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문화교육으로의 접근을 위한 색채 교육 - 색채 지각의 다양한 방식과 색채가 갖는 서로 다른 문화적 의미 이해를 통한 비판적 시각문화 읽기 내용을 중심으로

        정옥희(Jeong Ok-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1

          시각문화교육으로의 전환을 맞아 색채 교육은 더 이상 과거에 배워온 순수미술에서 사용된 색 자체, 혹은 실용미술에서의 색채 이론에 국한되어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오늘날 색채를 본다는 것의 의미는 단순한 생물학적 지각과 심리학적 효과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을 형성하는 시각적인 강력한 힘으로서 다양한 문화적 상징과 의미들을 통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삶과 다양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색채에 대한 다양한 지각 방식과 색채가 담고 있는 문화적 상징과 의미들을 살펴봄으로써 시각문화교육으로서의 색채 교육으로 접근하기 위한 내용을 제안한다. 시각문화의 다양한 홍수 속에서 현재의 삶을 바라보는 방식으로서, 그리고 동?서양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는 방식으로서의 색채교육을 제안하며, 흰색의 색채가 갖는 다양한 문화적 의미의 탐색을 예시로 보여줌으로써, 색채 지각의 다양한 방식을 이해하고 서로 다른 문화들을 편견 없이 바라보며, 다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한 시각문화교육의 실천적 소재를 제공한다.   ‘Seeing’ colors today no longer involves universal theories such as biological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effects. As a way of seeing, color perception is informed by different cultural meanings and their visual forces have a great influence on our lives. In other words, color perception can be a ‘sign’ that human beings express its meanings associated with our culture. Although psychologists have conducted experiments to see how people respond to certain colors in isolation, every people in all religions and cultures see thousands of colors with their meanings in their unique contexts. For example, the color of white has many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cultures. - “An angel in white” in Western culture; white in contrast to red in China; “the white-clad race” as the symbol of Korean people.<BR>  This study aims to provide methodological inquiries for VCAE(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rough exploring color perception and its different cultural meaning. As an approach to VCAE, teaching colors should be focused on encourag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ways of seeing their lives and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understanding color perception as a mode of reading our current lives and the different culture, is fundamental to VCAE for seeing our own culture and others without cultural prejudice.

      • KCI등재후보

        한국 학교 미술교육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미술과 교육과정을 둘러싼 제도적 쟁점 고찰

        정옥희 ( Ok Hee Jeo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0 예술교육연구 Vol.8 No.1

        한 국가나 사회의 제도적 교육을 담당하는 학교교육과 가르치고 배워야 할 내용을 선별하여 그 사회의 이념을 반영하여 결정하는 교육의 장치로서 교육과정은 그것이 형성된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한국의 학교 미술교육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근대화의 과정 이후 형성된 학교교육의 성립 과정과 교육 이념을 고찰하고 국가 교육과정 개발 체제 속에서 미술과 교육과정을 둘러싼 제도적 쟁점을 논의한다. 이는 한국 학교교육에서 미술이라는 교과교육이 어떤 문화적 문맥 속에서 형성해왔으며, 최근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싸고 일어난 사회적 쟁점과 문화적 이슈가 왜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는가를 이해하기 위함이다. 한국 교육제도의 특징인 입시정책을 감안했을 때 교육과정이 아홉 번째의 개정을 맞이하고 있는 시점에서 현장의 미술교육은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의 고질적 병폐로 남아있는 입시정책과 같은 외부적인 제도적 문제들에 따른 사회문화적 쟁점들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제도적 쟁점으로는 우리 나라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주요교과에서 소외된 미술교과의 수업 시수의 부족과 잦은 개편으로 인한 교사 수급 불균형과 예비 미술교사 양성 대학의 실기 위주의 편향적 교육과정 운영과 고질적인 교사 임용선발 제도의 문제, 미술교과모임과 미술교육 관련 학회의 활동들의 이론과 현장의 괴리 문제, 입시 정책 안에서 교과 이해관계에서 도외시되는 교과의 정당성 문제로 논의될 수 있다. 이러한 쟁점 고찰은 2009년 개정 고시된 미래 교육과정 개정의 선택교과군의 도입과 자율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집중이수제의 도입에 따른 최근 한국의 학교 미술교육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현상들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the process of having been established Korean school art education and its ideologies since modernization, and next examines the current issues around the institu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Art within the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These investigation and examination aim to understand how the sociocultural issues of Korean school art education have been produced in the institution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Now the newly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is the ninth revis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Korean regime. As a reflection of Korean art education, the investigation of the ideologies embedded in the previous curricula for art provides the useful information of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of developing the National Curriculum. Considering the Korean institution of entrance examination, we can discuss with four institutional issues of the context of developing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Art: (1) unstable lesson timetable and numbers of teachers for art as a marginalized subject; (2) the crippled operations of the curriculum for pre-service art teachers and the selective system of art teachers; (3) unconnected theoretical researches with practices of school art education; and (4) the alienated rationales and purposes of art education by the political debates between subjects. These issues can also be discussed as the causes of the sociocultural phenomenon happening around the institu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Art. This discussion demonstrates that the sociocultural phenomenon around the newley developed National Curriculum for Art results from the institutional practice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of Korean school education since modernization.

      • KCI등재후보

        시각적 재현과 주체, 언어와의 관계 : 후기구조주의 해석학 이론의 미술교육에의 함의

        정옥희(Ok-Hee Jeo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과 교육 Vol.13 No.2

        이 논문은 주체와 재현의 관계를 언어적 실천 방식으로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후기구조주의 해석학 이론을 통해 현대미술을 이해하고 이를 가르치는 교육적 실천에 대해 정체성 형성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미술교육의 함의를 살펴본다. “인간은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말해진다”고 말한 라깡(Lacan)은 언어를 통한 인간의 욕망을 분석하는 정신분석학자로서 무의식의 존재를 통해 주체와 재현의 관계를 분석한다. 데리다(Derrida)는 이러한 주체와 재현의 관계 속에서 기의와 기표의 한계성을 통찰함으로써, 그리고 언어적 불안정성을 보여주며 텍스트의 해체를 주장함으로써, 주체와 재현의 관계 속에 이루어지는 현대 미술의 생산 방식과 교육적 실천 속에서 언어적 관행이 어떻게 주체를 소외시키고 분리시키는가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한다. 푸코(Foucault)는 담론과 권력, 주체와의 관계를 상정함으로써 주체가 타자를 통해 어떻게 소외되는가를 보여줌으로써, 현대미술의 이분법적 구조를 이해하는 방식과 현대 미술의 교육적 맥락에서 주체의 존재에 대한 문제의식을 던져준다. 이러한 후기구조주의 해석학적 관점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근간으로 하는 교육에서 주체와 언어적 관례에 따른 담론적 실천 행위에 대해 반성하고 교사와 학습자 개개인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 제각기 다른 학습자의 상황 속에서 각기 다른 이해의 방식을 이해하고 차이와 다양성을 향한 미술교육을 실천해야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s a theoretical inquiry on post-structural hermeneutics which critically analyse the relation of the subject and representation within discursive practices in order to provid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for art teaching practice. We can see there are contemporary conceptual art practices which search the way of identity construction within ideologically systematic visual discourses and practices. For Lacan wh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representation and the subject with psychoanalytic views of unconscious desire, the search for identity and subjectivity is a case of hegemonic struggle to achieve stability through a particular ideological signifier. The conceptual tools, such a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offered by Lacan help to explore those discourses and practices in which teachers and learners acquire their identities and subjectivities in order expose the ideological construction of such identities. Such ideological forms of the subject of discourse and desire therefore require a complex hermeneutic process. The shift from phenomenological hermeneutics to critical hermeneutics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e art education practice in which it is important to expose, through dialogue, those prejudices or forms of pre-understanding that operate in traditions in order to renegotiate and reconstitute them. For Habermas institutional language is infected with processes of domination and power which distort communicative action in such contexts and it is the task of a critical hermeneutics to expose this systematically distorted communication in order to move towards a more emancipated state of communicative practice. This critical hermeneutic view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emergence of post-structural inquiry, such as Derrida's work of deconstruction and Foucault'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hich provide critical insights into the ideological power and cultural hegemony embedded in the institutionalized art education. Those post-structural hermeneutic exploration of the formation of identity and subjectivity helps art educators and teachers to try to work towards developing an ideological framework that is more commensurate with difference and diversity in art practices and to prize open the naturalising power of established discourses and practices and thus allow the possibility of viewing them as ideological and not natural productions.

      • KCI등재

        논픽션 무용 미디어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옥희 ( Ok Hee Jeong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2 무용예술학연구 Vol.38 No.-

        무용 미디어 분야는 최근 가장 각광받는 장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이론적으로는 여전히 진지한 논의가 부족한 영역이기도 하다. 특히“비디오댄스”, “미디어댄스”등으로 불리는 예술제작에의 쏠림현상이 심한 나머지 무용을 기록하거나 재현하는 논픽션 미디어는 이론적 논의에서 한층 더 소외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논픽션 미디어를 둘러싼 통념들을 철학적, 담론적으로 재고찰하고, 무용 미디어에 대한 그동안의 논의를 분석함으로써 논픽션 무용 미디어에 대한 보다 비판적이고 섬세한 접근이 필요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우선 철학적으로는 논픽션 미디어의 유용성을 인정하면서도 실제 무용현상에 비해 존재론적으로 열등하다고 여기는 양가적 태도를 고찰한다. 모더니즘 미학에 근거한 매체 특수성 테제가 설득력을 잃었다고 주장하는 노엘 캐롤과 라이브 공연과 미디어화된 공연이 이분법적인 관계가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얽혀있음을 주장하는 필립 오슬랜더의 이론에 따라 픽션 및 논픽션 미디어를 동등한 관계로 재설정한다. 한편 담론적 분석에선 픽션 미디어는 주관적이고 논픽션 미디어는 객관적이라는 통념을 비판적 미디어 이론의 흐름에 따라 재검토함으로써 논픽션 미디어의 객관성의 기반이 되는 인덱스성(indexicality) 및 지식주장(knowledge claim)이 그리 단순하거나 즉각적인 방식으로 현실과 관계 맺지 않음을 조명한다. 논픽션 미디어에 대한 철학적, 담론적 재고찰을 바탕으로 무용 미디어에 대한 주요 저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볼 때 현재의 논픽션 무용 미디어 담론은 논픽션 미디어가 지닌 다층적인 의미를 담아낼 만큼 충분히 비판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산발적이고도 단편적으로 논의되던 무용 미디어가 90년대 이후로 하나의 학문분과를 형성했다면, 현재 무용학에서 감지되는 무용 미디어에 대한 담론은 여전히 픽션-논픽션 미디어 간의 위계적이고도 이분법적 관계를 재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카메라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명제들이 그 효용성을 잃은 오늘날 여전히 이러한 명제 위에서 작동하는 논픽션 무용 미디어 담론에 대한 재고찰이 시급하다. 오랫동안 무용현상을 보조하는 수단으로만 단순 치부되어 온 논픽션 무용 미디어에 대한 새롭고도 비판적 논의가 활성화될 때 비로소 무용학이 보다 풍성해지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국제발레콩쿠르 경쟁 담론의 전환

        정옥희 ( Ok Hee Jeong ) 대한무용학회 2023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transition of competition discourse of international ballet competitions. Overviewing the history of ballet competition, I argue that international ballet competitions in the Cold War era reflects the discourse of somatic nationalism, reminding of the mechanism of the Olympic Game, while those in the post-Cold War era adapted to the neoliberal meritocracy. Examining the transition of competition formats from the professional-oriented, result-oriented one to the student-oriented and process-oriented one, I assert that the transi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rogress. Highlighting the marketization of dance competition, I problematize the substitution of education with competition.

      • KCI등재

        코로나 팬데믹이 댄스미디어에 미친 미학적, 사회적 영향

        정옥희 ( Ok Hee Jeong ) 대한무용학회 202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0 No.1

        본 연구는 한국 댄스 미디어 장의 형성 과정을 살피고 코로나 팬데믹이 미친 미학적, 사회적 영향을 살핀다. 팬데믹 이전에 한국 무용계에서 댄스 미디어의 장이 제도적 기반 및 추진력의 부족으로 느리게 형성된 것에 비해 팬데믹 이후에는 춤의 매체화에 대한 공적 지원이 집중되면서 급격히 활성화되었다. 한국 특유의 예술에 대한 공적지원금 제도가 댄스 미디어 장의 느린 형성과 급속한 활성화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미학적으로 볼 때 코로나 팬데믹은 댄스 미디어의 기존 구조, 즉 라이브 공연과 매체화된 공연 사이의 이분법적이고도 위계적인 관계 및 장르 구분을 흐려놓았다. 이를 문제적이라 보는 경향과는 달리 본 연구자는 모호함이 가진 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댄스 미디어를 고정된 실체가 아닌 유동적인 실천 행위로 볼 것을 제언한다. 사회적으로 볼 때 팬데믹이 기술중심주의와 기술민족주의를 부추기는 상황에서 댄스 미디어에서도 기술소외와 기술격차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예술가나 학자가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비판적으로 개입할 것을 주장하는 ‘비판적 제작’ 개념을 통해 댄스 미디어 장에서도 기술적인 매끈함이나 완성도보다 과정중심적인 작업이 장려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발레계의 블랙페이스/옐로우페이스 논쟁 연구

        정옥희 ( Jeong Ok Hee ) 한국무용예술학회 2021 무용예술학연구 Vol.82 No.2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trend of problematization of racism in ballet and discerns anti-racist activism on ballet repertoires. Particularly it focuses on Mikhail Fokine’s Pétrouchka and Marius Petipa’s Nutcracker, which ar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examples of blackface and yellowface in ballet, respectively. As a part of art activism in various fields of art as well as academia since the 2010s, anti-racist activism has proliferated in the ballet field, which helps revisionism to finally win over preservationism in classic ballet discourse. Analyzing the dispute over the customs of blackface and yellowface in Pétrouchka and Nutcracker, I suggest that the problem is not a simple matter of make-up as racism is deeply intertwined with non-visible areas such as choreography and script. In the end, if there is not enough reflection on racist works, these works return to us in the name of the classics or canon, or in the form of reinterpretation, dedication, motifs, and parodies, while perpetuating racism in balle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등 미술교육의 목적과 의미에 관한 철학적 논의 - ‘미술을 통한 교육’의 역사적 기원과 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정옥희(Jeong Ok-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2

          오늘날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로 인한 교육적 병폐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 중등 교육의 현실에서, 미술 교과교육은 주변교과로서 그 정당성을 갖기 어려운 상황이다. 근대화의 시작과 함께 성립된 학교 미술교육의 변화된 양상을 고찰할 때, 중등 미술교육은 다변하는 시대적 상황에 휘말리며 학교 교육의 본질적 목적과 의미를 벗어나 교육적 정당성을 찾으려하는 양상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특히 학교 미술교육의 목적과 의미에 관한 철학적 기원과 역사적 배경을 통해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중등 미술교육의 문제들을 재고해 볼 때, 오늘날 청소년(중ㆍ고등학생)들에게 왜 미술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 대한 철학적 성찰의 부재를 자각하게 된다. 20세기 초 산업화된 자본주의 사회의 병폐를 교육으로 해결하고자 했던 존 듀이(Dewey, J.)는 오늘날 미술이라는 교과를 통해 학생들이 어떤 교육적 성과를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적 검토의 필요성을 일깨워준다. 21세기를 사는 오늘날까지 그 영향력을 가지는 허버트 리드(Read, H.)의 철학, ‘미술을 통한 교육’은 미술 자체를 위한 교육이 아닌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위해 학교에서 미술을 가르쳐야 할 정당성에 대한 철학적 기초를 제공해준다. 따라서 본고는 ‘미술을 통한 교육’의 역사적 기원과 철학적 배경을 통해 중등 미술교육에서 간과되기 쉬운 교육의 본질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검토함으로써, 오늘날 중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미술이라는 교과를 가르치고 배워야 할 정당한 목적과 의미에 대한 타당한 논의를 제공한다.   This paper exams the purpose and the meaning of secondary art education for today through the philosophical research of ‘Education through Art’. There have been some problems in the secondary education focused on entering for universities in Korea. Under this conditions, secondary art education has had difficulty in finding the educational value. If we should teach to all students art in secondary school as well as in elementary level, we have to question why we should teach to students art in secondary schools and to exam the purpose and the meaning continually.<BR>  Dewey asserted that we have to question what experiential outcomes can get through art. As a philosophical lesson for art education, Read"s ‘Education through Art’ has most influenced school art education and has provided the fundamental direction even in the twentieth century. Therefore, the historical review of the philosophy ‘Education through art’ provides an opportunity to analyse the current problems in secondary schools and to find an direction toward those solutions. This philosophical reflection about the purpose and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aims to re-exam educational objectives why art should be teach to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