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문화상품의 문화적 중요성에 따른 재활성화 연구

        정지연 ( Jung Je Y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Many traditional designs and products can be seen to be out of step with modern society. While being marginalized from the contemporary market for this reason, they are highly regarded in terms of their historical and traditional values embedded in ways of life in the particular community over time and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cultural significance embodied in such designs and products and clarify its meaning and interpretation for people today who make and/or use them. This will help craft makers and designers better understand what to bear in mind while trying to revitalize them without losing its essential meaning and value. Employing an in-depth case study method, 11-day field research was undertaken to explore traditional designs and products in New Mexico, USA as a successful example of well-sustained and thriving art and craft culture acknowledged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Based on key informant interviews and site visits,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mainly around three areas: traditional crafts, artisans and place.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findings, key success factors of traditional designs and products in Santa Fe are discussed, from which implications for important elements that consist of cultural significance attached to the products can be drawn.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의 색채 분석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공모전 수상작을 중심으로 -

        정은지 ( Jung Eun Ji ),정지연 ( Jung Je Y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3 No.-

        현대사회에서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와 영역에서 문제 해결을 기초로 하는 기능적 효과와 역할을 하는 매개체로 중요도를 인정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모두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인 유니버설디자인은 세계적인 관심사이자 학계에서도 관련 연구들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유니버설디자인에 적용된 기능이나 사용성 평가, 또는 정책 방향 제안 등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형태나 색채 등의 조형적 특징을 기반으로 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 공모전 수상작을 대상으로 색채 분석을 진행하여 색상과 색조가 어떻게 적용되어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는지 파악해보고자 한다. 또한 사례들을 분야별 (제품, 콘텐츠, 공간), 사용자별 (장애인, 노인, 응급환자, 모든 사람)로 구분하여 비교해본다. 사례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색채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의 색채 분석을 통해 심리적 작용에 영향을 주는 색채 이미지를 정립하고,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색채가 시각적인 요소로서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영향을 주는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이로부터 추출된 색채 심리적 요인들은 유니버설디자인을 개발하는 기획 과정에서부터 고려되고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성공적인 서비스로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y, design is recognized as a medium of functional effect and role based on problem solving in various fields and areas. Among them, Universal Design, "Design for All," is a global concern and studies continue in academia. While most studies focus on function, usability assessment, or policy direction suggestions applied to universal desig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formative features such as form and color. In this study, we will conduct color analysis on the winning works of the Universal Design Contest to find out how colors (hue and tone) are applied and communicated. Cases are also compared between types of design (product, content, and space) and their target users (disabled, elderly, emergency patients, and everyone). Through case analysis, we aim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colors in terms of effective communication of universal design, attempting to establish color images that affect psychological action. and suggests the correlation that colors as important visual elements of universal design affect users' psychological reactions in terms of visual communicati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r considered and applied effectively from the planning process of developing universal design will help develop into a successful service.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평가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 2009년~2021년 국내 문헌을 대상으로 -

        정은지 ( Jung Eun Ji ),정지연 ( Jung Je Y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서비스 산업의 발전 동향과 기존 서비스 평가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 평가를 위한 요소들을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자 한다. 다양한 분야 간 융합, 다각적인 사고 등이 중시되는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디자인의 활용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만 이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평가 단계를 결과 도출뿐 아니라 문제 발견, 보완, 예측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보고 빠르게 변화하는 서비스 산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서비스디자인 평가를 주제로 한 선행 연구는 연구 분야의 정량성 부족, 최신 동향에 적합성과 보완 방안 미흡 등 한계가 있다. 이에 2009년부터 2021년까지 약 10년간 서비스디자인 평가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성과 중심의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서비스디자인 최신 동향에 적합한 평가를 하기 위하여 제시된 방안으로는 성과 변수, 제공 과정, 감성 및 행위의 결과 순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서비스디자인 평가를 구성하는 평가 요소 중심의 연구를 세부적인 연구 범위로 설정하여 종합한 평가 요소를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도출한 평가 요소는 기존 서비스디자인 평가의 한계를 보완하고,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따른 최신 동향에 적합한 평가모델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새로운 평가모델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trends of the service industry and existing service evaluation methods, and derive factors for more effective service evalua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lthough studies on the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service design are active in service industries where convergence between various fields and diversified thinking are valued, studies to evaluate them have been found to be insufficient. Thus, the evaluation stage is viewed as an important process for problem discovery, supplementation and prediction as well as the need to be addressed significantly in the rapidly changing service industry. Prior research on the subject of service design evaluation has limitations such as lack of quantification in the research field and lack of suitability and supplementary measures for the latest trends. Accordingly, literature on evaluation of service design (20 dissertations and 30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009 to 2021.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had the most common performance-driven influencing factors. The measures proposed to evaluate the latest trends in service design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performance variables,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result of emotion and behavior. The evaluation elements aggregated in the literature were verifi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The evaluation elements derived from this study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ervice design evaluation and propose the need for a new evaluation model as a component that constitutes an appropriate evaluation model for the latest trends in the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밀레니엄 세대와 Z세대 타겟 앱 디자인 경영모델 제안 - 에브리 타임과 김급식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이유정(Yu Jung Lee),정은채(Eun Chae Jeong),정지연(Je Yon Ju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9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성공 조건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성공적인 결과를 거둔 타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했고,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주로 쓰는 어플리케이션인 에브리타임과 김급식이 그 조건을 어떻게 충족시켰는지 알기 위해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에브리타임과 김급식 디자인 경영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해내었고,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Z세대와 밀레니엄 세대를 포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디자인 경영 모델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other successful applications to find out what the success conditions of the application were, and we interviewed real-world users to find out how the applications used mostly by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Everytime and KimGup-sik, met those conditions. As a result, we drew out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design management of Everytime and KimGup-sik, and with this study, we proposed a design management model of an application that could encompass the Z-Generation and the Millennium Generation.

      • KCI등재후보

        디자인 씽킹의 프로세스를 통한 도시재생 사례 분석 ╶ H-village, 망원시장, 염리동 소금길 사업을 중심으로╶

        김희정(Hee Jung Kim),이지연(Ji Yeon Lee),한동훈(Dong Hoon Han),정지연(Je Yon Ju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20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3 No.2

        도시재생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대상 지역의 환경에 대한 재정비와 더불어 낙후 상권의 활성화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기존의 경제 중심의 재개발 방식을 떠나 그 지역 자체의 문화와 사회적 가치를 유지하고주민 공동체의 이야기를 담는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통한새로운 도시재생 모델을 제시하고 효과성을 파악하고자한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시재생의 개념과 사례를 파악한 후, 국내의 성공적인 도시재생 프로젝트 사례를 (창신동 H-village project, 망원시장, 염리동 소금길사업) 선정하여 디자인 씽킹의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도시재생을 위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본다. 사례 분석 결과, 첫째, 도시재생사업이 지향하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디자인적 사고와 과정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도시재생에서의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가 진정으로 유의미해지기 위해서는 커뮤니티가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In order fo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o proceed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revitalize underdeveloped commercial districts as well as recognize them suitable for change. It can be seen that conventional redevelopment method has minimal effect. Apart from the industrial urban regeneration method, the need for urban regeneration to maintain the culture and social values of the region and to contain the stories of the community of residents emerg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urban regeneration model through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to understand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urban regeneration and its cases,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were selected (Changshin-dong H-village project, Mang-one market, and Yeomri-dong sogeumgil project) to find out the applicability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s a result the analysis, first, it was effective to utilize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o realize the values that urban regeneration aims for. This is based on the consistency of the value pursued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value gained through design thinking. Second,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e community should be the center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in order to be truly meaningful in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메타버스 유형별 특징에서 나타난 체험요소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케아(IKEA) 사례를 중심으로-

        장정윤 ( Jang Jeong Yoon ),정지연 ( Jung Je Y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오프라인 활용도가 높은 인테리어 산업군에서도 디지털 기기의 보급, 1인 가구의 증가와 코로나19의 확산 등으로 온라인 플랫폼과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많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인테리어 브랜드 중 메타버스 활용에 있어 타 브랜드에 비해 앞서나가고 있는 이케아를 사례로 선정하여 메타버스의 유형 별로 체험요소를 분석하고 구매의도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해당 브랜드에서 활용하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증강현실, 라이프로깅, 거울세계, 가상세계의 메타버스 4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파인과 길모어(Pine & Gilmore)의 4가지 체험요소로 분석하였고, 심층면접을 통해 구매의사에 영향을 주는 체험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적 체험요소는 메타버스 유형 중 증강현실과 라이프로깅에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일탈적 체험요소는 낮게 나왔다. 가상세계는 이와 반대로 일탈적 체험이 매우 높게, 교육적 체험은 낮게 나왔다. 구매의사가 높게 나타난 유형은 교육적 체험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 증강현실과 라이프로깅이었으며, 두 유형에서는 기존의 매장방문 및 홈페이지를 통해 정보를 얻고 구매한 것과 달리 실제의 환경이 제공된 증강현실 기술로 언제 어디서든 가구의 정보를 체험할 수 있는 편리한 환경을 제공했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입체감과 몰입감, 그리고 단순한 체험이 아닌 구매에 있어 도움이 되는 정보의 체험은 인테리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중요한 체험요소로 작용할것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동일업계 브랜드의 메타버스 유형별 활용에 유용한 시사점이 되었으면 한다. Even in the interior industry, which has high offline utilization, services using online and metaverse technologies are increasing a lot due to the spread of digital devices and the spread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OVID-19. This study selected IKEA, which is ahead of other brands in the use of metaverse among interior brands, as an example, to analyze the experience factors by type of metaverse and to find out how it affects purchase intention. The metaverse platform used by the brand was classified into 4 types of metaverse in augmented reality, lifelogging, mirror world, and virtual world. This was analyzed as the experience factor of Pine & Gilmore, and the experience factor influencing the purchase intention was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educational experiences were the highest in augmented reality and lifelogging among metaverse types, and deviant experiences were low. The virtual world came out the other way around. Augmented reality and life-logging, which provided useful information through educational experiences, provided a convenient environment for experiencing furniture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provided with actual environments, unlike existing store visits and purchases. The experience of 'information' that is helpful in purchasing, not just a simple experience, will be an important experience factor in the interior metaverse platform, and I hope this paper will also be a useful implication for the future use of the same industry brand by metaverse type.

      • KCI등재후보

        디자인 경영 프로세스 모델 연구 ╶ 레고, 빌드, 발뮤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다은(Da Eun Shin),김형준(Hyeong Jun Kim),이진희(Jin Hee Lee),정지연(Je Yon Ju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20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3 No.2

        기업의 디자인 경영 요소 중에서는 경영방침, 조직 구조, 소비자, 시장 상황, 그리고 프로세스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기업을 창의적 혁신으로 이끌고 있으며 기업의 성공에 있어서 디자인 경영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 경영에 성공한 기업인 레고, 빌드, 발뮤다의 사례 분석을 통해 디자인 경영 프로세스의 필수 요소들을 추출하여 성공적인 디자인 경영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각 기업의 상황과 특성에 따라 디자인경영 방식에도 차이가 나타나지만, 서로 다른 기업의 디자인경영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여 일정한 공통점과 차이점을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필수 요소로 구성된 성공적인 디자인경영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향후 디자인 프로젝트 및 기업의성공적인 경영을 위한 기본적인 지침이 되고자 한다. Among the elements of design management are management policies, organizational structures, consumers, market conditions, and processes. These factors drive companies to creative innovation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continues to grow in their suc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model of design management process through case analysis of Lego, Build, and Balmuda, extracting essential elements of the design management process. Although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y vary, certain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processes of different companies. Based on this, a model of successful design management process consisting of essential elements for the success of design management and provide basic guidance to new design projects and businesses.

      • KCI등재후보

        라이프스타일 제안을 위한 기업 디자인경영에 대한 사례 연구 - 츠타야 서점과 하나은행 컬처뱅크를 중심으로╶

        고하림(Ha Rim Go),김혜진(Hye Jin Kim),정지연(Je Yon Ju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9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변화하는 소비자와 공급자의 관계에서 디자이너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에대한 의문에서 출발한 연구이다. ‘일본의 츠탸야 서점’과 ‘하나은행 컬처뱅크’는 서점과 은행으로 불리고 있지만기존의 서점과 은행과는 다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예전과 달라진 소비자의 소비 행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츠타야 서점과 하나은행 컬쳐뱅크에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변화하는 소비자의 소비 행태에맞춰 기업이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다가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사례분석을 위한 틀로 사회적 시점, 기업 시점, 고객 시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결과로 변화하는 시대에 기업들은 디자인경영을 통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그를 위해디자이너는 사회와 고객을 이해하고 기업이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고객가치를 부여하는 역량을 가져야 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at roles designers can play in the changing relationships of consumers and supplier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apan's Tsukuniya Bookstore and Hana Bank Culture Bank are called bookstore and bank, respectively, but they show different forms from conventional bookstores and banks. These differences are closely related to recent changes in consumer behaviour and spending patterns. Through a case study of Tsutaya Bookstore and Hana Bank Culture Bank, we examine how companies approach consumers responding to changing consumer spending. As a framework for case analysis, three perspectives are used: social, corporative, and customer perspectiv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companies propose new lifestyles to customers through design management. To this end, designer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society and their customers and have the capacity to add customer value to the products or services they off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