민주주의의 공고화에 기여할 세력 중의 하나를 신계급으로 보고 이에 관한 경험적 탐색을 시도한다. 신계급은 신중간 계급의 일부로서 사회문화 전문가와 기술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다. 신계급은 위계를 강조하는 경영감독집단과 대립하여 비위계적이고 자율성이 보장된 사회질서를 추구한다. 즉 신계급은 사회문화적인 면에서 민주적인 가치롤 정립시키는데 기여하여 민주주의를 공고화하는데 기여한다고 추론한다. 다중회귀 분석과 로짓 분석 결과, 신계급의 계급 위치의 고유한 특성이 민주주의의 공고화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두 신계급은 각각 민주주의의 공고화의 특정한 국면에 국한하여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도 도출되어 신계급의 집단으로서의 정체성이 미완성 상태임이 밝혀졌다. 공고화에 교육 변수도 부분적으로 해방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세대라는 변수도 부분적 영향력이 있음이 판명되었다. 또한, 신계급 이외에 자영업과 전통적 전문직도 공고화에 기여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a social group that promotes consolidation of democracy in South Korea. Proposing the new class as a social force propelling the consolid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its political potential. The new class refers to a section of new middle class composed of specialists and professionals in social organizations. The proposed hypothesis is that new class supports consolidation of democracy more than any other class due to its origin in the antagonism between specialist and managerial classes. Analyses show that each subgroup of new class supports the consolidation in particular contexts. Also, petit bourgeoisie and traditional professional shows some support for consolidation of democracy. Education turns out to have partially liberating effects and generation matters for a specific aspect of the consolidation.

      • KCI등재

        탈물질주의, 자유 취향, 지식인

        정철희(Chung, Chulhee)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1 No.1

        이 글은 잉글하트의 탈물질주의 연구를 부르디외의 사회이론에 비추어 비판하고 그 보완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이들 연구 중 이들의 지식인론에 초점을 맞춘다. 두 사람 모두에게 있어 지식인은 그들 논의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잉글하트에게 있어 지식인에 해당 하는 ‘신계급’은 탈물질주의의 총아이다. 부르디외에 있어서도 역시 ‘피지배 지배계급’이라 불리는 지식인 계급은 현 체제를 혁명적으로 재편할 잠재력을 가진 계급으로 분류되어 그의 상징 투쟁이론에서 중심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 글은 다음의 세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잉글하트의 지식인관을 부르디외의 지식인론으로 비판 보완하려 한다. 1) 잉글하트와 부르디외가 공유하는 자유계/필연계라는 구분을 들여와 잉글하트가 전자를 일면적으로 가치화 하면서 발생한 문제에 대하여 논한다. 특히 잉글하트가 제시한 지식인의 가치인 탈물질주의에 대하여 부르디외의 “자유 취향” 이라는 개념으로써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2) 잉글하트의 인지동원에 관한 주장은 지식인과 민중 간의 문화자본의 불평등이라는 관점에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본다. 인지 동원이 가정하는 ‘능력’의 실체는 헤게모니로 포장된 지위일 뿐이라는 부르디외의 주장이 검토될 것이다. 3) 부르디외의 재귀성 개념을 통해 잉글하트의 지식인 논의는 이 계급의 존재 구속성에 대한 객관화가 결여되었음을 지적한다. 결론에서 두 시각의 종합의 단초에 대해논의하며, ‘적록동맹’을 한 사례로 삼아, 이러한 종합이 경험적 연구에 주는 함의를 검토한다. Drawing on Pierre Bourdieu’s Critical Theory, this paper attempts for a critical review of Inglehart’s study on intellectuals. In both Inglehart’s and Bourdieu’s research, the topic of intellectuals plays a central role. For Inglehart, the new class, his version of intellectuals, is featured as the forerunner of postmaterialism. For Bourdieu, in his theory of symbolic struggle, intellectuals as “dominated dominant class” are the key actors who retain the potential of the revolutionary rearrangement of the current establishment. For the critical assessment to Inglehart’s theses on intellectuals, this research focuses the following three topics: 1) Based upon Bourdieu’s study of “the tastes of freedom”, the problems of the universalist claims of postmaterialism are discussed. 2) Regarding Inglehart’s “cognitive mobilization”, its disregard of unequal distribution of cultural capital among class positions is addressed. Bourdieuan perspective will reassess individual competence that the concept of cognitive mobilization presupposes; for Bourdieu it is none other a status hegemonically disguised. 3) I discuss how Bourdieu’s concept of “reflexivity” contributes to the universalization of the vision of intellectuals that would be, otherwise, subject to the particularism deriving from their social conditions. In conclusion, the clues of the synthesis of Inglehart’s and Bourdieu’s approaches are to be discussed. Also, the implication of this synthesis to such a future empirical research as “red-green alliance” is to be addres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과학장이 공론장을 만났을 때

        정철희(Chung Chulhee) 한국이론사회학회 2016 사회와 이론 Vol.28 No.-

        이 연구는 부르디외의 과학사회학에 초점을 맞춰 부르디외가 그의 과학장론에 도입한 하버마스의 공론장이라는 개념이 그의 과학장론에수용가능한가의 문제와 이러한 수용의 성과에 대하여 탐색한다. 부르디외가 그의 과학장론에 도입한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은 과연 자신의 이론과 마찰은 없는 것인가? 두 개념은 영합관계를 넘어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인가? 이글은 공론장 개념과 과학장 개념의 양립 가능성을 합리적 동기부여, 공론장의 사회적 조건, 제기(祭器)로서의 공론장을 주제로 탐색한다. 검토결과, 부르디외가 공론장 개념을 과학장에 도입한 프로젝트는 성공적이라고 평가된다. 공론장 수용은 몇 가지 잠재적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부르디외의 이론이 가지고 있었던 숙명론을 극복하고 사회비판의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기여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의 부산물은 하버마스의 공론장 논의 역시 부르디외를 수용한다면 보다 현실적인 합리성 개념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Focusing on Bourdieu’s Sociology of Science, I investigate if Habermas’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is compatible to Bourdieu’s analyses of the scientific field. Is there any conflict when Bourdieu invites Habermas to the scientific field? Would the combination of the two concepts generate synerg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atibility of the two concepts, I divide Bourdieu’s critiques of the public sphere into the topics of “rational motivation”, “social conditions of the public sphere”, and “the public sphere as ritual tools.” My examination shows that the reception of the public sphere to scientific field is successful in general. Despite some latent problems, the reception diminishes the pessimism and fatalism of Bourdieu’s social theory and provides the Archimedean point for a social critique. On Habermas’ side, the reception of Bourdieu’s perspectives would contribute to an establishment of a historical and realistic view on rational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엔세대의 신좌파적 정체성

        정철희(Chulhee Ch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연구 Vol.51 No.1

        이 연구는 엔세대의 정치적 정체성에 대해 탐색한다. 이들의 정치적 정체성을 신좌파라 가정하고 이에 대해 검증한다. 이 연구는 기존의 좌·우파라는 단일차원의 이념 분석에 문제를 제기하고 신좌·우파라는 새로운 축을 들여와 이원적 접근을 할 것을 제안한다. 엔세대는 탈권위주의 시대에서 성장하면서 이전 세대와 구별되는 정치적 정체성을 가졌다고 판단된다. 이 밖에, 세대별 요인 분석을 한 결과, 엔세대는 구좌우파와 신좌·우파적 쟁점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데 비해 386 세대는 구좌파적 쟁점만을 분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엔세대가 여타세대에 비해 신좌파 경향이 높음이 입증되었다. 그 밖의 보다 나이든 세대들은 신구 이념모두를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념에 대한 측정의 유효성이 세대별로 차등적임이 발견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n emerging political identity of the generation N. This paper sees problems in the onedimensional approach to the ideological orientation.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Right-Left dimension, the category of the New Left is introduced to assess the political identity of the generation N. Assuming that the generation retain distinct experience of post-Authoritarian era, I attempt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new generation has political ideology of the New Left. The World value survey 1995 data supported my hypothesis. The analyses also show that the so-called generation 386(or the generation of the nineteen eighties) is able to form old Left and Right ideology. The older generation turns out to be blind to either New Left or conventional ideology. This research would add the emerging dimension of political identity formation to the conventional analyses of it.

      • KCI우수등재

        전통적 가치와 지역감정

        이소영(So-yeong Yi),정철희(Chulhee Chung)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5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가치가 지역감정에 미친 영향에 대해 탐색한다. 그 동안 지역감정에 관한 연구는 사회심리적 혹은 정치ㆍ경제적 연구에 치중하여왔다.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적 가치 근저에 자리잡은 지역감정을 유발하는 사회문화적 틀이란 어떠한 것인가를 탐색하고자 하며, 이러한 틀을 유교와 샤머니즘의 특수주의적인 특성에서 찾고자 한다. 전통적 가치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일수록 지역감정이 높다는 가설을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일련의 전통적 가치가 지역감정을 결정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지역감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사회심리적 요인이나 정치ㆍ경제적 요인 이외에 전통적 가치와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도 중요한 설명력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감정이 단순히 정치인들이 조장했거나 불균등 발전에 의한 소외감에 의한 것만은 아니며 그 이전에 지역감정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화적 구조가 우리 사회에 내재하였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지역감정은 쉽게 극복되기 어려울 만큼 뿌리 깊은 것이며 우리의 문화적 전통내에서 이를 극복할 기제를 찾기가 어렵다는 비관적 현실이 존재함과 함께 문화적 전통 이외의 지점에서 지역감정이 약화될 가능성이 미약하게나마 존재한다는 점이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values on regional discrimination, on which studies have focused on social psychological or political economic dimension of it. We rather explore socio-cultural schemes embedded in Korean traditional values, which has been underscored so far. This research suggest particularism of Confucian and Shamanist values as an element that generates regional discrimin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ubstantiate the hypothesis that on average the amount of traditional values that people subscribe determine her/his level of regional discrimination. At the same time, outside of cultural tradition, signs of decline in regional enmity are observed.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regional animosity is too invigorate to overcome in the near future and that the cultural tradition in South Korea is lack of any catalyst that could undo the regional tension.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의 전통과 민주주의

        신광영(Shin Kwang-Yeong),정철희(Chung Chulhee)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3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이 권위주의 이후에 민주주의를 건설하는데 있어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한다. 문화적 전통과 민주주의와의 관계에 관하여 근대화론자들의 주장처럼 전통을 타파해야 정치적 근대화가 이루어진다거나, 아시아적 가치론에서처럼 민주주의 자체를 서구에 특수한 것만으로 간주하고 비민주적 전통만을 부각하는 두 가지 입장에 모두 반대한다. 한국사회의 대표적 전통인 유교와 샤머니즘이 민주적 요소 혹은 비민주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논의들을 검토하고 이에 입각하여 유교 혹은 민간신앙과 민주주의 간의 관계에 대해 단선적 가정을 넘어 전통과 민주주의 간에 다층적인 관계가 존재함을 주장한다. 본 연구의 분석 걸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먼저 전통적 가치와 민주주의와의 관계는 단편적이거나, 단선적이지 않다는 사실이다. 두 번째, 의식의 차원과 행위의 차원에서 뚜렷한 격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전통적인 가치들 사이에서도 매우 이질적인 가치들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이 민주주의 논의와 관련하여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values on constructing democracy in post-authoritarian era. We oppose both proponents of modernization perspectives and those of Asian values. The former argues for the elimination of the tradition for the political modernization. The latter views democracy as only relevant to the West, highlighting undemocratic elements in the East Asian tradition. Given that Confucianism and shamanism hold both democratic and authoritarian elements, we argue that there are multi-layered relationships between tradition and democracy. The results of our analyses support this argument. They also reveal remarkable discrepancies between consciousness and action. Among traditional values, heterogeneous values coexist and they should be addressed in the empirical research of tradition and democracy.

      • KCI등재

        Reconsidering Sectoral Income Differences of Employees

        Chung, Chulhee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8 지역과 세계 Vol.24 No.-

        본 연구는 경제 부문(部門)이 임금을 결정하는 메커니즘을 계급이라는 요인을 고려하여 규명한다. 이 분야의 선행 연구는 부문간 임금격차가 중간계급과 노동계급 모두에 존재함을 가정해 왔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는 부문간 불균등한 경제구조, 노동조건, 인적 자본 등을 단지 기술할 뿐 임금과정을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중간계급에게서는 부문간 임금격차가 나타나지 않으며 노동계급에 연구범위를 한정했을 경우, "노동자 권력"이라는 개념에 의해 구조적 임금결정 과정을 밝힐 수 있음을 주장한다. 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한 조사결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