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도덕과의 정당성 및 정체성 연구

        정창우 ( Chang Woo Jeong ) 한국윤리학회 2011 倫理硏究 Vol.82 No.1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aused a severe damage to the status of Moral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ubject, this article attempts to validate the necessity and identity of Mo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its academic and educational status. In this context, this paper emphasizes that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is deeply rooted in the essence of education that addresses the intrinsic value. In addition, this paper puts an importance emphasis on the extrinsic value as well because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ubject is meaningfully related with happiness and life adjustment, socialization and national development. With regard to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I suggest that learning Moral Education include moral action, moral knowledge, moral inquiry, and moral introspection, and that moral introspection plays a central role in making other components interconnected. I also argue that moral and character developmen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primary goal of Moral Education, with which it can build its theoretical grounds based on the interconnectedness and intersection among moral philosophy, moral psychology, political philosophy, etc. I also suggest that what makes Moral Education different from social studies is the fact that Moral Education pursues human dignity, mutual understanding and empathy and social justice in the context of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renas. Finally,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can be characterized by moving its foci from ``action`` toward ``cognition,`` from ``daily life morality`` toward ``moral inquiry and introspection,`` and from ``the virtue approach`` toward ``the principle approach.``

      • KCI등재

        청소년 봉사학습의 문제점과 도덕교육적 활용 방안

        정창우(JEONG CHA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7

        5·31 교육개혁에 의해 학생 봉사학습 활동이 제도화되었으나 연구 기반 및 사회적 여건이 미비한 가운데 실시되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학생 봉사학습 활동이 정착되려면 무엇보다도 봉사학습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근거를 체계적으로 확보하고, 진단 구조(framework)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영실태를 진단 및 평가하며, 활성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제 하에 청소년 봉사학습을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조망하면서 봉사학습이 도덕교육적 목적을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고 또한 앞으로 활용되어야 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봉사학습과 관련된 이론·경험 연구를 토대로 봉사학습의 도덕교육적 중요성을 우선 밝히고, 선행 조사연구 결과를 활용하면서 봉사학습의 적용 실태를 분석하고 도덕교육적 관점에서의 문제점을 진단한 후, 도덕교육적 개선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have been sever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the application of service-learning which was started as a part of 5.31 educational reform without research and fertile conditions for it's meaningful application. If it is to be wished that adolescents' service-learning has a great impact on their moral development, we ne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service-learning in a scientific and systematical way, and then explore powerful solutions. For the reason, this article attempts to show how we can and ought to use service-learning for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using previous quantitative and theoretical research.

      • KCI등재후보

        초·중등 도덕과 교육의 목표 설정을 위한 도덕 심리학적 기초 연구

        정창우(JEONG CHA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8

        도덕 심리학을 전제로 할 경우 교육의 각 단계는 그 단계에 적합한, 중점을 달리하는 교육과정으로 편성될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덕성 발달 영역에서 진행된 국내외의 주요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도덕성 발달에 대한 도덕 심리학적 고려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중등 도덕과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덕성 발달 이론을 순전히 경험적 자료로 입증되는 이론체계로 간주하기보다 가능하면 경험적 자료의 측면과 도덕철학적 논리의 두 측면을 동시적으로 고려하려는 학자들의 연구 결과들을 우리나라 초․중등 도덕과 교육의 목표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Educational practices should be coordinated with student development. More specifically, for educators to be effective in fostering students' moral growth they need to match educational practices with student developmental level. For the reas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stablish objectiv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psychological results of recent research with respect to moral development and character formation. Especially, recent psychological research which is not limited to psychological accounts of the nature of moral development and bridge the gap between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concerns was analyzed.

      • KCI등재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의 도덕 교육적 함의에 관한 연구

        정창우(JEONG CHA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3

        이제까지의 교육 개혁은 대체로 이론에 의해 토대를 두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유행을 좇다가 시들어 버리는 한계를 보여왔다(Fosnot, 1996). 이러한 현상은 교육 개혁의 구체적인 방침들을 일관되게 연결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적 노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에 관한 연구가 부족할 경우, 결국 단명하는 교육 개혁이 될 위험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미국에서 실시된 교육 개혁은 이론적으로 구성주의에 근거한 것이다. 특히 수학과 과학, 그리고 언어 영역에서의 교육 개혁을 뒷받침하는 심리학적 이론은 바로 구성주의이다. 개인의 구성에 초점을 두는 피아제의 이론들과 학습의 사회적 성격을 강조하는 비고츠키의 이론에 바탕을 둔 이러한 구성주의 학습 이론은 전통적인 학습에 대한 관점을 의미있게 확장시켜 놓고 있다. 한국의 제 7차 교육 과정 개정에서도 이론적인 구심점으로 채택된 구성주의는 우리의 교실 문화를 변화시키는데 분명히 기여하고 있지만, 일부 교사들은 구성주의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구성주의적 학습 원리에 따라 개정된 교과서를 가지고 교실에서 아동들을 실제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상당히 혼란스러워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은 도덕과교육의 상황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인성 발달을 위한 상호작용 기반 인성교육 실천 방안 탐색

        정창우 ( Chang Woo Jeong ),장경숙 ( Kyung Suk Chang ),이동엽 ( Dong Yub Lee ),송성민 ( Seong Min Song ),우연경 ( Yeon Kyoung Wo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0

        본 연구는 학교 교실 내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인성교육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성 발달과 교육을 둘러싼 쟁점과 접근법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인성은 관계의 맥락 속에서 형성되고 촉진되며,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함께 학생과 학생 간의 관계 형성이 인성 형성을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됨을 논의한다. 문헌 연구 분석 및 논의 결과를 통해 인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대화 및 소통 과정에서 학생들이 핵심 가치ㆍ덕목이나 보편적 도덕 원리 등을 자신이 속한 집단에 적용해 봄으로써 비판적인 성찰의 기회를 갖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내재적인 동기화에 입각하여 옳은 행동을 하도록 돕는것, 교실에서 갈등 해결 기술을 가르치는 것, 집단 간의 긴장을 감소시키기 위해 또래 집단 매개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 비폭력 교육 프로그램이나 평화로운 갈등 해결 교육과정을 활용하는 것,혹은 그 밖의 다른 방법을 활용하는 것 등은 모두 인성교육 위한 필수 과정임을 논의한다. 학생들이 지적, 도덕적으로 차츰 성장해감에 따라 학교와 교실에서 민주적인 절차에 입각한 규칙 제정 및 준수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인성 발달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안한다. This study sets its aim to review theoretical perspectives on character education through interaction, and draw implications for effective ways of doing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at schools. The analysis of the relevant literature supports that relationship building through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in the social contex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It reveals that interaction conducive to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can be categorized into social/communication skill, teacher feedback, conflict resolution, and autonomous rule-making and observing.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have an opportunity to involve in critical reflection by applying values and virtues to school life. Teacher feedback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frequent interaction types conducive to helping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take place naturally in various classroom situations. It is suggested that intimate and empathic teacher feedback with interest in students is helpful in building trustworthy relationship with teachers, bringing about enhanced motivation and character development. It is revealed that understanding the causes of conflict and seeking for resolutions is helpful in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by bringing up cooperative attitude and building social relationship. It is also stressed that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and capacities can be achieved through dialogue, counselling, and peer mediation. Students’ autonomous rule-making and observing are considered to be conducive to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It is indicated that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environment is necessary to do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tudent council activities. Some implications are drawn for implementing the proposed pedagogical strategies at schools.

      • KCI등재
      • KCI등재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적 함의 -헤이트(J. Haidt)의 뇌과학 연구를 중심으로-

        정창우 ( Chang Woo Jeo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7

        도덕적 직관이나 신념, 도덕적 정서, 도덕적 의사결정 등에 대한 뇌과학 연구는 적어도 1990년대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다. 도덕적 판단에 대한 첫 번째 뇌 영상 연구 결과가 2001년에 보고되었기 때문에 도덕성에 대한 뇌과학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의 유아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유아는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최근에 이루어진 도덕성에 대한 뇌과학 연구 성과에 기초하여, 특히 도덕적 판단에서 도덕적 직관과 정서의 중요성을 강조한 헤이트(J. Haidt)의 연구를 중심으로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을 고찰하고, 도덕교육적 시사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최근 도덕 심리학 영역에서 제기되고 있는 핵심 연구 쟁점들과 뇌과학 연구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런 다음, 헤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형(social intuitionist model)이 도덕 심리학과 도덕교육에 미친 영향을 비판적으로 분석 및 평가해 보고, 이 모형의 도덕교육적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Neuroscientific studies of moral beliefs, intuitions, emotions, and decisions were not possible until the 1990s. The first brain imaging studies of moral judgment were reported as recently as 2001. In this situatioin, this article investigated new trends in the field of moral psychology, focusing on J. Haidt`s study, and then, tried to suggest it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firstly, this paper clarified the relations of neuroscience and the selected current core issues in the area of moral psychology. And then, this article analysed and evaluated critically how a social intuitionist model suggested by J. Haidt have had a big impact on the field of moral psychology and moral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 윤리교육의 쟁점과 방향

        정창우(JEONG CHA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일반론이 아니라 도덕과의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교육의 설계와 적용이 중요하다는 전제 아래, 다문화 윤리교육이 무엇이고 어떤 연구 영역을 포함해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윤리교육을 ‘(윤리학 및 정치철학에 근간을 둔) 다문화 윤리학을 바탕으로 다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윤리적 이슈와 사건을 활용하여 윤리적 탐구 능력과 성찰적 태도를 함양하고, 타인 및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실천할 수 있는 도덕적 동기 및 실행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으로 규정하였다. 그런 다음, 다문화 윤리교육의 연구 영역을 ‘다문화 윤리학 차원의 쟁점을 다루는 기초 영역’과 ‘도덕과교육의 목적을 위해 다문화교육을 활용하기 위한 응용 영역’으로 나눈 후, 각 영역별로 제기될 수 있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desig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and apply it to moral education classrooms, this article t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investigate its research domains and answer critical questions posed in these domains. For the purposes, firstly, this article defines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as education for not only developing intercultural ethical inquiry and reflective attitudes using moral dilemmas and ethical issues in a multicultural context, but also cultivating moral traits such as moral motivation and moral will to respect and care for people from other cultural backgrounds. Besides, this article devide research domains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into two major parts ― a basic domain that deals with philosophically and educationally essential issue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and an application domain to meaningfully us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mor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 then,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several questions posed in these two domai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