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성 푸앵트 워크의 담론적 전환 고찰

        정옥희 ( Okhee Jeong )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2021 문화예술융합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푸앵트 워크가 여성성과 결합된 역사적 과정을 살피고 남성 푸앵트 워크를 둘러싼 담론 변화를 분석한다. 푸앵트 워크는 여성성의 상징이 되면서 발레의 젠더 이분법을 강화했다. 남성 푸앵트 워크는 젠더경계적인 인물에 대한 희화화의 목적으로 드물게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엔 교육적 도구, 젠더/섹슈얼리티의 탐색, 예술적 표현 확장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푸앵트 워크 담론의 변화는 젠더/섹슈얼리티 이슈를 확장하며 흥미로운 예술사회적 실험을 가능케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of pointe work combined with femininity and analyzes the changing discourse surrounding male pointe work. Since the Romantic ballet, female dancers have been wearing point shoes and male dancers support them. in which ballet has distinguished and strengthened gender roles for men and women. In a situation where Pointe work became a symbol of femininity, male pointe work was used exclusively for the purpose of comic representation of gender-boundary characters en travesti. However, since the 1990s, people began to use pointe work in a more serious and reflective way as educational tools, for exploring gender/sexuality beyond the binary gender, and for expanding technical possibilities and artistic expression. The fact that pointe work, which has strengthened the gender dichotomy of ballet, is changing makes us expect that the gender/sexuality issue surrounding ballet is rapidly expanding and that pointe work will be an interesting venue for artistic and social experiments.

      • KCI등재

        디지털 휴먼 시대 건축을 보는 다양한 시선과 융·복합적 교육 접근 모색

        정옥희(Okhee JEONG),이주연(Jooyon LEE)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9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과학기술 시대에는 인간의 창의력과 새로운 지식에의 접근, 다양한 학문을 통한 융·복합적 아이디어의 발견, 기술적 상상력과 더불어 인문학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디지털 휴먼 시대에 건축을 보는 다양한 시선을 4가지 학제적(기술공학적, 도시경제환경적, 조형예술적, 인문학적) 측면으로 도출하고 이를 학교교육으로 변환하기 위한 융·복합적 접근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기초건축교육이 국민교육을 위한 공교육으로의 도입을 시도했던 것과 달리, 현재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건축교육은 사회·경제·환경·문화적 변화에 따른 메가트렌드를 건축과 연결 하여 도시재생 및 발전에 공헌하는 건축으로의 인식 변화를 꾀하고 궁극적으로 문화적·산업적 경쟁력 향상과 건축문화 진흥의 토대 마련을 위한 교육에 집중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건축 정책에서 제외된 건축이 함유한 조형예술적 의미와 인문학적 가치를 환기하여 학교교육에서의 학교급별 건축교육을 제안하면서, 디지털 휴먼 시대 인류 미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견인하는 데 있어 스마트 도시환경 정책을 실현함과 동시에 인문학적 부흥을 꾀할 수 있는 중요한 융·복합 분야가 바로 건축 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creativity and access to new knowledge, the discovery of convergence ideas through various studies and humanistic thinking are required as well as technological imag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four academic aspects of architecture in this digital human era with the diverse perspectives(technical engineering, urban economic environment, formative arts, and humanities) and to explore a convergent and complex approach for application to school architecture education. Unlike previous attempts to introduce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as public education,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currently promo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nnects megatrends to architecture, ultimately focusing on improving cultural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us, this study proposes architectural education to school education by recalling the structural artistic meaning and humanities values excluded from the current architectural policy, emphasizing that architecture is an important convergence field in driving sustainable growth and current smart-urban environment towards future society.

      • KCI등재

        학교미술교육에서 건축교육 현황 및 쟁점 분석

        이주연(Jooyon LEE),정옥희(Okhee JEO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7

        인문학, 예술, 과학 그리고 기술은 인간의 삶과 인류 역사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관련성을 맺어왔다. 이를 모두 포괄하는 건축은 인류의 사회적, 경제적, 과학적, 기술적, 민속학적 산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건축이 가지는 중요한 측면들이 교육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학교미술교육에서 건축교육의 실행에 대한 견해는 무엇이고 교육에서 건축은 무엇이어야 하며 교육자로서 건축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의 관점들이 논의의 쟁점으로서 선결되어야 할 필요 성에 주목하였다. 건축 전문가들과 정책 입안자들도 그동안 건축에 대한 교육과 건축을 통한 교육으로 이원화된 기존의 건축 교육을 ‘기초건축교육’으로 통합하여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건축교육을 시행하고자 공교육에의 도입을 시도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미술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건축교육의 현황을 초·중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공교육에서 기초건축교육의 실행 이전에 건축교육의 실행에 따른 쟁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학교 미술교육에서 ‘건축’을 바라보는 관점이 보다 다각도로 고찰되어야 할 필요성과 미술과 교육과정 및 학교급별 교과서 내용 구성의 체계화를 위한 반성적 고찰을 제공한다. 연구의 성과는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포함하여 학교미술교육 내용 구성의 체계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 가능함은 물론, 나아가 인간 삶의 방식과 문화적 이해로서 건축의 교육적 가치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기하는데 그 의미를 지닌다. Science, humanities, arts and engineering have been distinguished areas since modern eras, but these have been interlinked and are the indispensable areas in the human histories. Architecture as encompassing these areas, can be seen as the product of human influences such as social, economic, scientific, technical and folklore factors that represents the limitations, potential, demands, and purpose of our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lecting point on the view of architecture in the category of school art education and starting discussion on what the educational value of architecture should be in terms of human life and cultural understanding. This study first examines preceding studies regard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presented by architectural experts and policy makers, and analyzes architecture related cont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rt textbooks to discuss the education application of th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erve as a educational view that should be discussed before the policy presenting a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for the public, as well as a first step for contents designing on school art curriculum during the settlement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