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린도인들의 제의 공간(가옥과 신전)과 바울의 제의 용어

        정용한(Chung, YongHan) 한국신약학회 2020 신약논단 Vol.27 No.2

        본 논문은 고린도전후서에 나타난 제의 용어들(“집”, “세우다”, “성전”, “제단”, “재물”)을 1세기 고린도의 그리스 로마 제의 공간들(가옥과 신전)을 통해 새롭게 이해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진행된 저자 중심의 해석들과 달리 고린도의 제의 공간이 당시 청중들에게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공간으로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밝히는 청중 중심 해석을 시도한다. 이 연구는 문헌증거와 함께 고고학적 증거들을 통해 당시의 1세기 고린도 유적들이 그리스와 로마의 건축적 요소를 함께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당시의 가옥과 신전들은 고린도가 로마화의 과정 속에서도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형성하려 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바울의 제의 용어들은 로마의 식민지화 과정 속에서 그리스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경험을 반영함과 동시에 청중들로 하여금 또 다른 정체성(그리스도인)을 고민하도록 돕는다. This study aims to shed a new light on the interpretation of cultic languages (house, building, temple, altar, sacrifice) in 1-2 Corinthians with the Greco-Roman cultic space (house and temple) in the 1st century Roman Corinth. Unlike th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author-oriented interpretations, this study proposes an audience-oriented interpretation that highlights the Corinthian cultic space as the place of identity formation. The study analyzes with pieces of archeological evidence how the cultic languages were understood by the 1st century Corinthian audience. Since the Corinthians had to struggle with their new forming identity in a process of Romanization, Paul’s cultic languages, which are related not only with the Greco-Roman cultic experience but also with the Christian communal experience, enable them to reconsider their new identity as a church in comparison with their Greek identity colonized by Roman culture.

      • KCI등재후보

        마태복음의 성전 대체 신학?

        정용한(YongHan Chu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3 Canon&Culture Vol.7 No.2

        본 소고는 지난 2000년 동안 ‘예수’ 혹은 ‘교회’가 예루살렘 성전을 대체하고 있다는 기독교 내의 성전 대체 신학을 마태복음이 지지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힌다. 마태의 파괴된 성전에 대한 긍정적이며 동시에 부정적인 이해는 당시 유대인들의 종말론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태는 당시 묵시 문학에서 ‘하나님의 보좌’가 의미하고 상정하는 천상의 종말론적 성전에 대한 유대적 이해를 공유한다.(5:34; 19:28; 23:22; 25:31). 성전의 역사적 중요성과 함께 2차 성전의 파괴와 부재에 대한 다양한 유대적 이해들(구약, 사해 사본, 묵시 문학, 요세푸스와 필로, 1, 2차 유대 전쟁 사이의 전승)은 종말론적 성전에 대한 유대인들의 지속적인 기대를 확인시켜 주는 반면, 성전을 메시야가 대신한다는 종류의 대체 신학을 확인시켜 주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마태 이전의 바울서신, Q 자료와 마가복음에 나타나는 성전에 대한 언급도 성전 대체 신학의 관점에서 이해되는 것이 자명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다양한 자료들의 이해는 임마누엘 신학, 예수의 죽음과 ‘에클레시아’에 대한 마태의 관심 자체가 반유대적, 우월적 성전 대체 신학을 지지해 주는 충분한 증거가 되지 못함을 밝혀준다. 마태는 여전히 종말론적 성전에 대한 기대를 통해 청중들에게 예루살렘 성전의 부재(不在)를 이해하도록 돕고 있다. In light of the conflict among contemporary Jews and the Jewish worldview influenced by apocalyptic eschatology that frequently functioned as a coping mechanism for the loss of the Temple in the post-70 C.E. historical setting, Matthew’s understanding of the destroyed Temple does not support a super-sessionist temple replacement concept base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Jesus (and his death) or the ekklesia or both. Instead, Matthes’s ambivalent attitude toward the destroyed Temple is better understood from the contemporary Jewish background of belief in the eschatological temple found in Matthes’s references to the throne of God (5:34; 19:28; 23:22; 25:31). Unlike the widespread expectation for the eschatological temple, the idea of Messiah-temple replacement is not attested in any extant Jewish tradition(the Dead Sea Scrolls, apocalyptic literature, and the writings of Philo and Josephus, etc.). In addition, the passages that reference the temple in the Pauline letters, the Q-source, and the Gospel of Mark do not need to be interpreted in terms of temple-replacement theology. Likewise, understanding Jesus’ death as atonement, the so-called Emmanuel theology, and recognizing special reference to ekklesia in Matthew’s Gospel do not historically or exegetically support the temple-replacement concept.

      • KCI등재

        에베소의 바울계 교회와 요한계 교회의 관계성에 대한 소고 - 고고학적, 문헌적 연구를 바탕으로

        정용한(Chung, YongHan) 한국신약학회 2021 신약논단 Vol.28 No.4

        본 연구는 1세기 후반 에베소에 공존한 바울계 교회(제2바울서신)와 요한계 교회(요한 서신)의 관계성을 에베소의 고고학적, 문헌적 자료를 바탕으로 밝히려는 데 목적이 있다. 1세기 에베소는 아르테미스 숭배, 새 항구 건설, 활발한 무역업을 바탕으로 다종교, 다문화 사회로 성장하고 있었다. 1세기 초중반의 에베소는 그리스 도시에서 로마도시로 변하고 있었고(로마화), 1세기 말과 2세기 초의 에베소는 아르테미스 성전 및 제국 제의를 위한 성전들을 수호하는 “이중 성전 수호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었다. 1세기 에베소의 상황은 사도행전(18-19장)과 요한계시록(2장)을 통해 확인된다. 바울 사후 에베소에서 공동체를 유지해온 바울계 교회는 로마화된 에베소의 사회 질서와 제국적 가치에 적응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고(가훈표와 교회 직제), 1세기 말 에베소에 이주한 요한계 교회는 에베소의 다종교, 다문화 속에서 교인들의 안정과 결속을 위해 서로 사랑과 형제 대접을 강조하였다(가족 용어와 장로 언급). 두 교회(제2바울서신과 요한 서신)가 보이는 유사성과 차이점은 두 교회 사이의 직접적이거나 비적대적인 관계성 때문이 아니라 두 교회가 경험한 1세기 후반 로마화된 에베소의 상황 때문인 것으로 보아야한다.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uline church (Deutro-Pauline Letters) and the Johannine church (1, 2, 3 John), which coexisted in Ephesus in the last decades of the first century, on the basis of the archaeological and literary analysis of the first century Ephesian society. Ephesus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city on account of her various roles in connection with the worship of Artemis, the construction of a new port and a trading post. From the early to mid first century, Ephesus developed from a Greek city to a Roman city (Romanization), and from the late first to early second century, Ephesus established her identity as a “twice neokoros”, protecting the Temple of Artemis and the temple for imperial cult. The features of Ephesus in the middle and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are also confirmed in Acts (chs. 18-19) and Revelation (ch. 2). After Paul’s death, the Pauline church, which inherited Pauline traditions at Ephesus, showed an effort to adapt to the social order and values of the Romanized Ephesus (House Code and Church Order). On the other hand, the Johannine church, which migrated to Ephesus at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emphasized brotherly love and hospitality for the stability and unity of church members in the multi-religious and multi-cultural society of Ephesus (family and elder terms). The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the Deutero-Pauline letters and the Johannine letters are indebted not to the direct or non-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hurches, but to the social and religious situation of the Romanized Ephesus that they experienced in the last decades of the first century.

      • KCI등재

        20세기 팝 아이콘 마릴린 먼로 - 앤디 워홀의 영향과 동시대 한국미술에서의 재해석

        영한 ( Yong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이 논문은 “왜 지금여기의 미술에서 마릴린 먼로인가?”라는 담론의 가능성을 기반으로 하여 지난 세기의 팝아트에서부터 동시대 한국미술에 존재하는 ‘현대의 아이콘’에 관한 연구이다. 마릴린 먼로의 죽음을 철저하게 이용한 앤디 워홀은 그가 열망하던 슈퍼스타가 되었으며 죽음과 동시에 앤디 워홀의 뮤즈가 되었던 마릴린 먼로는 대중문화와 현대미술을 막론한 불멸의 아이콘으로 끊임없이 복제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기가 전환된 동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마치 어떤 단어로 대체하더라도 결국 포스트모더니즘에 함축되어 있는 문제에서 파생된 가치를 공유하고 있는 21세기의 시대성을 반영하는 듯하다. 이러한 지점에서 이 연구는 동시대 한국미술의 관점을 거쳐 재해석되고 있는 마릴린 먼로라는 화제(畵題)를 앤디 워홀의 팝아트의 영향을 수용하고 있는 동시대 한국미술의 경향에 적용시켜 분석하는데 집중한다. 이에 따라 스타와 현대미술의 관계를 구축하는 사회문화적 이데올로기를 우선적으로 고찰하고, 다음으로 죽음으로 완성된 마릴린 먼로와 앤디 워홀의 팝아트에 개입된 명성에 관한 문제를 재조명하는데 논점을 둔다. 이와 같은 배경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의 조합을 시도하는 김동유, 이길우, 이동재, 정영한의 회화작품과 마릴린 먼로라는 주제를 3차원의 감각으로 위트 있게 패러디하는 조정화의 조각작품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앤디 워홀의 마릴린 먼로가 동시대 한국미술에서 어떻게 해석되어지는가에 대한 문제에 접근한다. 마지막으로 앤디 워홀과 동시대 한국미술이 공유하고 있는 마릴린 먼로라는 주제를 통해 ‘아이콘’이라는 인식의 기저에 동반되어 있는 명성과 권력, 즉 소비사회의 코드가 함축하고 있는 담론들을 이 연구의 맺음말로 부친다. This study approaches ``Modern Icon`` which exists now here from pop art of last century an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at issue: "Why Marilyn Monroe became an Ic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Andy Warhol dealt with Marilyn Monroe`s death to became Superstar as he always aspired and Marilyn Monroe became unforgettable icon of Pop art as well as she still alive as a muse of contemporary art. It reflects on the zeitgeist of the 21st century like the connotative term Postmodernism that include multivocal meaning and added value. In this sense,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Marilyn Monroe as a subject with tendency of Korean contemporary artists who are influenced by Andy Warhol`s Pop art. First, this study explores sociocultural ideology involv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elebrity and contemporary art and it would rethink the matter about fame as a common denominator of Marilyn Monroe`s death and golden age of Andy Warhol. And this study approache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problem of Andy Warhol`s Marilyn Monroe based on the above as the background for analysis the Korean artists Kim Dong Yoo, Lee Gil Woo, Lee Dong Jae, Chung Young Han who create two dimensional art works from mixed media, and a witty sculptor Jo Jung Hwa wha.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discourses inherent in the cultural code of our mass consumption society as the fame and power which entered into a connection with ``Icon`` and Marilyn Monre as the inevitable subject of comtemporary art from Andy Warhol`s Pop art.

      • KCI등재

        에스겔 40-48장의 이방인 이해

        정용한 ( Yonghan Chu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2 대학과 선교 Vol.23 No.-

        종말론적 성전에 대한 예언을 담고 있는 에스겔서 40-48장에서 드러나는 이방인(비-이스라엘인)에 대한 에스겔의 이해는 44:7-9절과 47:22-23절을 비교해 볼 때 이중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44:7-9)와 “□ 혹은 □□□□”(47:22-23)의 정체성은 에스겔서 내의 내적 증거(14:7, 22:7, 29)와 제사장 문서에서 드러나는 외적 증거(창 17:12, 27; 출 12:43; 레 22:25; 민 14-16, 35:15; 출 12:48; 레 17:8-16)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스겔서는 이방인에 대하여 배타적(특수주의)인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포로기 이후 다양한 구성원으로 새롭게 이루어진이스라엘 공동체의 현실을 반영하며 마음과 육체의 할례를 강조함으로 종말론적 공동체의 새로운 가입 조건을 이방인들에게 제시한다. 에스겔서 40-48장은 포로기 이후 새로운 이스라엘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할례 받은 이방인들을 포함하는 보편주의를 보여준다.

      • KCI등재

        초기 우리말 성서의 저본 사용에 대한 통시적 연구

        정용한(YongHan Chung)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6 No.-

        본 연구는 우리말 성서들에 대한 통시적 연구를 통해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표적 번역으로 로스역(1887), 구역(1911), 개역(1938)을 선택하였고, 사용한 저본들을 비교·분석해 각각의 마태복음이 보이는 특징을 유추하였다. 19세기부터 본격화된 사본학에 대한 관심은 국내 선교사들에게도 영향을 미쳤고, 이들은 초기 번역부터 다양한 저본에 대한 관심을 반영해 번역하였다. 수용본문(TR)과 흠정역(KJV)에 대한 권위를 반영하면서도 다른 그리스어 저본들을 사용해온 것이다. 우리말 성서는 다양한 저본을 사용하며, 한국 교회의 상황을 반영해 번역한 전통을 지니고 있다. 최근 ‘흠정역’만이 권위 있는 성서 본문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번역 전통이 기억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o a diachronic analysis of the Korean Bible translations to understand the features embedded in the representative ones: Ross Korean version (1887), Korean Old version (1911), Korean Revised version (1938). The analytical comparison with the translations of the Gospel of Matthew informs that early missionaries were initially influenced by the growing interest in the study of manuscripts from the 19<SUP>th</SUP> century. Various kinds of manuscripts had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from the beginning. The Korean Bible translations have respected the authority of TR and KJV and reflected the tradition of the other Greek manuscript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Korean Bible translations have been done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Korean churches as well as various manuscripts. The Korean churches have to cherish this tradition despite the recent claim that the KJV is the only authoritative manuscript.

      • KCI등재

        Jesus’ Identity and the Conflict with the Opponents in the Lukan Narrative (Luke 19:11-21:38)

        YongHan Chung(정용한)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82 No.-

        서사 비평이 제공하는 등장 인물간의 갈등과 공간 배경에 대한 관심은 므나 비유(눅 19:11-28)와 뒤따르는 내러티브(19:29-21:38)의 연관성을 보다 주의 깊게 살피도록 돕는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다른 문학 단위가 같은 내러티브 안에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밝힌다. 므나 비유, 성전 입성 준비 내러티브(19:29-44), 성전 내러티브(19:45-21:38)는 예루살렘이라는 동일한 공간적 배경을 중심으로 등장인물들과 그들의 갈등을 드러내는 공통점이 있다. 므나 비유와 성전 내러티브는 등장인물들과 그들 간의 갈등 양상에 있어 유사한 패턴을 지닌다. 므나 비유와 성전 입성 준비 내러티브는 예수가 제자의 온 무리에게만 “왕”으로 인정받는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그리고 예루살렘 도착과 함께 이어진 성전 입성과 성전에서의 가르침과 대결, 예언을 통해 예수의 왕권과 신적 정체성이 확인된다. 성전 내러티브는 예루살렘을 배경으로 세 부류의 등장 인물군(예수, 청중-제자들-과 성전 지도자들)이 보이는 특징과 그들의 갈등 관계를 반영하며, 그 목적이 다름아닌 예수의 정체성을 확인해 주는 것임을 분명히 한다. 성전 내러티브에서 적대자들은 므나 비유의 백성들과 같이 예수의 정체성과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나, 성전에서 드러난 예수의 정체성은 왕권을 넘어 성전(예루살렘)의 심판을 선언하고 실행하는 새로운 주인으로 그려진다. 므나 비유의 반역한 백성들을 향한 심판 선언은 성전과 예루살렘을 향한 심판 선언으로 이어지고, 종들에 대한 격려와 심판은 예수의 정체성에 대한 청중들(제자들)의 결정을 촉구하는 동기로 작용한다. 저자는 독자들이 예수의 정체성과 통치 앞에 자신들은 어떤 종으로 서게 될지를 자문하게 만든다. 서사 비평이 제공하는 등장 인물간의 갈등과 공간 배경에 대한 관심은 므나 비유(눅 19:11-28)와 뒤따르는 내러티브(19:29-21:38)의 연관성을 보다 주의 깊게 살피도록 돕는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다른 문학 단위가 같은 내러티브 안에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밝힌다. 므나 비유, 성전 입성 준비 내러티브(19:29-44), 성전 내러티브(19:45-21:38)는 예루살렘이라는 동일한 공간적 배경을 중심으로 등장인물들과 그들의 갈등을 드러내는 공통점이 있다. 므나 비유와 성전 내러티브는 등장인물들과 그들 간의 갈등 양상에 있어 유사한 패턴을 지닌다. 므나 비유와 성전 입성 준비 내러티브는 예수가 제자의 온 무리에게만 “왕”으로 인정받는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그리고 예루살렘 도착과 함께 이어진 성전 입성과 성전에서의 가르침과 대결, 예언을 통해 예수의 왕권과 신적 정체성이 확인된다. 성전 내러티브는 예루살렘을 배경으로 세 부류의 등장 인물군(예수, 청중-제자들-과 성전 지도자들)이 보이는 특징과 그들의 갈등 관계를 반영하며, 그 목적이 다름아닌 예수의 정체성을 확인해 주는 것임을 분명히 한다. 성전 내러티브에서 적대자들은 므나 비유의 백성들과 같이 예수의 정체성과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나, 성전에서 드러난 예수의 정체성은 왕권을 넘어 성전(예루살렘)의 심판을 선언하고 실행하는 새로운 주인으로 그려진다. 므나 비유의 반역한 백성들을 향한 심판 선언은 성전과 예루살렘을 향한 심판 선언으로 이어지고, 종들에 대한 격려와 심판은 예수의 정체성에 대한 청중들(제자들)의 결정을 촉구하는 동기로 작용한다. 저자는 독자들이 예수의 정체성과 통치 앞에 자신들은 어떤 종으로 서게 될지를 자문하게 만든다.

      • KCI등재

        사도행전의 경제정의: 다문화 속의 여성들을 중심으로

        임성욱(Sung Uk Lim),정용한(YongHan Chung)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99 No.-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advent of multiculturalism in local, national, global context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ome to grips with the thorny problem of economic justice in the Acts of the Apostles in such a way as to explore women in a multicultural diaspora. This study scrutinizes the passages in Acts, which deal with the roles of women in redistribution of wealth in earliest Christianity: (1) Hellenist and Hebrew widows (6:1-7); (2) Tabitha and widows in Joppa (9:36-43); (3) Mary, the mother of John Mark, and Rhoda, the servant girl (12:6-19); (4) Lydia and a slave girl with a spirit of divination (16:11-40); (5) Priscilla (18:1-28). It is, therefore, our contention that the women in Act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formation of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especially in the spirit of equity, by sharing their possessions with those in need. It is also suggested that those women in a multicultural diaspora have so vigorously demonstrated the openness of earliest Christianity to the poor and dispossessed across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that modern readers are able to reconsider multicultural identity closely interconnected with the changing global economy. It would be no exaggeration to state that this study is greatly indebted to Sang Hyeon Yoo, an ever-inspiring teacher among Korean biblical scholars.

      • 대학시설에서 에너지 낭비사례 및 절약 방안 연구

        박진관(ChenKwan Park),홍도(HongDo Jung),신용한(YongHan Shin),효민(HyoMin Jeong),한식(HanShik Chung) 대한설비공학회 2010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11

        According to the KEMCO(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reports that the university facilities account for the majority of wasted energy in the domestic building. The reason that a lot of energy to use in university facilities is the university facilities have to use in a lot of energy because of structural problems. More than all, but,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lack the awareness of energy conservation. Thus, in this paper we focus a discussion on the cases of wasted energy and the methods of energy conservation.

      • 지열 현장 시공 사례 및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PP.463-466)

        박진관(ChenKwan Park),홍도(HongDo Jung),신용한(YongHan Shin),효민(HyoMin Jeong),한식(HanShik Chung) 대한설비공학회 201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7

        Renewable energy is growing based on low-carbon green energy Government policies. According to this policy, geothermal energy is highly effici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which is being expanded nowadays. However, construction companies are generated disorderly but their ability has not been verified due to the poor geothermal facility which was reported in the media.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on Busan region's largest geothermal faci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rmal efficiency of the underground is close to heat exchanger performance. Therefore the stud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underground heat exchange found progressed. The results showed voids between Borehole and Ground Heat Exchanger should not be raised. And then geothermal facilities were installed very successfully through the principle grouting operation. As compared to the energy consumption on the basis of operating results energy usage was less than any other heat 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