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기물 에너지화 산업 육성방안 연구

        정영근(Chung, Young-Keun) 한국환경정책학회 2011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2

        우리나라 환경산업은 시장구조나 기술력 면에서 선진국과 후발개도국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환경기술 수준은 선진국 추격단계로 우리와 유사한 경제성장 패턴을 보이고 있는 후발개도국에 적합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환경산업체 대부분이 자본금, 매출액 규모면에서 영세한 구조적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우리나라 환경산업은 공공부문의 환경지출 증가 등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시장규모가 확대되고는 있으나 산업기반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동북아 환경시장이 급속히 신장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환경산업이 장차 수출전략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아직 영세업체들에 의한 산업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시장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술력과 자본력이 있는 업체의 산업내 진입 및 관련투자를 적극 유도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며 국내 환경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비전 및 과제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환경 문제와 함께 에너지 가격 상승 문제는 한국에게 가장 심각한 문제이다. 이미 세계 유가는 가격 상승이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진국은 풍력, 태양광 외에 폐기물 에너지화에 많은 노력 경주 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기존 환경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한 신성장산업의 육성이 필요하고 국내외 환경산업의 시장 확대에 부응하여 환경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다각적인 에너지원의 확보를 통한 국가 에너지정책과 함께 폐기물 에너지화를 통한 신에너지 산업의 육성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풍력, 태양광, 조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 등은 기술의 부족 및 대외 의존도가 비교적 높은 분야이나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은 기술 수준이나 가용성이 높은 분야이므로 폐기물 에너지화 산업 육성의 전략적 추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폐기물 에너지화 촉진을 위한 정책적,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폐기물 에너지화 신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폐기물 에너지 공급단가의 현실화 등을 통한 시장경제기능 안정화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관계부서간에 긴밀한 협조체계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관계기관, 지역 주민 및 전문가 등 민·관 협력체계도 확립해야 한다. Korean environment industry, in terms of the marke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late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to step chasing us and showing similar growth patterns in developing countries. Environment industry increases due to continuous expanding in public sector. Northeast Asia environmental market is expected to rapidly increase and environment industry exports in the future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strategic industry, despite domestic business is still based on industrial activities in fulfilling small size business. Thus, by minimizing the uncertainty of the market, forward urgent task is to induce the continued growth of domestic environment industry overseas and to expand the vision and challenges. Environmental concerns and rising energy prices in Korea is the most serious problems. Since world oil prices have already increased very quickly, a wind energy, solar energy in addition to waste-to-energy are lots of effort. At the same time through diversified sources to secure national energy policy, a waste-to-energy as a new energy source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addition, wind, solar, tidal and other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re the lack of a relatively high dependence on foreign energy sector but waste to energy technology is the availability of high-level. This wastes energy policy for the promotion is needed to the expanded financial support and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waste to energy price stability and close cooperation between related departments are needed to arrange the system as well as related institutions, including local residents and civil experts.

      • KCI등재
      • KCI등재

        대졸 고학력 노동시장 미스매치 연구

        정영근 ( Young-keun Chung ),장민수 ( Min-soo Chang ),김혜정 ( Hye-jeong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1 질서경제저널 Vol.14 No.3

        최근 우리나라의 대학은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제대로 길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물론 대학이라는 상아탑의 존립 목적이 실용성만을 강조한 기술 교육으로 나아가기는 어렵고, 또한 그것이 올바른 방향도 아닐 것이다. 그러나 학생이나 기업체에서 바라보는 대학 교육의 만족도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냉정하게 반성해야 할 필요성은 있다. 이를 통해 학생이나 기업체에서 절실히 원하는 교육 항목이나 내용을 일부 커리큘럼에 반영한다거나 기초 지식이나 전공 지식 습득과 아울러 이에 대한 교육을 병행해 나간다면 대학 교육이 가지는 한계성을 어느 정도 극복하고, 학생들의 취업률을 제고시키는 데에도 일조하게 될 것이다. 대졸 고학력자 취업난의 주요 원인으로 인력의 수요와 공급에서 다양한 특성으로 인해 불일치하게 되는 현상인 미스매치(Mismatch)를 꼽을 수 있다. 인력시장에서의 기업과 구직자간 정보의 격차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적절한 직장의 매칭이 발생하지 않아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가 곤란을 겪는 문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력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즉 미스매치의 실질적인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그 원인과 함께 미스매치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 인력시장의 공급 측면과 수요 측면을 구분하여 각기 사안에 따른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대학 졸업자의 실업에 대한 원인 중의 하나로 미스매치 문제가 언급된 적은 많지만 미스매치만을 주제로 하여 실제 대학생과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원인을 규명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인력 수급 상에 있어서의 미스매치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대안을 모색하여 향후 학생들의 취업률 제고와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대학교육의 질적 경쟁력 제고, 고용관리관행의 개혁, 산학연계체계 강화, 종합정보체제 구축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Recently people in the industry have pointed out that universities of Korea have not properly raised educated labor force. Existence of universities as the ivory towers is difficult to emphasis on the education of technology, and it will not be the correct direction. However,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business persons desperate the contents of the desired training item or curriculum reflected the basic knowledge. Therefore the knowledge as well as major concurrently training would b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students' employment would be improved. Graduates educated unemployment causes from mismatch of supply and demand for manpower due to the inconsistencies i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Information between companies and students in the labor market due to the gap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does not generate adequate job of matching both the demander and the supplier can be a matter for frustration. In this study, the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labor, ie, the current status of the mismatch is examined and alternatives to overcome with a mismatch are explored. To do this, the demand side and the supply side of Chungcheongnam local labor market are comparatively analyzed. Un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is one of the reasons for the mismatch problem,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have determined the cause of the mismatch problem using the actual students and businesses to conduct such a survey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mismatch problem on the labor market is accurately recognized and alternatives are sought to increase of in the future students' employment and provide ways to employment shortage of small businesses. As a way to bridge the mismatch,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quality, reform of management practices employed, strengthening university-industry linkage systems, and building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etc. can be summarized.

      •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논의전개

        정영근(Chung Young-Keun),장민수(Chang Min-Soo) 한국동서경제학회 2007 한국동서경제연구 Vol.19 No.1

          지속가능발전 개념이 태동한 것은 1970년대라고 할 수 있으나,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은 1992년 브라질의 리우환경회의 이후라고 할 수 있으며 많은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되었다. 2002년 남아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 WSSD(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에서 ‘요하네스버그 선언’과 ‘이행계획’을 통해 리우회의 이후의 추진실적을 종합평가하고 2002년 이후 지속가능발전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자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상반된 입장에 따라 약한 지속가능성과 강한 지속가능성으로 구분되며 지속가능발전의 경로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경제성장을 환경문제와 연결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환경오염은 계속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보는 견해와 경제와 환경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지속적인 경제성장이 환경문제의 개선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견해가 상존하고 있다.   Early 1970 the naiss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 hadappeared, but the full-out is after the Rio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Brazil 1992 which had been presented the new paradigm. At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 Development in Rio de Janeiro Brazil 1992, formulated the systematic framework through out the "Rio Declaration" and "Agenda 21", and established the UN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UNCSD). According to the conflicting point of sustainability capital view, it defines as the "Strong Sustainability and Weak Sustainability."To presumethe sustainable development path, it is necessary to interlock between the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obstacle. Consider that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follow by the increase of economic growth, there is the perception of co-accomplishment of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is the impossibility. In the other respect, there is the assertion of economy and environment ha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refore the continuous economic growth positively activates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obstacle.

      • WSSD 논의결과 분석 및 후속과제 도출

        정영근 ( Chung Young-keun ),배현회,한택환,임종수,성수호 한국환경연구원 2002 수시연구보고서 Vol.2002 No.-

        2002년 9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WSSD)에서는 경제성장, 환경보전, 사회복지의 조화를 추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각 국가가 이를 21세기 국가발전전략의 기본방향으로 채택하도록 권장함으로써 경제, 환경, 사회정책의 기본지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WSSD의 전개과정에서의 논의에 대한 분석과 각 사안에 대한 국내 현황을 근거로 하여 WSSD의 최종결과물인 이행계획으로부터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내 후속과제들을 도출하였다. 논의 동향에 대한 분석은 WSSD의 개최가 결정된 시기에서 본회의 폐막까지를 시간적 범위로 하여 4차에 걸친 준비회의와 지역차원 회의, WSSD 본회의에 걸쳐 국제적, 국내적 동향 파악과 결과를 연구범위로 하였다. 국내 현황은 리우회의 이후 의제 21의 이행성과와 국가전략 추진실적을 중심으로 국가의 경제, 사회, 환경 분야의 지속가능성 현황과 이행노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후속 추진과제는 WSSD 본회의에서 채택된 이행계획 합의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추진해야할 과제를 단기 및 중·장기적 차원에서 도출하였다. WSSD는 지속가능한 발전 논의 맥락속에서 규정될 수 있다. WSSD는 1992년 리우회의에서 채택한 리우선언 및 의제 21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난 10년 간의 추진실적을 종합평가하고, 2002년 이후 지속가능발전전략을 마련하고자 개최되었다. 이를 위해 4차에 걸친 준비회의와 5개 지역차원의 준비회의가 전개되면서 문안합의 협상이 이루어졌다. WSSD 본회의에서는 준비회의를 통해 도출된 10가지의 주요 의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여 요하네스버그 정치적 선언문과 이행계획, 파트너쉽/이니셔티브를 최종결과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WSSD의 준비회의에서부터 본회의에 걸쳐 논의되었던 주요 주제를 심층 분석하였다. 경제·사회분야, 환경·자원의 보전 및 관리, 제도정비·이행수단의 세가지 범주로 나뉘어 전개하였다. 각 논의 주제는 2차 준비회의에서 제시되었던 틀로 분석되었으며, 각 주제의 세부사항에 대한 국내의 전반적 현황 및 전략을 다루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WSSD 최종 결과물중 하나인 이행계획에 근거하여 향후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이행계획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 시급하게 다루어져야 할 추진과제들을 도입, 빈곤퇴치, 지속가능하지 못한 소비 및 생산패턴의 변화, 경제사회발전 자연자원기반 보호 및 관리, 세계화시대 지속가능한 발전, 건강 및 지속가능한 발전, 이행수단,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도 틀의 범주에서 각 추진과제에 대해 논의 배경을 살펴보고 추진하는데 있어서 기본이 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즉 후속 추진과제는 WSSD 본회의에서 채택된 이행계획 합의문을 바탕으로 최근 전개되는 국제 협상과 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반적 흐름속에서 중요도를 가지는 우선적 사안을 중심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추진해야할 53개 과제를 도출하였으며, 각 과제들이 국내에서 가지는 의미와 이행계획의 목표연도를 바탕으로 장기, 중기, 단기 시행계획의 범주로 나누었다. 또한 각 후속과제가 환경·경제·사회의 범주에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는가를 검토하고, 향후 각 도출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공동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연구기관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추진상의 문제점으로 지속가능발전 총괄·조정을 위한 제도적 장치 미흡,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정책적 고려 미흡, 지방자치단체 환경관리계획과의 연계 미흡, 지속가능발전 논의에 있어서 주요그룹의 참여 미흡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21세기 지속가능발전의 추진 방향으로서 정책의 조화와 통합적 접근 확산, 수요관리·효율중심의 정책추진, 사전예방적인 정책강화, 시민참여와 파트너쉽에 바탕을 둔 정책추진, 환경기술산업의 국가 전략산업화, 국제사회 파트너쉽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국내에서 흔히 환경의 보전과 개발의 조화로만 알려진 지속가능발전 개념을 더 이상 환경보전에만 초점을 맞추어 환경부와 환경단체들만의 전유물로 간주하여서는 진정한 지속가능발전의 구현은 불가능하다. 동 개념을 경제성장, 환경보전, 사회보장의 통합을 추구하는 개념으로 파악하여 환경부 뿐 만이 아니라 정부 경제·사회 전 부처가 동참할 때에 지속가능발전의 실질적인 이행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2002년 세계환경정상회의와 관련하여 리우회의 이후 지금까지의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전 추진 성과를 종합 점검·평가하는 작업도 함께 추진할 필요가 있다.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WSSD), which was held in Johannesburg Republic of South Africa on September 2002, was brought up the new paradigm of seeking for the harmony among the economic development,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social welfare, and it is presumable to be the indicator of economy, environment, and social policy by adopting promote as the fundament in 21C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in each countries. In this study, analysis of WSSD expanding discussion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each case were the foundation of build the WSSD latest result, which is from the Plan of Implementation schedule to the domestic following condi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tendency of the analysis was as the decision is appeared on the board, and the opening to the closing ceremony were might be called the range of study, total of four sessions such as the Global Preparatory Committee, Regional Preparatory Meetings, WSSD, through out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tendency and result would be the range of study for this. After the 1992 Earth Summit in Rio, domestic condition was focused on the Agenda 21, which is the discharge result and the national strategic impulse accomplishment, and comprised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le condition and the discharge efforts to the range of study. Based on the WSSD Plan of Implementation, the following measures will bring out as the term of short, mid, and long period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ssignment. WSSD is able to examine throughou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discussion. It held for evaluating the last 10 years impulse accomplishment of the Rio Declaration and Agenda 21, which was adopted in 1992, and manage to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after the year 2002. The four sessions of Global Preparatory Committee and five Regional Preparatory Meetings were unfolded, and the draft agreement was negotiated. At the WSSD session the ten main agendas, which were brought up during the Preparation Committee, would be the leading discussion to pull out the Johannesburg Declaration, Plan of Implementation, Partnership/Initia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primary subject, which was come out during the WSSD preparatory to the main summit. Unfold and belong to the three different categories of economy and society par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 and means of implementation. The each subject was analyzed based on the leading subject at the second session of Preparatory Committee and general domestic condition and strategy of details. Regarding above as for the discharge Plan of Implementation, the future impulse assignment is appeared. The Introduction, Poverty Eradication, Changing Unsustainable Patterns of Consumption and Production, Protecting and Managing the Natural Resource Base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in Globalizing World, Health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eans of Implementation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ose kind of impulse assignments were must be settled without delay to conduct the plan, and those were the details of leading strategy in discussion. The following measures were based on the discharge Plan of Implementation, and in the middle of the general flowing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recent negotiation and discussion, brought out 53 impulse primary measures for ou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ange of operation Plan of Implementation categorized to the term of short, mid and long as to the meaning of each assignment and Plan of Implementations aim year. Also must be examined and reviewed of how those were organically connected in the range of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This study is provided the cooperated institution as the brought up assignment. The several controversial points while progress were the inadequacy of system mediation and regulation, the inadequacy of political reflection, inadequacy of connection between the local environment management department, and the inadequacy of absence of importance group during the session. It is able to present the impulse directions, such as the political harmony and unification approach, the demand focus and drive up of eco-efficiency, the preliminary protection intensity, the policy based on participation and partnership, the national strategic industrialization of environmental technology industry, and the building of international society partnership.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s not only focused on the environment protection as the exclusive possession 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NGOs, also under these kinds of understanding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s never embedd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s the concept of integration of the economic growth, environment protection, and social welfare. Not on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ut also all Ministries participation is the key to discharg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Regarding to the WSSD 2002, we must inspect and evaluate our sustainable development impulse accomplishment from the Earth Summit in Rio to the present.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의 논의와 발전방향

        정영근 ( Chung Young-keun ),장민수 ( Chang Min-soo ) 한국질서경제학회 2007 질서경제저널 Vol.10 No.1

        지속가능발전 개념이 태동한 것은 1970년대라고 할 수 있으나,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은 1992년 브라질의 리우환경회의 이후라고 할 수 있으며 많은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되었다. 2002년 남아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 WSSD(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에서‘요하네스버그 선언’과‘이행계획’을 통해 리우회의 이후의 추진실적을 종합평가하고 2002년 이후 지속가능발전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자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상반된 입장에 따라 약한 지속가능성과 강한 지속가능성으로 구분되며 지속가능발전의 경로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경제성장을 환경문제와 연결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환경오염은 계속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보는 견해와 경제와 환경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지속적인 경제성장이 환경문제의 개선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견해가 상존하고 있다. Early 1970 the naiss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 hadappeared, but the full-out is after the Rio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Brazil 1992 which had been presented the new paradigm. At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 Development in Rio de Janeiro Brazil 1992, formulated the systematic framework through out the ‘Rio Declaration’ and ‘Agenda 21’, and established the UN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UNCSD). According to the conflicting point of sustainability capital view, it defines as the ‘Strong Sustainability and Weak Sustainability.’ To presumethe sustainable development path, it is necessary to interlock between the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obstacle. Consider that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follow by the increase of economic growth, there is the perception of co-accomplishment of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is the impossibility. In the other respect, there is the assertion of economy and environment ha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refore the continuous economic growth positively activates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obstacle.

      • KCI등재후보

        환경산업의 국제화 연구

        정영근 ( Young-keun Chung ),장민수 ( Min-soo Cha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08 질서경제저널 Vol.11 No.1

        환경산업은 정보통신, 생명공학 등과 함께 21세기 핵심산업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환경산업의 육성은 고용창출과 부가가치를 증대시켜 환경과 경제의 조화를 이루는 대표적인 지속가능발전 과제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환경규제는 한·미 FTA 협상 과정을 비롯한 각종 국제환경협약이 발효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무역규제 수단으로 등장하여 제품 및 생산 공정에까지 확대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외적에서는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환경규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술개발에 따른 환경산업의 발전은 여타산업과의 동반성장을 통하여 환경친화적인 산업구조로의 전환을 조기에 실현할 수도 있다. 이는 국내 환경문제해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대외적인 환경규제 압력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발판으로 환경재화 및 서비스의 해외시장진출 기회를 확대하여 우리 환경산업의 발전에 따라 급속한 경제성장이 예상되는 신흥공업국가에 대한 시장진출의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환경산업은 공공부문의 환경지출 증가 등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시장구조나 기술력 면에서 선진국과 후발개도국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국, 동남아 등 개도국을 중심으로 환경기초시설, 설비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어 환경산업을 수출전략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비전과 과제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환경산업은 환경산업체규모의 영세성과 자율성이 결여된 환경규제제도 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와 환경과 무역의 연계 등으로 세계 환경시장은 높은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아시아 환경시장이 급속히 신장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환경산업이 장차 수출전략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아직 영세업체들에 의한 산업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시대 흐름에 맞춰 환경규제제도를 개선하고 환경기술개발의 효율성을 높여 환경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활성화하고 우리나라가 비교우위에 있는 정보통신산업을 기반으로 핵심 수출전락산업인 환경산업과 접목·융합하여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Environmental industry appears as core industry with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and environmental industry boosts employment creation and value addition to lead a sustainable development. Various international environment agreements including Korea-U.S. FTA negotiations process arise as new trade regulation and it is applied expansion to a product and production fairness recently. Environmental industry progress by technical development can realize switch to environmentally friendly industry structure through companion growth with the others industry. This offers the opportunity that can get over environmental problem solution domestically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pressure in foreign countries, and this provides with an opportunity of a market advance for environment goods and services to the NIEs where rapid economic growth is expected by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industry. Environmental industry posits at the middle of developed countries and least developed countries, and rapid increase of demand for environment basics led by China, Southeast Asia developing country to develop environmental industry as export strategy industry, therefore, to provide the vision and tasks for environmental industry. However, environmental industry of low efficient environment regulation system experiences difficulty. It is expected that the high growth group continues world environment market by environmental regulation reinforcement and cooperation of environment and trade of each country. Particularly, Asian environmental market is anticipated to increase of environmental industry as export strategy industry in the future, however, still domestically small business company is the main part of environmental industry. Environmental industry to improve environment regulatory systems, to raise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activate an overseas market advance of environment industry with IT industry makes new growth power.

      • KCI등재

        주가의 변동성과 기업성과

        정영근(Chung, Young-Keun),임응순(Lim, Eung-Soon),정군오(Jung, Kun-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8

        많은 연구자들은 변동성에 대한 연구로 변동성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리고 선행연구들은 거시경제변수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동성을 주식의 변동성으로 정의한다. 주식의 변동성과 기 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동성과 기업의 경영성과를 분석한다. 이때 기업 성과를 ROA와 토빈Q를 이용한다.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경영성과의 대용지표로 사용한 ROA의 경 우에는 주식가격의 변동성과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성과의 대용지표인 Tobin's Q의 경우에 는 주식가격의 변동성과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됬다.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o investigate causes of volatility and they have used macro economic variables. This paper defined the volatility as that of stock. Researches on the volatility of stock and corporate performances are not adequate yet. Therefore, this paper estimate the volat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s using ROA and Tobin Q. Results show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re is negative effect on the volatility of stock when we use ROA as the corporate performances. Second, there is positive effect on the volatility of stock when we use Tobin Q as the corporate performances.

      • KCI등재

        사교육비와 수능성적과의 관계 연구

        임응순(Lim, Eung-Soon),정영근(Chung, Young-Ke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6

        한국에서는 교육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그 중에 영어교육에 상당히 치중해 있다. 이러한 교육에는 공교육과 사교육이 있는데, 대다수의 가구에서는 사교육에 대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가구에서 지 출하고 있는 사교육비와 수능성적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분석결과 사교육비의 지출과 수능성적 간에는 양(+)의 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 총 투입시간과 수능성적 간의 관계에서도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ducation is important in Korea and English education takes a huge part of it. Korean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public and private. A number of households expend money on privat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expense and the grad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s results, there is a positive effect between them and also a positive effect between the total mount of time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grad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