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MIPv6 기반의 UMTS / WLAN 연동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안

        정은주(Eunjoo Jeong),박상준(Sangjun Park),이혜원(Hyewon K. Lee),김재하(Jaeha Kim),김병기(Byunggi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2 No.4

        글로벌 로밍환경 구축을 위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각각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통합한 인터네트워킹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UMTS와 WLAN의 인터네트워킹 방식은 크게 loosely-coupled 방식과 장기적 접근을 요구하는 tightly-coupled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Loosely-coupled 방식은 MIPv6(Mobile IP version 6)의 HA/AR(Home Agent/Access Router)를 사용하여 핸드오버(handover, HO)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Loosely-coupled 방식은 IWU(Inter Woriking Unit)을 통해 직접적으로 두 망이 연결되어 있는 tightly-coupled 방식에 비해 독립적 확장이 가능하고 비교적 구현이 쉬우나 핸드오버의 지연으로 인한 패킷 손실과 서비스 끊김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HMIPv6(Hierarchical MIPv6)를 사용하여 UMTS와 WLAN의 인터네트워킹에 대한 핸드오버 프로시저를 제안한다. 총 핸드오버 시간을 구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HMIPv6를 사용한 방식이 기존의 MIPv6를 사용한 방식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he research in internetworking between UMTS and WLAN, which is completed with merits and demerits, is actively progressed to establish global roaming environments. This internetworking is classified into two groups: loosely-coupled and tightly-coupled. A tightly-coupled mechanism demands lots of investment and considerable amountof time to construct, which is directly conneted between UMTS and WLAN via IWU. On the other hand, a loosely-coupled mechanism is more scalable and easier to implement than a tightly-coupled one while it has critical drawbacks of packet loss and blocking of services due to handover delay. To alleviate these drawbacks, this work proposes a handover scheme between UMTS and WLAN, which is based on HMIPv6.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s evaluated by the simaulation. The proposed internetworking scheme based on HMIPv6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ose based on MIPv6.

      • KCI등재

        투입노력 양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비용산정 모형

        정은주(Eunjoo Jeong),유천수(Cheonsoo Yoo)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12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19 No.2

        The cost of software maintenance occupies about two thirds in the software lifecycle. However, it is not easy to estimate the cost of software maintenance because of various viewpoints about software maintenance, unclear estimation methods, and complex procedures. Until now, the cost estimation model has used compensation factors for software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on the basis of program size. Especially, most of existing models use maintenance rate of total software cost as a main variable. This paper suggests the software maintenance cost estimation model that uses the result of calculating real maintenance efforts. In this paper, we classify functional maintenance and non-functional maintenance as software maintenance activity type. For functional maintenance, present function point of target software is needed to evaluate. The suggested maintenance cost evaluation model is applied to a software case in public sector. This paper discusses some differences between our model and other modes.

      • KCI등재

        姜世晃의 燕行活動과 繪畵

        정은주(Jeong Eunjoo)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9 No.259

        甲辰燕行詩畵帖은 1784년 10월부터 1785년 2월까지 進賀謝恩兼冬至使로 연행한 정사 李徽之(1715-1785), 부사 姜世晃(1713-1791), 서장관 李泰永(1744-1803)이 함께 사행에서 수창한 시와 그림을 엮은 詩畵帖이다. 당시 사행의 목적은 청나라 건륭제가 50년 동안 평화롭게 나라를 다스린 것을 하례하고 칙령으로 조선사신을 千?宴에 참석시킨 것과 중국에 표류한 조선인을 돌려보낸 것에 대한 사례, 그리고 年貢을 바치기 위한 것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강세황의 일부 작품으로만 간주되던 中國紀行帖을 1784년 동지사행을 배경으로 제작된 5점 이상의 시화첩으로 확대하여 甲辰燕行詩畵帖이라 명명하였다. 이들 시화첩이 강세황 개인의 기행이라기보다 燕行이라는 공적인 목적을 배경으로 제작된 결과물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사행노정 및 특정 사안과 각 작품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그 기록적 가치와 회화사적 의의를 모색하려 하였다. 甲辰燕行詩畵帖 중 《?路三奇帖》에서 부사 강세황이 그린 사행노정의 실경과 사적에 대한 정보는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 없어 중국 현지답사를 통한 사진을 비교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북경 청의원, 즉 이화원의 모습을 조망한 西山 외에도 지금까지 임의로 ‘山水圖’라 명명했던 작품을 허맹강의 사당을 그린 ‘姜女廟’로 지칭할 수 있었다. 한편 북경에서 이루어진 사행의 공적활동으로 《瀛臺奇觀帖》중 청에서 國俗으로 간주하여 매년 동지를 즈음하여 공식적 국가 전례로 행했던 빙희 장면과 《壽域恩波帖》에서 건청궁의 천수연, 원명원에서 건륭제를 친견한 정황을 기록과 중국 기록화의 비교를 통해 검토하였다. 특히 《수역은파첩》중 두 차례 천주당 방문 기록은 강세황의 천주당 신문물에 대한 관심과 예리한 통찰을 엿볼 수 있어 조선 후기 화단에서 그의 위치를 고려할 때 매우 의미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그밖에 《金臺弄翰帖》은 강세황과 역관가문 출신 金漢泰와의 관계는 물론 이들이 북경에서 만난 薄明과의 교유관계를 살필 수 있는 사료로 주목하였다. 《燕臺弄毫帖》에는 1785년 기년이 확실한 강세황의 사군자도 네 폭이 포함되어 《瀛臺奇觀帖》의 〈석국도〉와 함께 그의 사군자도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甲辰燕行詩畵帖은 해당 그림에 대한 삼사의 수창시와 제발 등을 기록하여 그림 위주의 연행도 제작관행을 벗어나 詩書畵에서 조화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독창성이 있다. 또한 시화첩 내에 포함된 실경도는 전문화원에 의해 그려진 다른 연행도가 채색과 묘사에서 비교적 섬세한 공필을 사용한 것과 달리 강세황 특유의 남종문인화풍이 농후하여 그의 만년까지 지속된 실경 산수화에 대한 관심과 사생태도를 엿볼 수 있는 또 하나의 기준작으로 의의가 있다. Gapjin Yeonghaeng Sihwacheop is a collection of poems and paintings produced by a Joseon diplomatic mission to Beijing in China. The mission, which lasted between the tenth month of 1784 and the second month of 1785 was led by chief envoy Yi Hwi-ji (1715-1785), Gang Se-hwang (1713-1791) as its vice-envoy and Yi Tae-yeong (1744-1803) as a document officer. Joseon envoys' visit to Beijing had three goals: congratulating Emperor Qianlong for his fifty years' peaceful reign, thanking him for the recent decree inviting Joseon officials to Cheonsuyeon (Ch. Qiansouyan: 'Banquet of a Thousand Elders') and the repatriation of Joseon castaways, and paying the annual tribute to the imperial court. This collection of poems and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1784 trip to China is known in Korea as Jungguk Gihaengcheop (Travel Sketches from China). In this paper, I have added to this collection other works by Gang Se-hwang, also produced in connection with this trip, and designate them together as Gapjin Yeonhaeng Sihwacheop (Poems and Paintings from Travel to China in the Year of Gapjin). The study is an exploration of how these works to be depicted by Gang Se-hwang, resulting from an official visit to a foreign country in the context of a diplomatic mission, rather than a personal trip by the artist, because most of works were influenced by the goals of the mission and its itinera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ocumentary dimension and value of works contained within Gapjin Yeonhaeng Sihwacheop and their significance for the history of Joseon-period painting. To cast light on the landscapes and historic spots depicted in 'Saro Samgicheop' of Gapjin Yeonhaeng Sihwacheop, whose real models have never been established, I traveled to China and took photographs of corresponding sites. By comparing these paintings with the photographs of the sites where they are said to have been made, I was not only able to confirm that 'Seosan' was a view of the Summer Palace (Yiheyuan) in Beijing, but also, and more importantly, determine that the actual model of a painting referred to simply as "Landscape" was the Shrine of Mengjiangnu. Some of the paintings in Gapjin Yeonhaeng Sihwacheop were checked for accuracy of representation by comparing them with Chinese documentary paintings on the same subjects. A painting within Yeongdae Giwancheop (the volume documenting places visited during official duties), depicted "game on ice (bingxi)", a national rite observed in the Qing Dynasty every year around the time of the Winter Solstice. Two leaves in Suyeok Eunpacheop described Cheonsuyeon, held in the Palace of Heavenly Purity (Qianqinggong), and the scene of a meeting with Emperor Qianlong in the Garden of Perfection and Light (Yuanmingyuan). The two successive visits made by Gang Se-hwang to the Catholic Church in Beijing, related in verses contained in Suyeok Eunpacheop. These writings, demonstrating Gang Se-hwang's keen interest in Western civilization and presenting his sharp observations, retain a high historical significance, given especially the large-than-life status he enjoyed in the painting and artistic circles of late Joseon. This study also pays close attention to Geumdae Nonghancheop, which provides an account of Gang Se-hwang's relationship with Kim Han-tae, a multi-generation interpreter, and exchange they had in Beijing with Bo Ming (薄明). As for Yeondae Nonghocbeop, the volume contains four paintings on the theme of Four Gentlemen, which are of particular interest due to their confirmed year of creation (1785). These four paintings, along with Seokguk-do in Yeongdae Giwancheop, promise to offer important insight into Gang Se-hwang's Four Gentlemen. Gapjin Yeonghaeng Sihwacheop stands out from other travel sketches, often consisting mostly of paintings, in that it contains poetic improvisations by the three envoys, and postscripts contributed by them, striking a fine balance between poetry and painting. A

      • KCI등재

        지도를 통해 본 조선과 청의 定界와 변경 인식의 변화

        정은주(Jeong, Eunjoo)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1 한국고지도연구 Vol.13 No.1

        백두산과 압록강, 두만강 지역을 조선 판도 내에 편입시킨 것은 세종연간이다. 양강 지역을 경계로 확보된 영토를 지키기 위한 진과 군이 갖춰지면서 본격적으로 이 지역을 개척하였다. 그러나 열악한 국경 방어체제로 인 해 서북지역 대부분은 군사적 측면에서는 邊地로 인식되었다. 청이 북경으로 입관한 이후 백두산 일대와 兩江 지 역에서 발생한 가장 큰 변화는 조선과 청 양국 간의 국경을 획정하는 定界라 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定界 이전 백두산에 대한 인식을 먼저 살펴보고, 1712년 조선과 청의 정계 전후 양국의 邊境 인식 변화와 그에 따른 결과로 제작된 고지도의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어 1712년 淸差 穆克登의 파견과 함께 전개된 정계의 시말을 당 시 사료와 지도를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정계 이후 함경도 지역의 백두산과 두만강, 압록강 일대를 넘어 만주 지 역까지 확대하여 제작한 지도를 중심으로 북방 변경에 대한 지리 인식 변화를 고찰하였다. It was the reign of King Sejong that incorporated the Baekdusan Mountain, Yalu River, and Tumen River areas within the Joseon territory. The area was pioneered in earnest with the establishment of camps and counties to protect the territory secured by the border between the two rivers. However, due to poor border defense, much of the northwestern region was recognized as the less important area. The biggest change that has occurred in the Baekdusan Mountain and the two river areas since Qing entered Beijing is the demarcation of the border between Joseon and Qing. This paper is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Mt. Baekdu before and after demarcation of the border between Joseon Dynasty and Qing Dynasty in 1712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through the maps of the two countries. Following the dispatch of Mu Kedeng in 1712, to demarcate the Border was investigated through historical materials and maps. Furthermore, the geographical perception of the northern area was considered based on a map produced by expanding over the Baekdu Mountain, Tumen River, and Yalu River in Hamgyeong province to Manchuria.

      • KCI등재

        20세기 초 건축도면을 통해 본 舊 황실 도서 소장처의 변화

        정은주(Eunjoo Jeong)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3 한국고지도연구 Vol.15 No.1

        본문에서는 장서각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근대 건축도면 중 황실재정 정리기구를 통해 궁내부와 이왕직에서 생산한 자료를 중심으로 과거 대한제국 황실에서 소장한 도서 소장처의 위치와 규모가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도서의 원래 소장처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장서각 도서를 소장했던 건축도면으로, 먼저 한성 북부 관광방의 옛 종친부 건물이던 仁修宮과 인수궁 내 경근당과 옥첩당에 황실도서를 보관하기 위해 만든 서가 구조를 그린 도면을 통해 인수궁의 실체와 그 부속 건물, 그리고 그 위치를 비정할 수 있었다. 이후 창덕궁도서고는 1915년 창경궁 秋景苑 터에 세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곳은 ‘이왕직도서고’, ‘이왕직 장서각’ 등으로 불렸으나, 도면에 공식 명칭인 ‘창덕궁도서고’가 선명하게 나타나 있어 당시 공식명칭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1911년 준공된 제실박물관의 기능이 1938년 이후부터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전한 정황을 반영한 1938년 이후 도면에서 창덕궁도서고 자리에 ‘舊藏書閣’과 제실박물관에 새로 옮겨진 ‘藏書閣’을 기록하여 그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舊 황실 도서고와 관련한 근대 건축도면을 통해 제실도서관을 계획했던 인수궁부터 창덕궁도서고와 장서각에 이르기까지 건축물의 구체적 위치와 명칭이 조금씩 변화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paper focused on architectural drawings related to the library for storing imperial book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paper, we found the architecture drawings reflecting the plan to build an Imperial Library on the site of the Insugung of Jongchinbu. In 1915, the Changdeokgung Palace Library was built on the site of Changgyeonggung Palace's Chugyeongwon garden. In Jangseogak Archives, a draft drawing drawn on Kent paper and a revised drawing of Changdeokgung Library remain, so we can understand the process of making architectural drawings. The Empire Museum, completed in 1911, was relocated to Seokjojeon Hall of Deoksugung Palace, and after 1938, the books of Changdeokgung Library were moved to this place and a reading room connected by a long corridor was newly established to the north. The drawing made after 1938 shows the exact location of the old “Jangseogak” on the site of the Changdeokgung Library and the new “Jangseogak” moved to the old Imperial Museum. In this paper, we examined that the specific location and name of the building have changed from Insugung Palace, which planned the Empire Library, to ‘Changdeokgung Library’ and ‘Jangseogak’ through modern architectural drawings in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KCI등재

        阿克敦 《奉使圖》硏究

        정은주(Jeong Eunjoo) 한국미술사학회 2005 美術史學硏究 Vol.- No.246·247

        《奉使圖》는 淸나라 사신 阿克敦(1685-1756)의 조선사행의 견문을 묘사한 畵帖과 그 그림에 대한 題詩와 跋文을 모은 書帖으로 구성되었다. 阿克敦은 1685년(康熙 24) 滿洲 正藍旗 태생으로, 字는 沖和, 立恒, 恒巖이며, 堂號는 德蔭堂이다. 1709년에 진사가 되어 翰林院掌院學士, 協辦大學土와 太子少保에 이르렀고, 准?爾의 전장에 봉사로 파견되어 전쟁을 막은 공이 컸다. 1756년 향년 72세로 별세하였고, 시호는 文勤公이며, 유작으로 『德蔭堂集』이 있다. 아극돈의 무려 네 차례에 걸친 조선과의 인연도 이러한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阿克敦의 제1ㆍ2ㆍ3차 조선사행은 상칙사로 파견되었는데, 제1차 사행은 1717년 9월 숙종의 眼疾 치료제인 空靑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었다. 아극돈은 1차 사행 후 환국한 지 불과 3일만인 1717년 12월에 淸 順治帝(재위 1644-1661)의 貞妃였던 孝惠章皇太后(1641-1717)의 訃音을 알리기 위해 다시 조선에 오게 된다. 제3차 사행은 1722년 4월, 조선 경종의 동생 연잉군 李昑의 王世弟 책봉을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조선 경종의 조부사제를 위한 부칙사로서 1725년 1월 上馬하여 제4차 조선사행을 하였다. 《봉사도》는 현재 中國民族圖書館 善本部에 수장되어 있다. 樟木으로 만들어진 보관함은 서책과 화첩을 나누어 넣을 수 있도록 2층으로 구분되었다. 서첩과 화첩의 크기는 세로 46.5cm, 가로 29cm로 일치하며, 표지는 紙版 위에 花紋의 비단으로 장황하였다. 현재는 표지의 가장자리가 닳아 황색 지판이 노출되어 있고, 표지 위에 제목을 썼던 부분이 이미 마모되어 외관상 화첩과 서첩의 구분은 어렵다. 서첩은 史貽直의 20수 酬唱詩를 비롯하여 沈德潛, 錢維城 등에 이르기까지 《奉使圖》화첩에 대한 16인의 제시와 발문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들의 글은 1749년에서 1881년 사이에 첨가되었고, 뒷 부분의 몇 장은 빈 여백 상태로 남아있다. 《奉使圖》화첩은 鄒一桂(1686-1772), 董邦達(1699-1769). 于敏中(1714-1779). 介福 등 청대 문인서화가 4인이 序詩를 썼으며, 1748년에서 1756년 이전에 쓴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于敏中의 서시 20수는 《봉사도》화면 위에 아극돈이 쓴 제시와 각각 상응한다. 또한 1725년 12월에 서법에 능한 王澍(1668-1739)가 ‘奉使圖’라는 內題와 관지를 썼다. 본고에서는《봉사도》의 화첩을 중심으로, 미술사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봉사도의 제반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먼저, 《봉사도》를 그린 필자가 鄭璵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봉사도》의 제1폭 위에 정여가 제작하였다고 기록한 관지와 20폭 전체 화면 위에 찍힌 정여의 인장을 비롯하여, 北京故宮博物院 소장 〈阿克敦 過庭圖〉(132×70.2cm)를 그 근거로 들었다. 〈阿克敦 過庭圖〉는 정여가 莽鵠立(1672-1736)이 먼저 그렸던 소상을 바탕으로 《봉사도》와 같은 해에 다시 제작한 것으로, 두 화폭 위에 그려진 아극돈 소상의 화풍이 사실상 일치하며 공통된 인물들이 제작에 참여한 점에서 《봉사도》화첩의 필자 연구에 결정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承政院日記』를 비롯하여, 《봉사도》 서책에 쓴 蔣溥의 제발에서도 나타나듯 《봉사도》는 제4차 사행시에 아극돈 자신이 조선의 화공에게 직접 그리도록 주문한 畵題와 상당 부분에서 일치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조선화원이 그린 그림을 바탕으로 청국에 돌아간 아극돈이 정여에게 제작을 의뢰하였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는《봉사도》화첩을 구성하는 20폭의 그림 중 북경의 紫禁城을 배경으로 한 아극돈의 초상화, 鳳凰城(現 요녕성 봉성시) 외경을 그린 2폭을 제외한 18폭이 조선의 사행여정을 배경으로 제작되었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봉사도》 화풍에 나타나는 당시의 중국화풍과 조선적인 요소의 상호 개입 여부를 보면, 풍속은 조선의 시대상을 비교적 잘 반영한 반면, 산수는 청대 화풍이 더 강하고, 건축의 세부 묘사 역시 조선적 특징과 차이를 보여 청국 화가 정여의 자의적 해석이 반영되었다. 《봉사도》의 서첩은 그 流轉 과정에서 그 순서가 뒤섞여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견본채색으로 제작된 화첩 그림 20폭에는 아극돈의 題詩 16首가 그림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데, 그 순서는 아극돈이 제3차 사행에서 완성한 『東遊集』에 실린 제시 16수와 그 내용 및 순서가 동일하다. 또한 이 제시들은 于敏中과 史貽直의 수창시 순서와 동일하여 현재의 장첩 순서는 아극돈이 화첩을 제작했던 당시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봉사도》 화첩은 제4차 조선사행을 마치고 돌아온 아극돈이 제3차 조선사행 이후 스스로 완성한 『동유집』의 제시와 상응하는 그림을 鄭璵에게 의뢰하여 적어도 1725년 6월 이전에 그려졌다. 이 논고에서는 그동안 미공개되었던 《봉사도》의 笏記와 문헌기록을 통해 그럼에 나타난 칙서 관련 의례가 진행된 장소 및 내용을 비교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봉사도》에 묘사된 궁중 의례 장면은 아극돈이 제1차 조선사행 때 편전인 熙政堂에서 행했던 受勅書儀와 제3차 사행에서 행했던 仁政殿 宣勅書儀와 관련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의 궁중기록화에서는 볼 수 없는 조선 국왕과 왕세자의 모습이 그림에 선명하게 드러난다는 점도 매우 흥미롭다. 그밖에 《봉사도》의 사행기록화적 측면을 감안하여 화면의 내용을 분석하여 사행노정의 순서에 따른 각 장소를 비정하였다. 세부적으로는 陰陽魚太極, 開城 내 객사 주변의 거리, 그리고 慕華館에 사열한 호위 군대 등 그동안 《봉사도》의 도상해석에서 논란이 되었던 문제에 대한 해결점을 모색하였다. 《봉사도》의 화첩 그림 20폭은 1123년 徐兢(1091-1151)이 제작한 『高麗圖經』이래, 중국 사신의 조선 사행 관련 기록화로는 현존 유일본으로, 18세기 朝鮮과 淸의 대외 관계사를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특히 18세기 초 조선을 네 차례나 사행한 청국 사신 관점에서 솔직하게 기록한 조선의 풍속은 물론, 칙서의식과 관련한 궁중행사를 시각화한 使行記錄畵로서 그 회화사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Fengshitu (奉使圖) is an album of paintings depicting memorable experiences of an envoy from Qing to Korea, Akedun (阿克敦, 1685-1756), who visited Joseon four times in 1717, 1722, and 1725. The album (W. 46.5×L. 29 centimeters), now kept in the China Ethnic Library in Beijing, consists of two volumes: one with paintings that portray places he visited, and the other with poetic inscriptions by his friends and descendants of the appreciation of the paintings. The cover of each volume, covered by floral-patterned silk, is worn off, and the titles are almost erased. The Qing calligrapher Wang Zhu (王澍) wrote the title "Fengshitu" on each volume in the 12th month of 1725. Akedun, from Zhenglanqi (正藍旗) clan, was born in the Manchu area in 1685. He started his official career in 1709 by passing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thus appointed high-raking positions such as a senior scholar in the Imperial Academy (翰林院) and an assistant to the Crown Prince (太子少保). Thanks to his outstanding work, he was dispatched to Joseon during the reigns of Kangxi (1662-1722) and Yongzheng (1723-1735). In his first mission conducted in the 9th month of 1717, he came to Joseon to provide a medicine to cure King Sukjong's eye disease. In the 12th month of the same year, he visited again to report the death of the Qing empress dowager (孝惠章皇太后 1641-1717) to the Joseon court. In 1722, he made the third trip to approve the 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 Yi Geum (李昑) as an heir to King Gyeongjong (r 1720-1724). Finally he visited Joseon in the 1st month of 1725 to deliver the Chinese emperor's condolences for the deceased King Gyeongjong. The first volume of the album consists of paintings that document Akedun's experiences in Joseon. There are also several colophons written in 1748-1756 by eminent scholars such as Zou Yigui (鄭一桂, 1686-1772), Dong Bangda (董邦達, 1699-1769), Yu Minzhong (于敏中, 1714-1779), and Jie Fu (介福). Among them, Yu Minzhong's colophon is a poetic response to Akedun's poems written on each leaf of the album. Poetic inscriptions compiled in the second volume were written by his sixteen contemporaries including Shi Yizhi (史貽直, 1681-1763). Shen Deqian (沈德潛, 1673-1769) and Qian Weicheng (錢維城, 1720-1772). Their dates span from 1749 to 1881. This paper deals with various aspects of the paintings of Fengshitu, particularly concern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painter, subject matters, painting styles and brush techniques, and the original arrangement of inscription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of all, probably all the paintings in the album were done by Zheng Yi (鄭璵). This is supported by some evidence: a colophon written on the first leaf of the album suggests it: his seals are pressed on every leaf: Guotingtu (過庭圖, Passing the Garden), a portrait of Akedun by Zheng Yi, in the Palace Museum in Beijing shows affinities in brushwork with another portrait in the album. According to the Seungjeongwon Ilgi (承政院日記,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of Joseon and a colophon by the Chinese poet Jiang Pu's (蔣簿) in the album, Akedun originally asked a Korean painter to sketch the scenes, which were copied by Zheng Yi when they were brought to China. The scenes depict court ceremonies, the countryside, mountain landscapes, agricultural scenes, social activities, etc. The subjects are related to the eighteen districts or monuments in Joseon except for the Forbidden City (紫禁城) and the Feng'huang Cheng (鳳凰城) in China. It is notable that the painting style of Fengshitu shows a mixture of Joseon genre-painting style and Chinese landscape style. In depicting architecture buildings of Joseon, Zheng Yi sometimes portrayed them like Chinese architecture. Twenty paintings of the album show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Korean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s observed by a foreign visitor. Another important problem concerning me paintings is their original order. Since me inscriptions in me other volume

      • KCI등재

        건륭연간(乾隆年間) 북경성(北京城) 지도(地圖)와 국가전례(國家典禮) 기록화(記錄畵)

        정은주 ( Jeong¸ Eun-joo ) 명청사학회 2021 명청사연구 Vol.- No.55

        This paper is aimed to understand in aspect of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capital city through the maps of Beijing and the documentary paintings during the reign of Qianlong Emperor. Due to the influence making techniques of the Western cartography, the map of Beijing in detail showed the more systematic aspect of Beijing's governance than before. In addition, the maps reflected the past trace of Beijing over time. The paintings of the imperial ceremonies against the backdrop of Beijing were made in great styles in the reign of Qianlong. These paintings are national-scale recordings centered around the palace and outside the walls of Beijing capital city at the time and are meaningful visual materials that show the actual status of rituals held at the site along with the related records. The paintings were classified by the state rituals in the Qing Dynasty. These allow for practical access to the intentions of the Qing emperor and politicians to realize in the capital city of Beijing. The ceremonies of the Emperor and the Empress dowager' Birthday were held to celebrate on a national scale. The imperial family were also congratulated by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foreign envoys. A number of court paintings and wood-blocks were made in the background of the celebration of the Emperor and the Empress dowager' Birthday. The paintings of the banquet for victorious campaign at Ziguang-ge(紫光閣) and the ceremony offering captives and the head of an enemy to the Emperor at Wumen(午門) are the military ceremonies commemorating the victory on a foreign expedition in 1760. The military skating game on ice at Taiyechi(太液池) around the time of winter solstice to promote the martialism and to make a show force to foreign countries. The paintings of the national ceremonies against Beijing capital focused on the powerful imperial power, the era of prosperity, and the images reproduced great powers of the Qing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