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ACUM 방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정진철(Jinchul, Jeong),김재호(Jaeho, Kim),남중수(Jung-Soo, Nam)임소현(Sohyun, Im),정성지(Seongji, Jeong),조홍용(Hongyou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특성과 진로교육 목표를 분석하고 진로전담교사 직무 관련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DACUM 직무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책무(Duty)와 과업(Task)을 도출하고 각 과업의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DACUM 직무분석을 위해 1명의 직무분석가, 9명의 데이컴 위원(내용 전문가), 3명의 서기, 2명의 실무자로 이루어진 DACUM 위원회를 구성하여 2017년 7월 25일에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학생들이 행복한 삶을 사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진로개발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교 진로교육과정 편성, 운영 및 평가를 총괄하고 교사의 진로교육을 지원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8개의 책무(학교 진로교육과정 편성(기획), 진로교육(단위) 프로그램 구안, 진로교육 정보지원, 진로심리검사 실시, 진로상담 지원, 진로체험 운영, 교사/학부모 진로교육 역량 강화, 진로교육과정 운영 결과 평가 및 환류)를 도출하였으며 각 책무 별 과업은 총 48개로 분석되었다. 셋째, 각 과업의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 핵심 과업으로 20개가 도출되었다. 넷째, 초등 진로전담교사에게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제시하였으며, 9개의 지식과 15개의 기술이 도출되었고, 갖추어 야 할 바람직한 태도로는 12개의 태도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by applying the DACUM task analysis techniqu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we analyzed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areer education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former research related to career teacher. Based on the analysis of DACUM tasks, we have drawn out the duties and tasks of our career teacher and weighed down the importance of each task. For the DACUM job analysis, we organized one task analyst, nine subject matter expert, three staff members, and two practitioners and hold a DACUM workshop on the 25th of July,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fining the job of an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as ‘to develop basic career development skills necessary for a happy life,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is responsible for organizing, operating, and evaluating school career education courses and supporting the career education of teachers’. Second, there are eight duties (organizing/planning school career education curriculum, career education (unit) program design, career education information support, operating psychological examination, career counseling support, career experience management, strengthening teacher/parent career education competency, evaluation and feedback of career course operation results) and the total number of tasks according to eight duties is 48.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each task, 20 core tasks were derived. Fourth, the opinions about the gener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s were collected and presented. Therefore, nine knowledge and fifteen technologies were derived, also a desirable attitude was derived from the recommended attitude.

      • KCI등재

        서울시 교육주체의 미래농업에 대한 교육수요 분석

        정진철(Jinchul Jeong),서예린(YeLin Suh),강민지(MinJi Kang),조홍용(HongYon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농업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중등단계에서 교육의 필요성이 인정되는지 확인하고, 서울시 소재 중학교에 소속된 학생 및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도출된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교육수요를 확인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1차 전문가자문을 실시하여 미래농업 유망분야를 도출하였으며, 이후 도출된 분야에 대해 2차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여 미래 농업에서의 중요성, 인력의 충분성,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인력양성의 필요성 지표를 통해 중등단계 교육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중학생 및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친숙도와 선호도를 바탕으로 수정된 IPA 분석을 실시하여 미래농업과 관련된 교육수요를 확인하였다. 결과 전문가 자문실시 결과 16개의 미래농업 유망분야가 도출되었으며, 신품종 개발과 같이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것을 제외하고,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인력양성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도출된 16개의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서울시 교육주체의 교육수요를 분석한 결과, 농산물이력정보, 반려동물, 도시농업 등의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해 교육수요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등단계에서부터 학생들이 미래농업 유망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교양 수준의 교육과 진로교육, 나아가 전문적인 직업교육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특히 미래농업 유망분야 인력양성을 위한 농업계열 중등교육기관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인 서울시에서도 향후 미래농업 종사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 혹은 교육기관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mising fields for future agriculture and to confirm whether the necessity of education is recognized at the secondary level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by experts and to confirm the demand for education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a promising field for future agriculture was deriv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advice. And then experts have confirmed the necessity of secondary education by using the importance of future agriculture, the sufficient of workforce, and the necessity of workforce development at the high school level. Results As a result, 16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were derived, and except for those requiring high-level knowledge and skill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the necessity workforce development at the high school level was recognized. Second, a revised IP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amiliarity and preference for promising fields in future agriculture for educational participants to confirm the education demand related to future agricul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emand for education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such as agricultural product history information, companion animals, and urban agriculture. Conclusions This study's results contribute to the necessary to provide liberal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as well as vocational education, to help students choose a career path from secondary school to a promising agricultural field. In particular, the Seoul, which does not have agricultural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to foster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urriculum or educational institution to foster future agricultural workers in the future.

      • KCI등재

        국외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운영 사례와 함의

        정진철(Jinchul Jeong),류지은(Ji-eun Ryu),서예린(Yelin Suh)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진로전담교사를 포함한 모든 교사들이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진로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교사들의 진로교육 관련 전문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는 현직 교사 대상의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와 함께 교원양성과정에서의 예비교원 대상의 진로교육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교원양성과정에서 진로교육 비중을 확대할 경우, 장기적 관점에서 모든 교사가 진로교육을 이해하고 관련 기초지식과 기초역량을 갖추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일본, 프랑스, 핀란드, 오스트리아 등 4개 국가의 국외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국내 교원양성기관의 진로교육 운영 강화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activate career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all teachers including career dedicated teacher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nd to have the capacity to carry out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related to career education of teachers, it is possible to consider career educa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in the process of teacher training as well as training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capacity for current teachers. If the proportion of career education is expanded in the course of teacher training, all teacher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career education, basic knowledge and basic competency in the long ter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of foreig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four countries such as Japan, France, Finland and Austria,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of domestic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청년층 대상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의 단기성과 분석

        정진철(Jinchul Jeong),양인준(Injun Yang),고재성(Jae-Sung G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2 진로교육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국내 노동시장의 주된 이슈 중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는 청년층의 고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시행된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이하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의 단기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15,285명과 비수혜자 1,200명 총 16,485명을 분석대상에 활용하였다. 단기성과 분석지표는 구직활동 특성과 경제활동 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구직활동 특성은 구직활동 수행 여부, 구직활동 수행범위, 구직/창업 활용 시간, 진로/취업과 관련된 구직자의 생각이나 상황 총 4개의 세부 지표를, 경제활동 특성은 아르바이트 수행 여부, 아르바이트 수행시간 및 아르바이트 근무 일수 총 3개의 세부 지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 및 분산분석(ANOVA)을, 그리고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생변인을 공변량으로 처리한 후 공분산분석(ANCOVA)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집단이 비수혜자 집단 대비 구직활동을 수행했다고 응답한 비율과 구직활동 평균 수행범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집단은 비수혜자 집단 대비 구직활동 및 취업(창업) 활용 시간과 진로 및 취업과 관련된 구직자의 인식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 수혜자 집단은 비수혜자 집단 대비 아르바이트를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과 더불어 하루 평균 업무 수행시간과 주당 근무 일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수혜자 집단 선정 시 다양한 선정기준을 적용해야 하며 표집과정 역시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진행해야 한다. 둘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와 같은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의 효과성 분석 시 수혜자 중 조기 취업자를 반영한 성과 비교분석이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와 같은 국가 재정 지원 정책 사업의 체계적인 효과성 분석을 위해 경제적 측면과 더불어 청년층의 심리적 차원의 변화와 같은 질적인 영역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장기성과 지표를 개발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hort-term performance on the national financial support policy referred to as the program of youth job seeking support fund implemented to improve the unemployment problem of youth in the domestic labor market. To this end, the total of 16,485 consisting 15,285 beneficiaries and 1,200 unbenefitted recipients was used for analyzing. In this study 2 short-term performance indicators were set; job search characteristics consisting 4 and economic activity characteristics consisting 3 detailed indicators. In addition to chi-square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additionally performed after treating exogenous variables affecting on differences between groups as covari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beneficiaries of the program responded that they had conducted job search compared to the non-beneficiary group and the average range of job search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high. Second, the beneficiaries ha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of job and career and employment(start-up) utilization time than the non-beneficiary group. Third, the group of beneficiaries had a significantly lower percentage of working part-time and the average daily work hours and working days per week compared to the non-beneficiary group.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apply various selection criteria selecting a non-beneficiary group and to planned and carried out the sampling process systematically. Second, it is required to have a research of comparative analysis of performance to reflect early employment among beneficiaries whe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support policy.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ong-term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omprehensively reflect changes related to psychological dimension as well as economic aspects used to evaluating financial support policy such as program of youth job seeking support fund.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진로체험기관 인증지표 개발

        정진철(Jinchul Jeong),김재호(Jae-Ho Kim),남중수(Jung-soo Nam),이현민(Hyunmin Lee),정성지(Seongji Jeong),이영광(Yeonggwa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자유학년제・연계학기 확대와 관련하여 다양한 진로체험처가 참여하는 풍토에서 안전과 질이 보장된 진로탐색활동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의 인증지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진로체험기 관 인증제 지표 개발을 위해 델파이와 AHP를 실시하였으며, 델파이는 진로교육 연구자 3인, 진로전담교사 3인, 진로체험지원센터 담당자 3인 등 총 9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11월 8일~12월 28일까지 총 3회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진로체험기 관 인증지표를 개발하고 각 항목별로 배점을 확정하였다. 두 차례의 델파이를 통하여 지표는 크게 ‘1. 체험기관’, ‘2. 프로그램’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1. 체험기관’의 경우, ‘가. 체험기관 역량’, ‘나. 체험환경 관리’, ‘다. 체험기관 특별기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2. 프로그램’의 경우, ‘가. 프로그램 기획’, ‘나. 프로그램 운영’,‘다. 프로그램 평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the career experience agencies’ accredit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of safe and qualified learning environment with more career experience agencies engaged. Delphi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questions. Each of three researchers, career specialist teachers and staffs from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 participated as expert panel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between 8th Nov and 28th Dec in total. In result,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career experience agencies were developed and the mark distribution for each category was confirmed.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consists of ‘1). career experience agencies’ and ‘2) programs.’ In case of ‘1)career experience agencies’, sub-areas were divided into a. ‘career experience agency capacity’ and ‘b. career experience environment management and ’c. special criteria for career experience agencies‘. In case of ‘2) programs’, the sub-areas were divided into ‘a. program planning , ‘b. program operation . ‘c. program evaluation .

      • KCI등재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정철영(Chul-Young Jung),정진철(Jinchul Jeong),이종범(Jongbum Lee),정동열(Dongyul Jeong),임효신(Hyoshin Lim),이서정(Seojung Lee),임정훈(Junghoon L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을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의 주된 연구 내용은 「① 진로교육 환경 및 정책 분석, ② 우리나라 초·중등 단계진로교육 실태 분석, ③ 우리나라 진로교육 발전 방향」으로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종합·분석, 전문가 검토를 거처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진로교육 환경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회 환경 변화의 영역별로 직업세계와 고용·취업환경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진로교육 정책변화의 흐름과 국외 진로교육 정책 추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초 · 중등 단계 진로교육 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로교육의 제도적 기반(담당인력, 진로교육 콘텐츠), 진로교육주요 운영 방식(정규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진로심리검사 및 진로상담, 진로체험, 대상별진로교육 프로그램), 진로교육 성과평가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발전 방향과 세부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우리나라 진로교육 발전 방향의 영역은 크게 4개 영역 「① 제도적 지원 장치 마련, ②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 지원 강화, ③ 학교-현장 연계 진로교육 활성화, ④ 진로교육 내실화 관리 지원」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영역별로 세부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We diagnosed the conditions of current career education systems in South Korea to reconstruct career education and provide curriculum initiatives. We reviewed literatures of ① environment and policies of career education, ② K-12 career education system in Korea, and ③ strategies of Korean career education with following comprehensive analysis and SME review. First, to identify existing career education system, we approached through the multiple layers of social environment which are occupations and employment related settings as well as the flow of Korean career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compared with foreign policy trends. Second, we structured the pros and cons of career education at K-12 school as policies (human resources and modules), programmes (career education in course, career inventory and counseling, heuristic method, and customized program) and career education evaluation.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and policies on career education and its details are ① to creat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career education, ② to emphasize the customized career education, ③ to activate school-work integration on career education, and ④ to facilitate the career education stability.

      • KCI등재

        기업체 근로자의 조직시민행동과 선행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양인준(Injun Yang),정진철(Jinchul Jeong),김채린(Chaerin Kim)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체 근로자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을 문한 분석을 바탕으로 개인특성, 직무특성, 환경특성 등 총 3개의 기준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변인의 평균 가중 상관계수를 비교하고, 기업규모에 따른 집단 간 평균 가중 상관계수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직시민행동 변인을 활용한 204편의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R 3.6.3 프로그램을 통해 메타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출판편향, 동질성 검증 및 평균 가중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동일한 선행변인 내에 기업규모에 따른 평균 가중 상관계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Meta-ANOVA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은 총 22개로써 개인특성 변인 9개, 직무특성 변인 3개, 환경특성 변인은 10개가 도출되었다. 개인특성 변인 중 가장 높은 평균 가중 상관계수를 보인 변인은 조직몰입이었으며, 직무특성 변인에서는 직무만족, 환경특성 변인에서는 LMX로 확인되었다. 기업규모에 따른 선행변인의 평균 가중 상관계수 차이분석 결과, 개인특성 변인의 상사신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시사점으로는 해당 연구를 적용하고자 하는 대상을 본문에 명확하게 기술해야 한다. 더불어, 조직시민행동과 변인 간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추가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조직시민행동의 하위구인 별 선행변인 또는 결과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tegorizing the preceding variables affec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using three criteria consisting individual, job,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ased on prior researches, comparing the average weight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variables and analyzing moderating effect by corporate size.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meta-analysis using the R 3.6.3 program targeting 204 previous studies to investigate publication bias, homogeneity and average weighted correlation coefficient. In addition,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by company size within the same variable, Meta-ANOVA method was performed. [Findings] There are 22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OCB.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average weighted correlation coefficient is organizational commitment(individual), job satisfaction(job), and LMX(environmental). As a result of moderating effect by company size, only the trust on supervisor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state clearly in the text which group this study is intended to apply. In addition, it is needed to consid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can strengt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OCB and the variables. Lastly, It is required to conduct meta-analysis between the sub-indexes of OCB and related variables.

      • KCI등재

        호주 TEQSA와 홍콩 HKCAAVQ의 고등교육기관 평가인증 사례분석

        김정희(Kim, Jung-Hee),정진철(Jeong, Jinchul),이현민(Lee, Hyunm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3

        호주와 홍콩은 국가자격체계가 잘 갖춰져 있는 국가로 다양한 고등교육기관과 고등교육수준 프로그램에 대한 질 관리와 인증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와 홍콩의 고등교육기관 평가인증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 평가인증체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is(2005)의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여 호주의 고등교육질관리기구(TEQSA)와 홍콩의 학술 및 직업자격평가 심사국(HKCAAVQ) 사례를 분석하였다. 호주와 홍콩의 고등교육기관 질 평가 보증은 공통적으로 ‘인증(accreditation)’ 을 강조하고, 아울러 고등교육 수준의 자격, 학위, 교육프로그램의 질 인증을 위해 별도의 평가기관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해당 기관에서 인증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호주와 홍콩의 사례를 살펴보았듯이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학제 및 자격체제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고등교육기관 평가기준을 적용하기에는 제한이 있지만, 국가 간 고등교육 인적 자원 을 교류하는 차원에서 국제적인 통용성을 고려하여 고등교육 질 관리 기준을 참고하여 고등교육기관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Qualitative management and certific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programs are important in Australia and Hong Ko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e accreditation in Australia and Hong Ko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omestic evaluation accredit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of Kis(2005), which was modified by the researchers in Tertiary Education Quality and Standards Agency(TEQSA) and Hong Kong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Academic and Vocational Qualifications(HKCAAVQ). The quality assurance approach in Australia and Hong Kong is common as ‘accreditation’ and focuses on other evaluation methods, evaluation data, nature of the report, evaluation purpose, evaluation result, and follow-up evaluation. Australia and Hong Kong had separate evaluation agencies for accreditation of higher education qualifications, degrees, and educational programs, and were performing accreditation at the independent institutions. Australia and Hong Kong do not agree with the evaluation standard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cause of different academic system and qualifications system from Kore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consider international interchange in terms of exchanging higher education human resources between countries.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evalu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ith reference to higher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 KCI등재

        청소년 진로타협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과 실천적 함의

        류지은(Ji-eun Ryu),정진철(Jinchul Jeo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진로타협과 관련된 연구들의 대상 특성과 타협순서, 관련 변인들을 분석하여 청소년 진로타협의 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Whittemore(2005)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총 16편의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청소년은 학교급과 무관하게 타협과정에서 전반적으로 흥미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여 타협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생물학적 성 보다는 자아개념으로서의 성유형, 즉 젠더가 타협요인의 선호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타협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변인으로는 진로태도성숙, 성취동기, 진로결정효능감 및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등이 있으며, 외적 변인으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청소년 진로타협에 관한 연구에 갖는 함의와 진로교육 및 상담 현장에 갖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compromise in youth, the order of compromise, and related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aspects of career compromise in youth as a whole. To this end, a total of 16 papers were analyzed using an integrative review method proposed by Whittemore (2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mestic adolescents tended not to compromise by considering overall interes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ompromise process, regardless of school grade or grade. Second, gender as a self concept rather than biological sex, that is, gender, may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he preference of compromise factors. Third, variables affecting career compromise factors include career attitude maturity, achievement motivati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and self efficacy, career decision making, and mother"s nurturing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career compromise and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for youth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기업 영업·마케팅 직무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경력개발지원, 자기주도성 및 다중몰입의 구조적 관계

        양인준 ( Injun Yang ),정진철 ( Jinchul Jeo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대기업 영업·마케팅 직무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경력개발지원, 자기주도성 및 다중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발표한 공시대상기업집단 60곳 중 20곳의 그룹에서 근무 중인 영업·마케팅 직무 근로자 346명의 응답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검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정에서는 모형적합도 및 경로계수를 도출하였다. 매개효과의 경우 부트스트래핑법과 팬텀변인을 적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25.0과 AMOS 24.0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개발지원은 혁신행동, 자기주도성 및 다중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기주도성은 다중몰입과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다중몰입은 혁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자기주도성은 경력개발지원과 혁신행동, 경력개발 지원과 다중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 다섯째, 다중몰입은 경력개발지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 여섯째, 자기주도성과 다중몰입은 경력개발지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이중매개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표본 집단 설정 시 정교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셋째, 시대적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기업 및 개인의 인식수준의 변화를 반영한 경력개발지원 조사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innovative behavior,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self-direction and multiple commitment of sales & marketing employees in large corporations. To this end, 346 sales & marketing employees survey responses working in 20 out of top 60 business corporations announced by KCCI(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earch techniques analyzing data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SPSS 25.0 and AMOS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th from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to innovative behavior, self-direction and multiple commitment was tes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Second, path from self-direction to multiple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was tes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Third, path from multiple commitment to innovative behavior was tes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Fourth, self-direction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and multiple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Fifth, multiple commitment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and innovative behavior. Sixth, self-direction and multiple commitment had a dual mediating effect between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and innovative behavior. Further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broad a scope about target popul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sophisticated criteria while setting up sampling groups. Thirds, it is needed to develop a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scale that reflects changes in the level of perception of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that occur in the trend of the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